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시간여행 2012
2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대한가족계획협회, "한국가족계획십년사"
4 김흥주,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과 가족정치: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51-82, 2002
5 양재모, "인구와 가족계획" 1976
6 가족계획협회, "인구 및 가족계획" 가족계획협회 1977
7 이진경, "역사의 공간 :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휴머니스트 2010
8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2001
9 조은주,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역사주의: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8) : 121-153, 2013
10 대한어머니회, "대한어머니회 40년사"
1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시간여행 2012
2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대한가족계획협회, "한국가족계획십년사"
4 김흥주,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과 가족정치: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5 (25): 51-82, 2002
5 양재모, "인구와 가족계획" 1976
6 가족계획협회, "인구 및 가족계획" 가족계획협회 1977
7 이진경, "역사의 공간 :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휴머니스트 2010
8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2001
9 조은주,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역사주의: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8) : 121-153, 2013
10 대한어머니회, "대한어머니회 40년사"
11 정현주,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여성정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2 이명선, "국회속기록에 나타난 여성정책 시각" 7 : 1990
13 윤정란, "국가·여성·종교: 1960-1970년대 가족계획사업과 기독교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8) : 59-91, 2008
14 황정미, "개발국가의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 1960~70년대의 한국 부녀행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5 조은주, "가족과 통치-인구는 어떻게 정치의 문제가 되었나" 창비 2018
16 양재모, "가족계획사업 30년 회고"
17 양재모, "가족계획교본" 대한가족설계협회 1966
18 홍승직, "가족계획과 사회개발" (3) : 1980
19 배은경, "가족계획 사업과 여성의 몸: 1960-70년대 출산조절 보급 과정을 통해 본 여성과 ‘근대’" 한국사회사학회 (67) : 260-299, 2005
20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연구모임, "『여원연구』 여성, 교양, 매체" 국학자료원 2008
21 손애리, "Socializing Childbirth: Korea's Family Planning Program in the 1960s and 1970s" 한국사회연구소 14 (14): 101-131, 2013
22 박광명,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논리" 동국역사문화연구소 (62) : 411-448, 2017
23 미국인구협회 한국사무소, "1971년 아시아 가족계획" 1973
24 보건사회부, "1970년도 가족계획사업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