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월(玄月)의 『말 많은 개(おしゃべりな犬)』 -친고로마을(チンゴロ村)의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3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getsu’s 『Talkavie Dog)』 -Change of “chingoro community”- The collective population community, covered as a motive in " Talkavie Dog“ is changing the name into ”chingoro community“. The collective population community is a place or c...

      Gengetsu’s 『Talkavie Dog)』 -Change of “chingoro community”- The collective population community, covered as a motive in " Talkavie Dog“ is changing the name into ”chingoro community“. The collective population community is a place or community centered on kinship where Jeju people in Japan live collectively together and share the same culture and custom. However, as the trend of globalization has made the capital and the labor of migrant workers cross national boundaries to go chase money, the community population composition has became transformed by village members of the migrant workers also filled with diverse ethnic community and capital has taken the place of the community culture. As the community based on clan has collapsed, the dynamics of all the generations gradually disappears, the materialization of humanity by capital distorts primitive or basic human instinct. Nobuo’ sexual impotence can be explained as a mental panic caused in the middle of overestimating material value rather than idea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revelation of national ideological falsehood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서론
      • Ⅱ. 공동체의 상징 친고로마을의 우물
      • Ⅲ. 혈연 공동체의 붕괴
      • Ⅳ. 소통의 부재
      • 目次
      • Ⅰ. 서론
      • Ⅱ. 공동체의 상징 친고로마을의 우물
      • Ⅲ. 혈연 공동체의 붕괴
      • Ⅳ. 소통의 부재
      • Ⅴ. 결론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명선, "현월의 『말 많은 개(おしゃべりな犬)』론 - 재일제주인 사가(Saga)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99-314, 2009

      2 장안순, "현월(玄月)의 『 그늘의 집(蔭の棲みか)』 -집단촌(集村)의 소수자-" 일본연구소 0 (0): 261-278, 2011

      3 프로이트, "프로이트 심리학" 고려문학사 1991

      4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2008

      5 질들뢰즈,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東文選 2004

      6 "제주발전연구, 在日 제주인의 삶과 제주도"

      7 장안순, "재일동포 문학에 있어서 이카이노(猪飼野)문학 연구 : 재일작가 원수일, 현월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8 현월, "작가인터뷰-인간의 보편성을 그리고 싶다, In 그늘의 집" 문학동네 2000

      9 홍기삼, "아쿠타가와 상을 통해 본 재일동포문학, In 재일 한국인 문학" 솔 2001

      10 고자카이 도시아키, "민족은 없다" 뿌리와 이파리 2003

      1 소명선, "현월의 『말 많은 개(おしゃべりな犬)』론 - 재일제주인 사가(Saga)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99-314, 2009

      2 장안순, "현월(玄月)의 『 그늘의 집(蔭の棲みか)』 -집단촌(集村)의 소수자-" 일본연구소 0 (0): 261-278, 2011

      3 프로이트, "프로이트 심리학" 고려문학사 1991

      4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2008

      5 질들뢰즈,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東文選 2004

      6 "제주발전연구, 在日 제주인의 삶과 제주도"

      7 장안순, "재일동포 문학에 있어서 이카이노(猪飼野)문학 연구 : 재일작가 원수일, 현월 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8 현월, "작가인터뷰-인간의 보편성을 그리고 싶다, In 그늘의 집" 문학동네 2000

      9 홍기삼, "아쿠타가와 상을 통해 본 재일동포문학, In 재일 한국인 문학" 솔 2001

      10 고자카이 도시아키, "민족은 없다" 뿌리와 이파리 2003

      11 정남영, "다중" 세종서적 2008

      12 杉原達, "越境する民,-近代大阪の朝鮮人史硏究" 新幹社 1999

      13 玄月, "蔭の棲みか" 文藝春秋 2003

      14 유숙자, "在日한국인 문학연구" 月印 2002

      15 金壎我, "在日朝鮮人女性文學論" 作品社 2004

      16 磯貝治良, "在日朝鮮人文學-50年 の變遷, In 越境する視線" せらび書房 1996

      17 玄月, "おしゃべりな犬" 文藝春秋 2003

      18 磯貝治良, "<在日>文學論" 新幹社 2004

      19 竹田靑嗣, "<在日>という根據" 筑摩書房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8 0.9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