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 Issues for Sessful Pomotion of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 A case study on Buk-gu, Uls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8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족친화마을만들기사업은 작은 정부의 지향이라는 논리와 지방자치제의 실시 속에 주민참여의 확대와 거버넌스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필요한 사업이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

      가족친화마을만들기사업은 작은 정부의 지향이라는 논리와 지방자치제의 실시 속에 주민참여의 확대와 거버넌스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필요한 사업이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주민들이 쾌적하고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의 터전 조성, 아름다운 경관조성, 공동체 형성 등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가족친화 마을만들기 활동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에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사업(북구 엠코타운의 공동육아프 로젝트)의 추진과정을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족친화마을만들기사업의 성공 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어떤 문제점이 있고 이에 대한 개선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므로 계량적 분석에 의존하기보다는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장감 있는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가족 친화마을만들기사업을 담당했던 사업 집행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과 사례지역의 유관기관 관계자 및 마을활동가에 대한 면담을 통해 가족친화마을만들기 사업의 현황분석과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민관협력 거버넌스로 추진되는 가족친화마을사업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적인 과제를 사업 추진과정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유사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자치단체에 정책적인 근거자료로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s regarded as necessary for expanding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alization of governance in pursuit of small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thorough...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s regarded as necessary for expanding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alization of governance in pursuit of small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examine activities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successfully promote building a living environment in which residents may live pleasantly and comfortably through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creating a beautiful landscape, and forming a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deeply analyzes the process of the project selected through public offering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n Ulsan city (the joint child-care project of Buk-gu emco-tow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point out the problem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what should be made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and therefore, relies more on qualitative analysis rather than quantitative analysis. To reflect rea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s responsible for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interviews with related officials and village activists in the case region, we tri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figure out problems due to actual opera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proposes the policy tasks required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amily-friendly town project that is performed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according to project execution phases. Therefore,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to be worth being used as a reference for policy making to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s that want to promote similar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
      • 마을만들기사업의 사례분석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
      • 마을만들기사업의 사례분석
      • IV.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 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개선과제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지원사업단, "한국의 녹색도시·마을 만들기" 국토연구원 2010

      2 양진영,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전곡구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 신창훈,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관련 조례 분석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38 (38): 2013

      4 이상엽,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221-252, 2011

      5 양광식, "충청남도의 마을공동체 육성방안 :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12): 2006

      6 최승호, "지역마을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 방안 연구 : 사회적 자본론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 2008

      7 박대현, "주민참여형 지역개발사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09

      8 오수길, "주민참여제도의 활용과 효능감 분석 -시민사회단체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0 (20): 1179-1207, 2008

      9 차성란,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 -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77-100, 2010

      10 송혜승, "주민 참여 마을 만들기의 선호사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1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지원사업단, "한국의 녹색도시·마을 만들기" 국토연구원 2010

      2 양진영,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경도 세전곡구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 신창훈,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관련 조례 분석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38 (38): 2013

      4 이상엽,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221-252, 2011

      5 양광식, "충청남도의 마을공동체 육성방안 :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12): 2006

      6 최승호, "지역마을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 방안 연구 : 사회적 자본론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 2008

      7 박대현, "주민참여형 지역개발사업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09

      8 오수길, "주민참여제도의 활용과 효능감 분석 -시민사회단체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0 (20): 1179-1207, 2008

      9 차성란,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 -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77-100, 2010

      10 송혜승, "주민 참여 마을 만들기의 선호사업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8

      11 정미애, "일본의 지역공동체에 있어서 시민참여" 현대일본학회 (20) : 231-254, 2004

      12 나카지마 에리, "영국의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 한울아카데미 2009

      13 울산광역시, "여성가족청소년과 내부자료"

      14 박재창, "시민참여와 거버넌스" 오름 2009

      15 진영환, "시민이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 사례편" 국토연구원 2007

      16 김선미,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73-96, 2010

      17 김두환, "도시개발과정에서 주민참여를 통한 이해갈등조정" 제3섹터연구소 5 (5): 241-268, 2007

      18 이주헌, "국내의 마을만들기 지원제도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제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29-36, 2012

      19 조윤미, "국내 벽화마을만들기의 성공요건 분석"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20 송효진,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한 마을만들기 : 통영 동피랑마을의 관광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1 김은주, "가족친화마을시범사업이 공동체 활성화와 관리의식 제고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2016

      22 차성란,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방안 -살기좋은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23-42, 2011

      23 현영숙, "가족친화마을만들기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24 이송지,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009

      25 강기정, "가족친화마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9

      26 Strogh, R, "Theories of Endogenous Regional Growth" Springer 2001

      27 Woltijer, J., "The Public Support Machine : Notions of the Function of Participatory Planning by dutch Infrastructure Planners" 17 (17): 2002

      28 Rodes, R.A.W., "The New Governance :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 1996

      29 Mildred E. Warner, "Planners’ Role in Creating Family-Friendly Communites : Action, Participation and Resistance" 35 (35): 2013

      30 Petters, B. Guy,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2 : 1998

      31 Stoker, G, "Governance as Theory : Five Proposition" 50 (50): 1998

      32 Thomson. Ann Marie, "Collaboration Processes : Inside the Black Box" 2006

      33 Taylor, N, "Anglo-American Town Planning Theory Since 1945 : Three Significant Development But No Paradigm Shifts" 14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