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전개되고 있는 ‘교실 붕괴’현상의 심각성에 주목하면서 일선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원들의 ‘교실붕괴’현상에 대한 의식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144776
서울 :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2001
한국어
375.22 판사항(4)
371.1 판사항(20)
서울
vii, 67p. : 도표 ; 27 cm .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57-6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전개되고 있는 ‘교실 붕괴’현상의 심각성에 주목하면서 일선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원들의 ‘교실붕괴’현상에 대한 의식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본 연구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전개되고 있는 ‘교실 붕괴’현상의 심각성에 주목하면서 일선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원들의 ‘교실붕괴’현상에 대한 의식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교실 정상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등학교에서 학생의 교실수업 및 생활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중등학교에서 교실붕괴 현상에 대한 교원의 의식은 어떠한가?
셋째, 중등학교 교육 정상화에 대한 교원의 의식은 어떠한가?
연구의 방법은 현재의 교실 붕괴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찾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교육청 산하 11개 지역교육청으로 구분하여 국, 공, 사립 중등 교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교실에서의 수업 및 생활 태도에 관한 문항(6문항), 교실 붕괴 현상에 대한 교원 의식에 관한 문항(8문항), 교실 정상화를 위한 교원의 의식에 관한 문항(8문항), 기타 문항 등 23문항을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실에서의 수업 및 생활태도, 교실 붕괴의 원인, 교실 정상화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검증)과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x^2(Chi-sqaure)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량분석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Scheff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에서 학생의 교실수업 및 생활태도에 대한 교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실붕괴의 원인은 수업 받기를 거부하는 학생들의 행동과, 교사들에게 거침없이 반항하는 태도에서 교실붕괴의 위기를 느끼고 있다는 응답이 전체의 60%, 즉 과반수 이상이 교실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신뢰도에서도 33.2%가 부정적인 응답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대한 설문에서도 56%가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아울러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부당한 간섭과 이기주의, 사회 여론 및 매스컴의 반교육적 보도 태도 등, 복합적인 요인이 빚어낸 결과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중등학교의 교실붕괴현상에 대해 교원들은 우려하고 있다.
교사들은 교내폭력 문제에 대해서도 50.5%의 심각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교실위기의 원인에 대하여 가정의 교육적 기능 상실과 입시에만 집착한 나머지 인성교육을 경시한다는 응답이 44%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을 유혹하는 기성세대의 상업주의, 잘못된 교육정책 등을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원의 사기 및 전문성 신장대책 마련을 기대하고 있다. 사기수준을 묻는 질문에서 68%이상이 사기가 저하되었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응답이 40.7%로, 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반면에 교단 안정화 정책이 교사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28%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교실붕괴’는 오직 교사들의 헌신적인 봉사정신과 사명의식으로 마음의 상처가 치유될 때 비로소 극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는 교사들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사회적 존경심, 자존심 회복 분위기, 사회적 예우 및 공적 신분의 상향 조정의 제도적 장치가 만들어 질 때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lassroom normaliz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consciousness regarding ' classroom collapse' on the educational spot, paying attention to the seriou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lassroom normaliz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consciousness regarding ' classroom collapse' on the educational spot, paying attention to the serious phase of the present 'classroom collap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in this study, the questions were set up as below:
First, how are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hool hours and school life?
Second, how is the consciousness ct the teachers about the classroom collapse?
Third, how is the consciousness of teachers about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As a method of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subject of study were 500 public/pr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as follows:
Referred to the attitude to school and life in the classroom (6 items)
Referr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teachers about the classroom collapse (8 items)
Referr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teachers about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8 item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ith other 23 items and the statistical consideration verification set to, 05 level.
In conclusion, some of the significant findings in the study were as afterwards:
The actual state of 'classroom collapse' was a natural consequence, which was caused by students' disapproval of school, parents' defiant attitude to the teachers, the interference in school education and egoism for the own children, and the negation of mission in social education of social public opinion and mass media.
Teachers, as analysis showed, pointed out the lapse of educational role at home and commercialism that tempts students were the cause of ' Classroom collapse'.
'Classroom collapse' was due to the denial of school system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today's education came to crisis on account of the students' disobedience of teachers, the society's disbelief of education and the teachers' negation of duty, Teachers feel the crisis of 'classroom collapse' from defiant attitude and misconduct of the students who refuse to be taught by teachers.
As a result, the 'classroom collapse' could be overcome by devoted efforts of teachers and their spurt could be promoted only by the social respect for them with socially honorable treatment and the upper adjustment of the social pos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