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莊子』 「徐無鬼」편에 드러난 聖人의 德에 대한 이해 = 論『莊子』「徐無鬼」的聖人之德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49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論文,旨在要通過考察『莊子』「徐無鬼」篇之理論體系,探討其中有關‘德’之思想。흘今爲止,壹般來講有關‘德’之理論主要含有儒家哲學傾向,因而大多硏究主要圍繞著儒家思想來進行了。然而先秦道家哲學裏也含有關於‘德’之豊富的觀點。特別是,王夫之揭示到『莊子』「徐無鬼」篇繼承了『老子』38章所謂‘上德不德’,而當代中國學者劉笑敢說明了『莊子』「徐無鬼」篇以述而不作的方式來繼承莊子哲學而發明了其理論體系。筆者要解抉此問題,本論文要通過將『莊子』「徐無鬼」篇之有關‘德’之理論和老莊所謂‘德’之含義相比,試圖發明『莊子』「徐無鬼」篇所論的‘德’慨念之內涵。筆者進行壹番考察之後,得出如下結論。首先,『莊子』「徐無鬼」篇要將通過分析喪失‘德’之原因,而揭示了恢複‘德’之方法。據此,『莊子』「徐無鬼」篇激烈地反對行爲主體之爲善言行,同時也反對主觀的自我中心主義。其次,『莊子』「徐無鬼」篇强調理想人格,卽聖人、神人、眞人所含的德性,如謙讓和謙虛、無爲和不言。從此,在‘道’和‘德’慨念的關系下,『莊子』「徐無鬼」篇圍繞著‘道’之特性而規定了‘德’慨念之內容和特點。據此來看,『莊子』「徐無鬼」篇所論的‘德’慨念之含義類似於『老子』38章‘上德不德’、『莊子』「德充符」所謂‘才全而德不形’之觀點。所以,『莊子』「徐無鬼」篇之有關聖人之‘德’的思想,其慨念含有自然本性和聖人之修養境界的內涵,從而對於先秦道家有關‘德’的理論就産生了重大的影響。
      번역하기

      本論文,旨在要通過考察『莊子』「徐無鬼」篇之理論體系,探討其中有關‘德’之思想。흘今爲止,壹般來講有關‘德’之理論主要含有儒家哲學傾向,因而大多硏究主要圍繞著儒家思想...

      本論文,旨在要通過考察『莊子』「徐無鬼」篇之理論體系,探討其中有關‘德’之思想。흘今爲止,壹般來講有關‘德’之理論主要含有儒家哲學傾向,因而大多硏究主要圍繞著儒家思想來進行了。然而先秦道家哲學裏也含有關於‘德’之豊富的觀點。特別是,王夫之揭示到『莊子』「徐無鬼」篇繼承了『老子』38章所謂‘上德不德’,而當代中國學者劉笑敢說明了『莊子』「徐無鬼」篇以述而不作的方式來繼承莊子哲學而發明了其理論體系。筆者要解抉此問題,本論文要通過將『莊子』「徐無鬼」篇之有關‘德’之理論和老莊所謂‘德’之含義相比,試圖發明『莊子』「徐無鬼」篇所論的‘德’慨念之內涵。筆者進行壹番考察之後,得出如下結論。首先,『莊子』「徐無鬼」篇要將通過分析喪失‘德’之原因,而揭示了恢複‘德’之方法。據此,『莊子』「徐無鬼」篇激烈地反對行爲主體之爲善言行,同時也反對主觀的自我中心主義。其次,『莊子』「徐無鬼」篇强調理想人格,卽聖人、神人、眞人所含的德性,如謙讓和謙虛、無爲和不言。從此,在‘道’和‘德’慨念的關系下,『莊子』「徐無鬼」篇圍繞著‘道’之特性而規定了‘德’慨念之內容和特點。據此來看,『莊子』「徐無鬼」篇所論的‘德’慨念之含義類似於『老子』38章‘上德不德’、『莊子』「德充符」所謂‘才全而德不形’之觀點。所以,『莊子』「徐無鬼」篇之有關聖人之‘德’的思想,其慨念含有自然本性和聖人之修養境界的內涵,從而對於先秦道家有關‘德’的理論就産生了重大的影響。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용, "󰡔장자(莊子)󰡕 「경상초(庚桑楚)」편에 드러난 양생론" 중국학보 71 (71) : 519 ~ 534 , 2015

      2 장원태, "전국시대 본성론 형성의 배경" 東亞文化 (41) , 2003

      3 劉笑敢, "장자철학" 소나무 , 1990

      4 王博, "장자를 읽다" 바다출판사 , 2007

      5 이강수, "장자Ⅰ" 도서출판 길 , 2005

      6 앵거스 그레이엄, "장자" 이학사 , 2014

      7 데이비드 S, "유학의 갈림김" 철학과 현실사 , 2006

      8 이진용, "도가철학에서 공존과 소통 – 장자의 ‘無情’의 논의를 중심으로" 21세기 인문가치포럼 2015 발표문 , 2015

      9 김경수, "노자역주" 도서출판 문사철 , 2009

      10 이강수, "노자" 도서출판 길 , 2007

      1 이진용, "󰡔장자(莊子)󰡕 「경상초(庚桑楚)」편에 드러난 양생론" 중국학보 71 (71) : 519 ~ 534 , 2015

      2 장원태, "전국시대 본성론 형성의 배경" 東亞文化 (41) , 2003

      3 劉笑敢, "장자철학" 소나무 , 1990

      4 王博, "장자를 읽다" 바다출판사 , 2007

      5 이강수, "장자Ⅰ" 도서출판 길 , 2005

      6 앵거스 그레이엄, "장자" 이학사 , 2014

      7 데이비드 S, "유학의 갈림김" 철학과 현실사 , 2006

      8 이진용, "도가철학에서 공존과 소통 – 장자의 ‘無情’의 논의를 중심으로" 21세기 인문가치포럼 2015 발표문 , 2015

      9 김경수, "노자역주" 도서출판 문사철 , 2009

      10 이강수, "노자" 도서출판 길 , 2007

      11 郭慶藩, "莊子集釋 第四冊" 中華書局 , 1989

      12 曹礎基, "莊子淺注" 中華書局 , 1992

      13 박원재, "莊子 「德充符」편의 구조와 의미" 동양철학 7 , 1996

      14 신순정, "自然과 德 그리고 人間" 철학논총 19 , 1999

      15 王弼, "王弼集校釋 上" 中華書局 , 1999

      16 王夫之, "無求備載莊子集成初篇 19" 藝文印書館 , 1972

      17 이택용, "『장자』 「덕충부」의 主旨 및 ‘덕’의 의미에대한 고찰" 동양철학연구 81 (81) : 73 ~ 103 , 2015

      18 장원태, "『노자』 38장의 덕 개념에 대한 시론 - 유가의 덕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51 (151) : 109 ~ 146 ,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