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스포츠학문의 과제:수상레저스포츠를 중심으로 = The Role and Tasks of Sport Science for the Safety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5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1)to examine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2) and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role of sports-science for the sports-safety. Methods: This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Conclusion: The findings about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are as below. (1) the structure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unified (2) Safety standards for water-leisure sports facility managers and participants should be strengthened. (3) The safety standards for the new form of water-leisure fac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findings about roles of sports-science for the sports-safety are as below. (1) Sports scientist should approach newly about a academic concept of sports-safety. (2) For strengthening the safety guideline of water-leisure sports, the usability of sports science should be enhanced. (3) Academic discussions and research about the activation and regulation of water-leisure sports should be activat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1)to examine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2) and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role of sports-science for the sports-safety. Methods: This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by l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s to (1)to examine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2) and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role of sports-science for the sports-safety. Methods: This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Conclusion: The findings about the tasks and improvements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are as below. (1) the structure of water-leisure sports safe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unified (2) Safety standards for water-leisure sports facility managers and participants should be strengthened. (3) The safety standards for the new form of water-leisure fac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findings about roles of sports-science for the sports-safety are as below. (1) Sports scientist should approach newly about a academic concept of sports-safety. (2) For strengthening the safety guideline of water-leisure sports, the usability of sports science should be enhanced. (3) Academic discussions and research about the activation and regulation of water-leisure sports should be activ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수상레저스포츠에서 안전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을 탐색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스포츠학문의 과제와 역할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 그리고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위한 스포츠학문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분야 연구자 및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관리의 체계를 일원화 시켜야 한다. 둘째, 수상레저스포츠 사업자 및 참여자에 대한 안전기준을 개선 보완해야 한다. 셋째, 신종수상레저기구에 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위한 스포츠학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이 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 기준 마련을 위한 스포츠 과학의 활용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수상레저스포츠 활성화 및 규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수상레저스포츠에서 안전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을 탐색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

      연구목적: 수상레저스포츠에서 안전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을 탐색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스포츠학문의 과제와 역할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 그리고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위한 스포츠학문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분야 연구자 및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증진의 과제와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관리의 체계를 일원화 시켜야 한다. 둘째, 수상레저스포츠 사업자 및 참여자에 대한 안전기준을 개선 보완해야 한다. 셋째, 신종수상레저기구에 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을 위한 스포츠학문의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이 개념에 대한 심도 있는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수상레저스포츠 안전 기준 마련을 위한 스포츠 과학의 활용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수상레저스포츠 활성화 및 규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민상,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안" 한국융합과학회 6 (6): 48-56, 2017

      2 최철호, "해양스포츠관련 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81-196, 2011

      3 이영오, "해양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해양스포츠 종사자들의 직업만족과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6 (6): 62-78, 2017

      4 김홍설, "해양스포츠 안전관리 방안" 한국융합과학회 4 (4): 53-68, 2015

      5 손석정, "해양 레저스포츠의 안전관리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285-307, 2007

      6 김찬선,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위기관리 구축전략" 한국융합과학회 3 (3): 7-23, 2014

      7 김두현, "스포츠안전권의 침해실태 및 예방대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141-174, 2010

      8 손석정, "스포츠 안전관리를 위한 법적 고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21-143, 2011

      9 정종석, "수상레저 사업자의 안전의식 실태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32 (32): 409-413, 2008

      10 조욱연,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57-467, 2012

      1 조민상,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안" 한국융합과학회 6 (6): 48-56, 2017

      2 최철호, "해양스포츠관련 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81-196, 2011

      3 이영오, "해양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해양스포츠 종사자들의 직업만족과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6 (6): 62-78, 2017

      4 김홍설, "해양스포츠 안전관리 방안" 한국융합과학회 4 (4): 53-68, 2015

      5 손석정, "해양 레저스포츠의 안전관리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285-307, 2007

      6 김찬선,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위기관리 구축전략" 한국융합과학회 3 (3): 7-23, 2014

      7 김두현, "스포츠안전권의 침해실태 및 예방대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141-174, 2010

      8 손석정, "스포츠 안전관리를 위한 법적 고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21-143, 2011

      9 정종석, "수상레저 사업자의 안전의식 실태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32 (32): 409-413, 2008

      10 조욱연,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457-467, 2012

      11 이흥덕, "생활체육에서의 안전관리와 제도화에 관한 지향성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김규완, "생활체육 안전사고에 대한 보상제도 고찰" 한국사회체육학회 (21) : 359-374, 2004

      13 장미란,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안전관리의식과 안전문화 및 안전추구행동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6 (6): 42-56, 2017

      14 윤태훈, "레저스포츠 안전교육의 법제화 방안"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7 (17): 103-122, 2014

      15 김은경, "독일 체육시설 안전관리와 보험제도에 대한 소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9 (19): 117-137, 2016

      16 강종진, "「레저스포츠 진흥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정안의주요 내용과 쟁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 (20): 71-91, 2017

      17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Water Leisure General Information"

      18 Lee. B. J., "The quality of sports activities is "Safe""

      19 Kim, S. Y., "Sports social welfare" 21Century educator 2006

      20 Korea Sports Safety Foundation, "Sports safety foundation"

      21 Kim, D. H., "Sports for all safety management" Class Materials 2010

      22 Cho, W. Y., "Sports for all program for sports safety" Sports safety foundation 2014

      23 Choi, J. S., "Sports for all program and sports safety 2011" 2011

      24 Jeong, D. S., "Safety and inspection of water leisure apparatus" 30 (30): 344-350, 2006

      25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Research for improvement of water leisure business registration standard"

      26 Ministry of Law,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7 Sung, M. J.,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activating water leisure sports"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2005

      28 Kim, J. H., "First Aid Manual" Daekyung books 2013

      2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 survey on th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2015

      30 Um, H. C.,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ype approval standard for water-related leisure activities instruments" 36 : 15-27, 2014

      31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3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National security agency statistics"

      33 Marine Police Agency, "2014 Marine poli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 한국융합과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the Security Convergence Management ->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KCI등재
      2017-09-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 한국융합과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Security Convergence Management -> Korean Society for the Convergence Scienc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 0.415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