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사회학의 사회학 = 탈분과적 접근과 한국 사회학에 대한 교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51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영국 사회학의 지적ㆍ제도적 특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국 사회학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고 이로부터 한국 사회학 및 사회학 일반의 독특한 지식체제에 대한 교훈을 얻는...

      이 글은 영국 사회학의 지적ㆍ제도적 특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국 사회학의 성과와 한계를 밝히고 이로부터 한국 사회학 및 사회학 일반의 독특한 지식체제에 대한 교훈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① 역사적으로 기반이 취약한데도 제도적ㆍ내용적으로 성공한 영국 사회학의 현황을 개괄하고, ② 그 독특한 지적ㆍ제도적 특성과 성공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검토하며 ③ 영국 사회학의 사례가 한국 사회학과 사회학적 지식 생산에 주는 몇 가지 교훈에 대해 성찰한다. 영국 사회학은 주변성과 늦은 제도화로 인해 사회학 분과경계와 정체성이 분명히 규정되지 않았고, 사회학 전통의 결여로 인해 외국의 이론을 수입해야 했으며, 자원부족과 ‘반양방’ 문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연구의 범위가 제한되었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영국 사회학의 독특한 특징이자 성과인 탈분과적 접근, 새로운 연구영역의 개척과 이론적 혁신이 가능해졌고, 여러 다양한 이론들과 방법론이 접합될 수 있었으며, 이론에 의해 가이드된 경험연구가 추구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영국 사회학은 확립된 사회학 분과가 규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에 따른 분과학문의 주요 주제에 대한 연구보다는 분과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이론을 사용하는 테마 중심적 연구라는 특징을 띠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탈분과적 접근은 사회학자 집단의 전문(직)화와 결합하여 영국 사회학의 상대적인 제도적 건전성과 학문적 독자성과 우수성을 낳았다. 이러한 영국 사회학의 사례는 비록 모든 답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학의 위기, 특히 한국 사회학의 위기에 대한 몇 가지 진단 및 그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검토할 수 있는 하나의 준거점이 될 수 있다. 영국 사회학은 한국 사회학의 위기를 이제까지와 같이 신자유주의, 비실용성, 모호한 분과학문적 정체성, 독자적 이론의 부재와 외국이론의 수입, 대중성(또는 전문성)의 부재에서 찾는 것이 과연 올바른가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British sociology in order to examine its contributions and limits and derive some lessons for Korean sociology in particular and sociology as a discipline in general. For thi...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llect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British sociology in order to examine its contributions and limits and derive some lessons for Korean sociology in particular and sociology as a discipline in general.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① overviews the present status of British sociology that can be considered successful in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terms; ② examines possible factors that can explain its particular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success; and ③ reflects upon some lessons from the case of British sociology for Korean sociology in particular and sociological knowledge production in general. Due to its peripheral status and late institutionalization, British sociology has had no clear disciplinary identities or boundaries, has been importing foreign theories as a result of the lack of its own sociological tradition, and has been limited in the scope of research by the lack of resources and the ‘anti-quant’ culture. However, thanks to the very same reason, British sociology could acquire its own distinct qualities, i.e. post- or pre-disciplinary approach, new frontiers of research, articulations of plural theories and methodologies, theoretical innovations, and theoretically-informed empirical studies. As a result, British sociology is characterized by theme-oriented research that transcends narrow disciplinary boundaries and articulates various theories, rather than mainstream research as defined by the narrowly defined disciplinary boundaries, theories, methods, and topics. Such post-disciplinary approaches, combined with the professionalization of sociologists, contributed to the relative institutional health as well as academic distinctiveness and excellence of British sociology. The case of British sociology cannot answer everything, but may well function as a reference point in examining some diagnoses and prescriptions for the crisis of Korean sociology, i.e. in reflecting upon the attribution of the crisis to neoliberalism, impracticality, vague disciplinary identity, the absence of distinctively Korean sociological theories, and the lack of popularization (or speci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영국 사회학의 취약한 역사적 기반
      • 3. 영국 사회학의 현황과 성과
      • 4. 영국 사회학의 성공 요인
      • 5. 영국 사회학의 교훈
      • 1. 서론
      • 2. 영국 사회학의 취약한 역사적 기반
      • 3. 영국 사회학의 현황과 성과
      • 4. 영국 사회학의 성공 요인
      • 5. 영국 사회학의 교훈
      • 6. 맺음말: 사회학의 독특한 지식체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기, "저자 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사회학의 국내문헌 의존도와 국외문헌 의존도 분석- 탈식민성 담론과 관련하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91-110, 2006

      2 강희경, "시대와 불화하는 사회학과 교육: 전문성 시대와 일반성 추구간의 부조화" 184-191, 2010

      3 김경만,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 가지 제언" 35 (35): 1-28, 2001

      4 정태석, "사회학의 위기 논쟁과 비판사회학의 대응" 비판사회학회 (88) : 94-119, 2010

      5 정근식, "사회학 위기론과 학문후속세대 문제" 4-20, 2010

      6 Urry, John, "“Sociology as a Parasite” in idem. Consuming Places" Routledge 33-45, 1995

      7 Althusser, Louis,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idem.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Monthly Review Press 127-186, 1971

      8 Wakeling, Paul, "“Briefing Document: Statistical Overview and Commentary” for International Benchmarking Review of Sociology" ESRC/BSA

      9 Abrams, Philip, "The Uses of British Sociology, 1831-1981. in: Essays on the History of British Sociologic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205, 1985

      10 King, Anthony, "The Sociology of Sociology" 37 (37): 501-524, 2007

      1 김영기, "저자 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사회학의 국내문헌 의존도와 국외문헌 의존도 분석- 탈식민성 담론과 관련하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91-110, 2006

      2 강희경, "시대와 불화하는 사회학과 교육: 전문성 시대와 일반성 추구간의 부조화" 184-191, 2010

      3 김경만,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 가지 제언" 35 (35): 1-28, 2001

      4 정태석, "사회학의 위기 논쟁과 비판사회학의 대응" 비판사회학회 (88) : 94-119, 2010

      5 정근식, "사회학 위기론과 학문후속세대 문제" 4-20, 2010

      6 Urry, John, "“Sociology as a Parasite” in idem. Consuming Places" Routledge 33-45, 1995

      7 Althusser, Louis,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in idem.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Monthly Review Press 127-186, 1971

      8 Wakeling, Paul, "“Briefing Document: Statistical Overview and Commentary” for International Benchmarking Review of Sociology" ESRC/BSA

      9 Abrams, Philip, "The Uses of British Sociology, 1831-1981. in: Essays on the History of British Sociologic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205, 1985

      10 King, Anthony, "The Sociology of Sociology" 37 (37): 501-524, 2007

      11 Dodd, Nigel, "The Sociology of Money: Economics, Reason and Contemporary Society" Polity Press 1994

      12 Inglis, David, "The Peculiarities of the British: Social Theory in the United Kingdom. in: Handbook of Contemporary European Social Theory" Routledge 82-94, 2006

      13 Ingham, Geoffrey, "The Nature of Money" Polity Press 2004

      14 Thompson, E. P.,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V. Gollancz 1963

      15 Platt, Jennifer, "The History of the 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 17 (17): 179-198, 2002

      16 Collins, Harry, "The Golem: What Everyone Should Know about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7 Rocquin, Baudry, "The Floating Discipline: British Sociology and the Failure of Institutional Attachment(1911-1938)" The University of Oxford 2006

      18 Abercrombie, Nicholas, "The Dominant Ideology Thesis" George Allen & Unwin 1980

      19 Giddens, Anthony,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Polity Press 1984

      20 Bell, Daniel,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Basic Books 1973

      21 Gouldner, Alvin, "The Coming Crisis of Western Sociology" Basic Books 1970

      22 Goldthorpe, John, "The Affluent Work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23 Kumar, Krishan, "Sociology in the UK and the Englishness of English Social Theory" 19 (19): 41-64, 2001

      24 Jessop, Bob, "Reviewer’s Report on Social and/or Sociological Theory for the International Benchmarking Panel"

      25 Rex, J., "Race, Community and Conflict: A Study of Sparkbrook"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26 Halsey, A. H., "Provincials and Professionals: The British Post-war Sociologists. in: Essays on the History of British Sociologic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1-164, 1985

      27 Jessop, Bob, "Pre-Disciplinary and Post-Disciplinary Perspectives on New Political Economy" 6 (6): 89-101, 2001

      28 Shils, Edward, "On the Eve: A Prospect in Retrospect. in: Essays on the History of British Sociologic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5-178, 1985

      29 Sayer, Andrew, "Method in Social Science: A Realist Approach" Routledge 1992

      30 Willis, Paul, "Learning to Labour" Ashgate Publishing Ltd. 1978

      31 Turner, Jonthan H., "Is Public Sociology Such a Good Idea?" 36 (36): 27-45, 2005

      32 Mackenzie, Donald, "Inventing Accuracy" The MIT Press 2000

      33 "International Benchmarking Review of UK Sociology"

      34 "International Benchmarking Review of UK Politics and International Studies"

      35 Wieviorka, Michel, "Intellectuals, Not Professionals: Sociology in France" 26 (26): 288-292, 1997

      36 Bobbio, Norberto, "Gramsci and the Conception of Civil Society. in: Gramsci and Marxist Theory" Routledge & Kegan Paul 21-47, 1979

      37 Platt, Jennifer, "Fragmentation, Social Theory, and Feminism: Sociology in the United Kingdom" 26 (26): 283-285, 1997

      38 Burawoy, Michael, "For Public Sociology" 20 : 4-28, 2005

      39 Hall, Stuart, "Culture, Media, Language: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 1972-1979" Routledge 1979

      40 Anderson, Perry, "Components of the National Culture" 50 : 3-57, 1968

      41 Dahrendorf, Ralph,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

      42 Turner, Bryan S., "British Sociology. in: 21st Century Sociology: A Reference Handbook" Sage Publications 89-95, 2007

      43 Cappell, Charles L., "An Empirical Comment on the State of Sociology" 26 (26): 78-116, 1995

      44 Rojek, Chris, "An Anatomy of the Leicester School of Sociology: An Interview with Eric Dunning" 4 (4): 337-359, 2004

      45 Moody, James, "A View from Above: The Evolving Sociological Landscape" 37 (37): 67-86, 2006

      46 Halsey, A. H., "A History of Sociology in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7 Anderson, Perry, "A Culture in Counterflow 1" 180 : 41-7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