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덕궁 화계의 정비사례를 통한 수목정비 방안 = ARTICLES : Tree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rraced Flower Beds in Changdeok Pala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계는 심리적으로 초화 또는 화목류와 석조, 괴석, 굴뚝, 담장 등의 점경물적 요소를 도입하여 미적 경관을 창출하는 인공경관 요소이다. 예로부터 궁궐정원은 철저하게 계획되어 조성되었...

      화계는 심리적으로 초화 또는 화목류와 석조, 괴석, 굴뚝, 담장 등의 점경물적 요소를 도입하여 미적 경관을 창출하는 인공경관 요소이다. 예로부터 궁궐정원은 철저하게 계획되어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자연임상으로 방치되는 수목의 근계부 과도한 생장으로 인해 석축부가 훼손되어 문화재 보존관리에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덕궁에 남아있는 대표 화계를 선정하여 현황을 살펴보고 그동안 시행되었던 수목정비방안을 분석함으로써 타 지역의 화계정비를 하는데 준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덕궁 내 화계 관리계획 수립할 때에 일반적인 정비계획의 지침과 대상지별 환경에 알맞은 관리계획도 필요한것으로 판단되었다. 화계의 형태, 규모, 경사, 식재수목, 건물과의 거리가 상이한 화계에 일괄적인 관리계획의 적용보다는 화계가 위치한 환경에 따라 적절한 계획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화계에 식재된 수종 비교분석을 통해 관목의 사용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목의 수량은 다른 화계에 비해 의두합 일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사지에 생육하는 교목이라는 불리한 환경에서 발생될수 있는 안전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화계 정비 방안 비교분석 결과 수목의 근계부 성장에 의한 석축의 피해에 대한 주기적인 보수·관리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궁궐을 포함한 전통공간의 화계의 정비방안에 있어 문헌자료을 통한 현재 식생현황을 비교 분석 그리고 사례연구 및 전문가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관리에 위험요소가 되고 있는 대경목 정비는 단계적으로 필요하며, 자연임상으로 방치된 수목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정비계획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창덕궁 내 화계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공간에서 화계의 수목정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rraced Flower Beds is a artificial scenery feature creating esthetical scenery by adopting flowering plant or the feature of staffage such as stone one, strangely shaped stones, chimney, fence and etc psychologically. From ancient times, palace gard...

      Terraced Flower Beds is a artificial scenery feature creating esthetical scenery by adopting flowering plant or the feature of staffage such as stone one, strangely shaped stones, chimney, fence and etc psychologically. From ancient times, palace garden was planned thoroughly and created but nowadays due to excessive growing of the root part of tree left alone like natural forest shape stone part has been damaged so become a risk for maintaining cultural assets. Hence,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evidence for the management of Terraced Flower Beds in other areas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Terraced Flower Beds remaining in Changdeok Palace and looking into existing state and analysing the tree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performed up to now, main result come out here is as following. First, it was judged that also appropriate management plan for the principle of general arrangement plan and the environment of each target place is necessary when making a management plan of Terraced Flower Beds in Changdeok Palace. It seems to be required of suitable pla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loc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rather than applying lump-sum management plan to Terraced Flower Beds different with the shape, scale, steep, planting trees and buildings of Terraced Flower Beds. Second, through analysing planted trees in Terraced Flower Beds we could see the rate of using shrubbery high. And for the quantity of tall tree, the whole area of Uiduhap has more than other Terraced Flower Beds and it is considered that security solution is necessary for handicapped circumstances of growing tall trees on a slope field. Third, as a result of anaysing how to arrange Terraced Flower Beds it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regular maintenance plan for the damage of stone axis due to growing of root part of tree. Fourth, based on anaysing current planting situation through documentation materials for the method of arranging Terraced Flower Beds of traditional rooms including palace, case study and specialists’ review arrangement of large poles is necessary step by step because they have become a danger feature for safe managing, specific arranging plan should be done also for left alone trees with naturally forest shape. We are willing to give meaning to this study because it suggested the developing direction of arranging trees of Terraced Flower Beds in traditional rooms focusing to the case of Terraced Flower Beds in Changdeok Pala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