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唐代 營州 출신 고구려계 高英淑의 묘지명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28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앞으로 隋 · 唐代 營州(현 중국 朝陽)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묘지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묘지명 중에는 개인적인 정보 외에도 해당 지역의 동향과 고구려 · 발해와의 관계에 대한 ...

      앞으로 隋 · 唐代 營州(현 중국 朝陽)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묘지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묘지명 중에는 개인적인 정보 외에도 해당 지역의 동향과 고구려 · 발해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들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高英淑 묘지명을 살펴보았다. 고영숙 묘지명은 진위여부가 확실한 자료로, 그녀의 계통과 사회적 지위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고영숙은 중국학계에서 거란족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昌黎 孤竹人’과 ‘高辛氏’를 출자로 내세운 점이나 고구려계 高雲의 후예로 자처한 점을 통해 고구려계임을 알 수 있다.
      고영숙은 당시 營州 지역에서 상당한 사회적 지위를 지닌 여성이었다. 고영숙의 묘지명과 무덤의 규모 및 격식은 영주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 중 1등급에 속한다. 묘지명에 남편에 대한 정보가 없는 점은 그녀의 사회적 지위에 남편의 영향이 크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고영숙의 친가가 시가를 압도하는 高門이었고, 고영숙은 사망 무렵 집안의 宗婦이자 家長이면서 遼西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夫人 앞에 칸을 띄워 공경을 나타내고, 남성에게 주로 사용되던 미사어구들을 사용한 것은 고영숙이 단순히 한 집안의 여성 가장이 아님을 보여준다.
      더불어 일찍이 요서지역으로 이주했었던 고구려계인 고영숙 묘지명은 고구려 멸망 전후 고구려인들의 출자 의식 표기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비교연구에 유용하리라 본다. 그리고 남성중심의 가부장제가 발달하는 과정에서의 여성 지위, 특히 북방 지역여성의 지위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need to take note of the epitaphs being found in Youngju(營州) region(current Chaoyang of China) of Sui and Tang dynasty. Besides a lot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se epitaphs are very valuable materials because they have regional information a...

      We need to take note of the epitaphs being found in Youngju(營州) region(current Chaoyang of China) of Sui and Tang dynasty. Besides a lot of individual information, These epitaphs are very valuable materials because they have regional information and much Goguryeo and Balhae related information
      This paper examined the epitaph of Ko Youngsook(高英淑). The authenticity of this epitaph is surely proved, so it provides good information about her line and social status. Ko Youngsook has been known as Khitans(契丹) in the Chinese academic world. But we can know that she was Goguryeo decent because she was described as Changryo Kojookin(昌黎 孤竹人), Ko Woon(高雲) and Kosinsi(高辛氏) meaning progenitor in the epitaph.
      At that time, Ko Youngsook was a woman holding a fairly high social position. The epitaph, size and formality of Ko Youngsook’s tomb belong to the first grade among the tombs being found in Youngju region. Because her husband’s influence on her social status was insignifican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her husband in the epitaph. Her father’s side of family was eminent one and she was on a high position able to exercise her influence over Yoseoboo(Yoseoboo-capital, 遼西府) by the time of her death as the first daughter-in-law(宗婦) and head of her family(家長). Making a blank to show respect before the word ‘Boo-in’(wife, 夫人) and using flowery words used in man’s tomb at that time were not just because she was the head of her family. Namely, the reverent and flowery words of the epitaph reflect the owner’s status and influence.
      In addition, the epitaph of Ko Youngsook is valuable to compare the rites for progenitor between Goguryeo decent moved into Yoseo(遼西) province early and Goguryeo people moved into Yoseo province about the collapse of Goguryeo. And it is a good resource to study the woman’s statu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ale-dominated patriarchy, especially the woman’s status in the northern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묘지명의 판독과 역주
      • III. 고영숙의 계통과 사회적 지위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묘지명의 판독과 역주
      • III. 고영숙의 계통과 사회적 지위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관, "중국 역대 릉침 제도" 서경 2005

      2 김택민, "역주 당육전(상하)" 신서원 2008

      3 이동훈,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고려대학교 2015

      4 이문기, "고구려 덕흥릉리고분벽화의 칠보행사도와 묵서명" 25 : 1999

      5 박세이, "高句麗와‘ 三燕’의 境界" 고구려발해학회 54 : 9-35, 2016

      6 "隋書"

      7 程功, "隋唐時期營州地域文化硏究" 大連大學 2014

      8 王晶辰, "遼寧碑誌" 遼寧人民出版社 2002

      9 寇玉峰, "遼寧朝陽養路費征稽處北魏唐代墓葬" 3 : 2004

      10 呂學明, "遼寧朝陽隋唐時期磚構墓葬形制及演變" 2007 (2007): 2007

      1 양관, "중국 역대 릉침 제도" 서경 2005

      2 김택민, "역주 당육전(상하)" 신서원 2008

      3 이동훈,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고려대학교 2015

      4 이문기, "고구려 덕흥릉리고분벽화의 칠보행사도와 묵서명" 25 : 1999

      5 박세이, "高句麗와‘ 三燕’의 境界" 고구려발해학회 54 : 9-35, 2016

      6 "隋書"

      7 程功, "隋唐時期營州地域文化硏究" 大連大學 2014

      8 王晶辰, "遼寧碑誌" 遼寧人民出版社 2002

      9 寇玉峰, "遼寧朝陽養路費征稽處北魏唐代墓葬" 3 : 2004

      10 呂學明, "遼寧朝陽隋唐時期磚構墓葬形制及演變" 2007 (2007): 2007

      11 金殿士, "遼寧朝陽西大營子唐墓" 1959 (1959): 1959

      12 盧治萍, "遼寧朝陽出土唐代孫氏墓誌滙考" 2014 (2014): 2014

      13 "通典"

      14 王申, "近10年唐宋婦女史研究的回顧與反思" 2012 (2012): 2012

      15 "資治通監"

      16 強躍, "論唐人崇尙的女性美德" 2012 (2012): 2012

      17 張洪波, "試述朝陽唐墓形制及其相關問題" 1996 (1996): 1996

      18 吳炎亮, "試析遼寧朝陽地區隋唐墓葬的文化因素" 2013 (2013): 2013

      19 "舊唐書"

      20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隋唐墓葬發現與硏究" 科學出版社 2012

      21 "晉書"

      22 "新唐書"

      23 李海葉, "後燕退据龍城後政治之“反動”" 43 (43): 2011

      24 공석구, "廣開土王의 遼西地方 進出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67) : 125-158, 2012

      25 "唐會要"

      26 蘇士梅, "唐墓志與唐代婦女研究" 陝西師範大學 2000

      27 宋卿, "唐代營州軍事設置探究" 25 (25): 2015

      28 英衛峰, "唐代帝陵陪葬墓硏究" 西北大學 2011

      29 劉曉雲, "唐代女官制度研究" 首都師範大學 2007

      30 森部 豊, "唐代奚·契丹史硏究と石刻史料" 49 : 2016

      31 "史記"

      32 吳鋼, "全唐文補遺 제1, 4집" 三秦出版社 1994

      33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