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요 담화·연설을 통해 본 김정은 10년의 대외경제정책 분석과 전망 = Analysis of and Prospects for Kim Jong Un's 10-Year Foreign Economic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Jong Un's early foreign economic policies are represented by his strategy of attracting foreign capital, diversifying trade, and diversifying economic development zones. Five special zones were operated mainly in border areas, 24 economic development zones were designated in all directions and actively promoted. Some tourist development zones were initially designated as development zones, and investment attraction briefing sessions were detected, but they have not been seen since 2016. As international sanctions have been expanded and strengthened, North Korea is said to have focused on attracting foreign capital by fostering tourism, which is relatively easy to pursue, in areas such as Samjiyon, Yangdeok Hot Spring Cultural Resort and Wonsan Galma. However, tourism was suspended in 2020 due to the border blockade to deal with COVID-19, weakening momentum for promoting foreign economic policies.
      North Korea has set up a "scientific strategy and develop foreign economic projects in a destination-oriented manner" as the goal for its five-yea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lan (2021-2025). Despite the harsh external environment created by sanctions and COVID, credit compliance and diversification of foreign trade emphasized in the existing five-yea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2016-2020), acquisition of high-tech through joint projects, establishing an investment environment favorabl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ourism are still expected.
      번역하기

      Kim Jong Un's early foreign economic policies are represented by his strategy of attracting foreign capital, diversifying trade, and diversifying economic development zones. Five special zones were operated mainly in border areas, 24 economic developm...

      Kim Jong Un's early foreign economic policies are represented by his strategy of attracting foreign capital, diversifying trade, and diversifying economic development zones. Five special zones were operated mainly in border areas, 24 economic development zones were designated in all directions and actively promoted. Some tourist development zones were initially designated as development zones, and investment attraction briefing sessions were detected, but they have not been seen since 2016. As international sanctions have been expanded and strengthened, North Korea is said to have focused on attracting foreign capital by fostering tourism, which is relatively easy to pursue, in areas such as Samjiyon, Yangdeok Hot Spring Cultural Resort and Wonsan Galma. However, tourism was suspended in 2020 due to the border blockade to deal with COVID-19, weakening momentum for promoting foreign economic policies.
      North Korea has set up a "scientific strategy and develop foreign economic projects in a destination-oriented manner" as the goal for its five-yea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lan (2021-2025). Despite the harsh external environment created by sanctions and COVID, credit compliance and diversification of foreign trade emphasized in the existing five-yea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2016-2020), acquisition of high-tech through joint projects, establishing an investment environment favorabl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ourism are still expe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정은의 대외경제정책 초기는 경제개발구 중심의 외자유치 전략과 무역의 다각화 및 다양화로 대표될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스스로 중국 일변도의 대외무역 구조에 대한 문제 의식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에서 오히려 대중 무역 의존도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과거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점’형식의 5개의 특구를 운영한 것과는 달리 24개의 경제개발구를 전방위적으로 지정하면서 경제개발구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일부 관광개발구를 중심으로 개발구 지정 초기에는 투자유치설명회를 개최하거나 개발이 진행되는 듯한 모습도 감지되었으나, 2016년 이후에는 별다른 동향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2016년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가 확대·강화되면서 대외경제정책 추진 여건이 악화되자 북한은 삼지연시, 양덕 온천문화휴양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3대 자체관광지 개발 등 대북 제재 국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추진이 용이한 관광산업 육성을 통한 외자유치에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경 봉쇄로 관광마저 중단되면서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동력이 약화되었다.
      북한은 촘촘하고 정교하게 북한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을 고려하여 ‘과학적인 전략을 세우고 대외경제사업을 목적지향성있게 발전시켜 나갈 것’을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2021~2025년)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제재 국면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기존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2016~2020년)에서 강조한 대외무역의 신용준수 및 다변화, 합영·합작 사업을 통한 첨단기술 습득, 경제개발구 개발에 유리한 투자환경 구축, 관광사업 활성화 등은 여전히 향후 김정은 시대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주요 목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김정은의 대외경제정책 초기는 경제개발구 중심의 외자유치 전략과 무역의 다각화 및 다양화로 대표될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스스로 중국 일변도의 대외무역 구조에 대한 문제 의식을 표명...

      김정은의 대외경제정책 초기는 경제개발구 중심의 외자유치 전략과 무역의 다각화 및 다양화로 대표될 수 있다. 그러나 북한 스스로 중국 일변도의 대외무역 구조에 대한 문제 의식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에서 오히려 대중 무역 의존도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과거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점’형식의 5개의 특구를 운영한 것과는 달리 24개의 경제개발구를 전방위적으로 지정하면서 경제개발구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일부 관광개발구를 중심으로 개발구 지정 초기에는 투자유치설명회를 개최하거나 개발이 진행되는 듯한 모습도 감지되었으나, 2016년 이후에는 별다른 동향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2016년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가 확대·강화되면서 대외경제정책 추진 여건이 악화되자 북한은 삼지연시, 양덕 온천문화휴양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3대 자체관광지 개발 등 대북 제재 국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추진이 용이한 관광산업 육성을 통한 외자유치에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경 봉쇄로 관광마저 중단되면서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동력이 약화되었다.
      북한은 촘촘하고 정교하게 북한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을 고려하여 ‘과학적인 전략을 세우고 대외경제사업을 목적지향성있게 발전시켜 나갈 것’을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2021~2025년)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제재 국면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기존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2016~2020년)에서 강조한 대외무역의 신용준수 및 다변화, 합영·합작 사업을 통한 첨단기술 습득, 경제개발구 개발에 유리한 투자환경 구축, 관광사업 활성화 등은 여전히 향후 김정은 시대 대외경제정책 추진의 주요 목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한겨레"

      2 "통일법제데이터베이스"

      3 "통일뉴스"

      4 이해정 ; 신훈식 ; 이혜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김정은 시대 경제정책 분석" 세종연구소 27 (27): 157-182, 2021

      5 이해정, "주요 담화·연설을 통해 본 김정은 정권 10년의 대외경제정책 분석과 전망" 2021

      6 "조선중앙통신"

      7 "조선신보"

      8 박지연, "유엔의 스마트제재와 북한" (봄) : 2016

      9 통일부, "월간북한동향 4월"

      10 최장호, "북한의 무역제도 연구 : 남북한 CEPA 체결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1 "한겨레"

      2 "통일법제데이터베이스"

      3 "통일뉴스"

      4 이해정 ; 신훈식 ; 이혜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김정은 시대 경제정책 분석" 세종연구소 27 (27): 157-182, 2021

      5 이해정, "주요 담화·연설을 통해 본 김정은 정권 10년의 대외경제정책 분석과 전망" 2021

      6 "조선중앙통신"

      7 "조선신보"

      8 박지연, "유엔의 스마트제재와 북한" (봄) : 2016

      9 통일부, "월간북한동향 4월"

      10 최장호, "북한의 무역제도 연구 : 남북한 CEPA 체결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8

      11 이종규,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구 추진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5

      12 이해정, "북한의 경제개발구와 ‘통일경제특구’ 구상의 연계 가능성" 18 (18): 2018

      13 양문수, "북한의 경제 특구·개발구 지원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14 강성현, "북한의 UN 지속가능발전목표 자발적국별리뷰(VNR) 분석과 시사점" (21-22) : 2021

      15 국가정보원, "북한법령집 상·하권" 국가정보원 2020

      16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북한 지식사전"

      17 통일연구원, "북한 제7차 당대회 분야별 평가 및 향후 전망" 2016

      18 KOTRA, "북한 대외무역 동향 각 연도"

      19 통일부, "북한 기관별 인명록 2020" 통일부 2020

      20 김석진, "북한 경제발전 5개년 전략은 왜 실패했을까"

      21 "로동신문"

      22 이해정, "대북 제재 강화 이후 북한의 관광 정책 추진 동향과 과제" (여름) : 2021

      23 이종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북한의 경제정책 대응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8

      24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회, "김정은 체제 5년, 북한을 진단한다" 늘품플러스 2016

      25 오경섭, "김정은 정권 통치담론과 부문별 정책 변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담화·연설 분석" 통일연구원 2020

      26 홍제환, "김정은 정권 5년의 북한경제 :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7

      27 이해정, "김정은 정권 10년 경제정책 추진 현황 평가" (겨울) : 2021

      28 서상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변화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29 탁용달,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경제: 인식, 정책, 그리고 전망" 북한연구학회 24 (24): 121-152, 2020

      30 홍제환, "김정은 시대 북한경제 : 경제정책, 대외무역, 주민생활" 통일연구원 2021

      31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Voluntary National Review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30 Agend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repared by the Govern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32 "KOSIS 국가통계포털 북한통계"

      33 "DAILY N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