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굵은골재 입도 변화에 따른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20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품질을 갖춘 마감용 콘크리트판을 개발할 목적으로 굵은골재의 입도를 변화시켜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슬럼프 플로는 플레인에 비해 굵은골재 10mm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플레인과 비교시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경화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굵은골재 치환율 75%에서 가장 높고, 치환율 10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겉보기 밀도 및 휨강도는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흡수율은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출석률은 전반적으로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환율 25%일 때 56.25%, 50%일 때 66.75%, 75, 100%일 때 각각 69.50, 58.75%로 모두 KS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5mm 굵은골재 25%와 10mm 굵은골재 75%의 혼합비율이 전반적인 제반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우수한 품질을 갖춘 마감용 콘크리트판 제조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품질을 갖춘 마감용 콘크리트판을 개발할 목적으로 굵은골재의 입도를 변화시켜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품질을 갖춘 마감용 콘크리트판을 개발할 목적으로 굵은골재의 입도를 변화시켜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슬럼프 플로는 플레인에 비해 굵은골재 10mm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플레인과 비교시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경화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굵은골재 치환율 75%에서 가장 높고, 치환율 10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겉보기 밀도 및 휨강도는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흡수율은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출석률은 전반적으로 플레인에 비해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환율 25%일 때 56.25%, 50%일 때 66.75%, 75, 100%일 때 각각 69.50, 58.75%로 모두 KS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5mm 굵은골재 25%와 10mm 굵은골재 75%의 혼합비율이 전반적인 제반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우수한 품질을 갖춘 마감용 콘크리트판 제조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of the excellent quality that we have analyse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in variation of aggregate gradations. The slump flow of the fresh concrete,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s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coarse aggregate(10mm Max) increasing. Meanwhile, the slump value has de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In comparison of the plain, the air content has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and is recorded lowest at the replacement rate of 75%. The compressive strength as the properties of hardened concrete is highest at the coarse aggregate replacement of 75% and lowest at 100%. The bulk density and the bending strength,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ve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water absorption,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s de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The aggregate exposing rate has increased as the 10mm replacement rate is rising. the highest rate is 69.5% at the replacement rate of 75%. Except for the plain, all other rates are satisfactory according to KS 4035. As the result, the mixing ratio of 25% of 5mm coarse aggregate and 75% of 10mm coarse aggregate has been proved to generate the best result in all the experiments. We estimate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date for the fabrication of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of the good quali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of the excellent quality that we have analyse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in variation of aggregate gradations. The slump flow of the fresh concrete, being compa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of the excellent quality that we have analysed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in variation of aggregate gradations. The slump flow of the fresh concrete,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s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of the coarse aggregate(10mm Max) increasing. Meanwhile, the slump value has de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In comparison of the plain, the air content has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and is recorded lowest at the replacement rate of 75%. The compressive strength as the properties of hardened concrete is highest at the coarse aggregate replacement of 75% and lowest at 100%. The bulk density and the bending strength,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ve in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water absorption, being compared to the plain, has decreased as the replacement rate increasing. The aggregate exposing rate has increased as the 10mm replacement rate is rising. the highest rate is 69.5% at the replacement rate of 75%. Except for the plain, all other rates are satisfactory according to KS 4035. As the result, the mixing ratio of 25% of 5mm coarse aggregate and 75% of 10mm coarse aggregate has been proved to generate the best result in all the experiments. We estimate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date for the fabrication of the finishing concrete panel of the good qu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실험계획 및 방법
      • 2.1 실험계획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실험계획 및 방법
      • 2.1 실험계획
      • 2.2 사용재료
      • 2.3 실험방법
      • 3. 실험결과 및 분석
      • 3.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
      • 3.2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천구, "콘크리트의 특성과 배합설계" 기문당 63-80, 2011

      2 권영호,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322-334, 2005

      3 김현우, "저순도 석회암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청주대학교 2009

      4 김상식, "바닥마감재의 발달과 종류 및 특성" 한진건설기술 24-34, 2006

      5 박용규,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기초 물성 평가 및 현장적용" 9 (9): 2009

      6 대한건축학회, "건축재료" 기문당 113-158, 2010

      1 한천구, "콘크리트의 특성과 배합설계" 기문당 63-80, 2011

      2 권영호, "최신콘크리트공학" 기문당 322-334, 2005

      3 김현우, "저순도 석회암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청주대학교 2009

      4 김상식, "바닥마감재의 발달과 종류 및 특성" 한진건설기술 24-34, 2006

      5 박용규,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기초 물성 평가 및 현장적용" 9 (9): 2009

      6 대한건축학회, "건축재료" 기문당 113-15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