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하지도 교육받지도 않은 니트(NEET) 상태에 놓여 있는 청년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않았던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9139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3(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하지도 교육받지도 않은 니트(NEET) 상태에 놓여 있는 청년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않았던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
본 연구는 일하지도 교육받지도 않은 니트(NEET) 상태에 놓여 있는 청년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않았던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년’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년의 삶의 양상을 살펴보고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년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초대하여 면담, 설문 및 문서 자료 등을 활용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 결정 수준(결정, 미결정)’과 ‘취·창업을 위한 구직활동의 적극성 정도(적극, 소극)’를 두 축으로 삼아 ‘목표 돌진형’, ‘휴식·유예형’, ‘방향 없는 성실형’, ‘군입대 제약형’, ‘경계 없는 탐색형’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의미 있는 결과 중 하나는,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오래되지 않은 20대 초·중반 남성 청년들에게 있어 ‘군입대’가 그들의 진로 준비에 걸림돌이 되며, 진로 결정을 미루는 등 ‘일시적’ 니트 상태에 놓이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고졸 청년들 가운데 자신의 목표를 향해 고등학교 때부터 계획적으로 준비하고, 대학이 아닌 비공식 기관(학원 등)에서 적극적으로 배움을 얻는 ‘목표 돌진형’ 청년들이 있었다. 나아가 분명한 목표는 없을지라도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고 있는 ‘경계 없는 탐색형’ 청년들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졸 비진학·미취업 청년의 삶을 단일하고 단계적인 것으로 가정하여 취·창업 준비나 일률적으로 경제적인 비용 지원 등의 정책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청년들의 다양한 삶의 양상과 상황을 고려한 유연한 지원 정책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NEETs (young people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is increasing, yet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ir experiences, particularly those who do not pursue college after high school. This study categorizes h...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NEETs (young people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is increasing, yet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their experiences, particularly those who do not pursue college after high school. This study categorizes high school graduates identified as NEETs based on their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12 participants engaged i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Our analysis identified two pivotal factors influencing high school graduate NEETs: their level of career determination and job-seeking attitudes. These factor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five distinct NEET types: 1) proactive job-seekers, 2) individuals taking gap years, 3) disoriented hard workers, 4) individuals constrained by military enlistment, and 5) borderless explorers. It is noteworthy that military enlistment among males in their early 20’s contributes to their temporary NEET status,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an inactive approach to job seeking due to career indecision. Additionally, certain NEETs, such as proactive job-seekers and borderless explorers, choose not to pursue higher education. Instead, they strategically plan their careers during high school and explore alternative paths outside of colleg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ressing need for more flexible support policies tailored to the unique perspectives and circumstances of NEETs in Korea.
코로나19 전후 중학생의 학업무기력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령 초기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