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형성한 정체성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3년 이상 전문상담 분야에서 수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6947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48(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형성한 정체성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3년 이상 전문상담 분야에서 수련...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형성한 정체성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3년 이상 전문상담 분야에서 수련을 거쳐 공신력 있는 민간 자격증이나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후 전문상담을 병행하고 있는 4명의 목회자이다.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의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서 참여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6개의 영역을 도출하였다. 6개의 영역은 ‘상담 학업과 수련을 결심함’, ‘발달과정에서 장애물을 만남’, ‘장애물 극복을 위해 노력함’, ‘전문상담 수련 과정에서 개인과 목회자로서 치유와 성장을 경험함’, ‘전문상담 목회자로서의 장점을 인식함’, ‘전문상담 목회자로서 소명을 인식하고 정체성을 형성함’이다. 6개의 영역은 비교적 순차적으로 나타났지만, ‘상담수련 과정에서 개인과 목회자로서 치유와 성장을 경험함’과 ‘전문상담 목회자로서의 장점을 인식함’은 ‘장애물 극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자원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자들은 목회와 전문상담을 ‘병행’할 때 상호보완적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목회자’ 정체성을 중심에 두고, 상담사의 정체성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밝혔다는 데 있다.
성소수자 HIV/AIDS 감염인의 일과 교회를 중심으로 한 심리 사회적 경험 내러티브 탐구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약물중독단약자의 회복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기독공동체 ‘소망을 나누는 사람들’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