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활동은 개인적인 삶을 감성적으로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계기이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작품은 생명, 정서, 내면적 실재에 대한 하나의 개념을 표현하며 현실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27307
대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술학과 , 2009. 2
2009
한국어
758.1 판사항(19)
대전
ⅲ, 27 p.: 삽도; 26 cm.
지도교수: 신영진
참고문헌: p.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예술활동은 개인적인 삶을 감성적으로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계기이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작품은 생명, 정서, 내면적 실재에 대한 하나의 개념을 표현하며 현실을 ...
예술활동은 개인적인 삶을 감성적으로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계기이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작품은 생명, 정서, 내면적 실재에 대한 하나의 개념을 표현하며 현실을 비현실과 만나게 해주는 동시에 사물과 세계에 대한 우리의 상투적이고 습관적인 시선과 감각을 예리하게 비틀어 준다. 그리고 자아를 성숙시킨다.
현대문명이 발달하고 많은 사람들이 도시속에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요즘 모든 인공적인 것들과 우리는 공존하고 있다. 까만 아스팔트를 호위하듯 서 있는 생명이 있는 나무들을 볼 때 잠시나마 새로움과 왠지 모를 행복함을 느낀다. 이처럼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공기와도 같은 자연 경치에 대한 잔잔한 애정을 느끼며 본인 작업은 시작되었다. 실제 본인이 살았던 집, 누군가 살고 있는 집, 많은 사람들이 하루를 보내는 일터, 이런 공간들은 너무도 일상적인 우리들의 삶의 한 단면이다. 하지만 그곳은 우리들만의 특별한 공간이고 쉼터이며 보금자리인 것이다. 이처럼 집 또는 건물들과 자연이라는 대상과의 조화로움을 본인의 내적 심상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담아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재현을 통한 새로운 내적 풍경화이다. 일상적이고 사소한 것들의 특정한 형태로 고정되어진 가치에 안주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것,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야말로 삶을 창조적으로 살아가는 방식이자 예술가의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본인은 풍경 속에 살아가는 개인의 삶과 체험을 통한 내면적 감성을 토대로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풍경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전체적 구성은 원근법을 기본으로 하며 면 분할에 중점을 두고 현실을 표현하였지만, 색채의 사용을 원색에 가깝게 표현하여 현실과는 다른 화면상에 있어서 낯설은 풍경으로 유도하였다. 또한 화면의 구성에 역점을 두고 물체를 배치하였으며, 건물의 지붕부문을 생략하여 뒷면에 보이는 공간을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으로 재구성하였다. 두 공간이 만나 하나의 풍경의 모습으로 재현되었지만 보는 이로 하여금 실존에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써 보여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공간에 존재할 것 같지 않은 잔디나 꽃이 활짝 핀 나무를 심어 사실적이지만 낯설은 풍경으로 표현하였고 작품들마다 보여지는 문과 창문은 본인이 원하는 이상향의 행복공간으로 향하는 소통의 통로인 것이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을 바라보는 사소한 감정으로 시작되었지만 눈에 보이는 풍경의 외관만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풍경에 대해서 내면적으로 무엇인가를 말해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풍경화의 이론적 배경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그 시대성을 알아보았으며 사실적이면서도 팝아트적인 작품들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풍경화에 있어 공간의 형성과 공간표현의 확장을 인지하며, 본인의 내면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조형요소들의 역할, 의미를 고찰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