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과학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 2명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를 통해, 이들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의 본질과 이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방향이 무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6945
방희조 (연세대학교)
2024
Korean
영재 ; 과학영재고 ; 대학생 ; 내러티브 정체성 ; 참자기 ; 거짓자기 ; 영재 담론 ; the gifted ; science-gifted high school ; university student ; narrative identity ; true self ; false self ; discourse of the gifted
KCI등재
학술저널
7-38(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학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 2명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를 통해, 이들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의 본질과 이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방향이 무엇...
본 연구는 과학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 2명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를 통해, 이들이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갈등의 본질과 이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재들은 어려서부터 주변의 기대로 인해 성취에 대한 과중한 부담감을 갖는다. 그리고 남들과는 다르다는 편견이 이들을 외롭게 만든다.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의 영재 담론은 학벌주의와 결합함으로써 이들을 과도한 학습 경쟁 상황으로 밀어 넣는다. 이런 상황에서 영재들은 참자기를 잃어버리고 거짓자기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영재들이 잃어버린 자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성취가 아닌 존재 자체로 수용해주고 영재의 프레임 너머에 있는 내면의 진실에 귀 기울여 줄 수 있는 타인의 존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들이 사회문화적 담론에 희생양이 되지 않고 주체적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연구 참여자의 정체성 변화에서 반영되었듯이 수직적 우열보다 수평적 다양성의 가치가 우선시될 때 이들은 하느님이 준 선물을 개인의 유익을 넘어 세상의 유익을 위해 활용하면서 스스로도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성소수자 HIV/AIDS 감염인의 일과 교회를 중심으로 한 심리 사회적 경험 내러티브 탐구
내재화 문제 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PCIT-ED 사례 연구
약물중독단약자의 회복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기독공동체 ‘소망을 나누는 사람들’ 중심으로
전문상담 병행 목회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