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크리티컬 리터러시 기반의 영문학 강의 콘텐츠 개발: 오만과 편견 과 패러디 텍스트를 중심으로 =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 the Platform of Critical Literacy: Pride and Prejudice and Its Parody 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31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using theori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Critical literacy, which applies th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al pedagogy to ...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using theori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Critical literacy, which applies th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al pedagogy to literary eduction, provides specific questions for delving into literary texts. In a classroom that educates critical literacy, students no longer remain as merely passive recipients of the teacher’s instruction; rather, students perform an active role in a discussion-oriented classroom and foster the ability to read texts in critical and creative ways. Especially, parody texts can function as effective material in teaching students to attain critical literacy. Parody texts tend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their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ext raise interesting issues that can be addressed in relation to social/historical contexts.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and Bridget Jones’s Diary both re-write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in their own ways and reveal important points in revisiting central themes and problems of the original text.
      Among those, this paper focus on gender roles,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social class, suggesting the ways in which the teacher can lead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exts. Students are expected to approach critically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woman, the meaning of marriage, and socially constructed tast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lso, they may further develop their understanding by producing their own re-writes of Pride and Prejudice in diverse ways, responding actively to the social problems that surround their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오만과 편견 과 패러디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의 제안
      • IV. 결론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오만과 편견 과 패러디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의 제안
      • IV.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정, "풍속소설 다시 쓰기: '오만과 편견과 좀비' 읽기" 19세기영어권문학회 16 (16): 129-154, 2012

      2 정끝별, "패러디의 시학" 문학세계사 1997

      3 선주원, "패러디를 활용한 허구적 글쓰기 교육" 13 : 237-266, 2001

      4 김찬빈,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인 읽기 수업:『프린세스 다이어리』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 (20): 83-110, 2016

      5 최석무,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백설공주”읽기교육 —원작과 영화,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영어영문학회 55 (55): 885-906, 2009

      6 김혜리, "영어 교수・학습법 개발을 위한 전래동화와 패러디의 연계 활용에 대한 연구" 21세기영어영문학회 24 (24): 135-157, 2011

      7 손동현,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 교육" 1 (1): 107-123, 2007

      8 여홍상, "비판적 언어능력을 위한 영문학 교육" 3 : 5-23, 1999

      9 토도로프, 츠베탕, "바흐친: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까치 1987

      10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바흐친의 문학 이론" 문학과 지성 1991

      1 조선정, "풍속소설 다시 쓰기: '오만과 편견과 좀비' 읽기" 19세기영어권문학회 16 (16): 129-154, 2012

      2 정끝별, "패러디의 시학" 문학세계사 1997

      3 선주원, "패러디를 활용한 허구적 글쓰기 교육" 13 : 237-266, 2001

      4 김찬빈,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인 읽기 수업:『프린세스 다이어리』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 (20): 83-110, 2016

      5 최석무,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백설공주”읽기교육 —원작과 영화,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영어영문학회 55 (55): 885-906, 2009

      6 김혜리, "영어 교수・학습법 개발을 위한 전래동화와 패러디의 연계 활용에 대한 연구" 21세기영어영문학회 24 (24): 135-157, 2011

      7 손동현,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 교육" 1 (1): 107-123, 2007

      8 여홍상, "비판적 언어능력을 위한 영문학 교육" 3 : 5-23, 1999

      9 토도로프, 츠베탕, "바흐친: 문학사회학과 대화이론" 까치 1987

      10 김욱동, "대화적 상상력: 바흐친의 문학 이론" 문학과 지성 1991

      11 손혜숙, "대학 글쓰기에서의 패러디 글쓰기 교육방법 연구" 대학작문학회 (11) : 77-98, 2015

      12 남희진, "『브리짓 존스의 일기』: 오스틴 다시쓰기와 극복"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15 (15): 85-105, 2008

      13 Grahame-Smith, Seth,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Quirk Books 2009

      14 Austen, Jane, "Pride and Prejudice" Penguin 2014

      15 Freire, Paulo, "Pedagogy of the Oppressed" Continuum 2007

      16 Murphy, Olivia, "Jane Austen’s Excellent Walker: Pride, Prejudice, and Pedestrianism" 26 (26): 121-142, 2013

      17 Mangiavellano, Daniel R., "First Encounters with Pride and Prejudice in the Composition Classroom" 12 (12): 550-555, 2012

      18 Abedinia, Arman, "Critical pedagogy in ELT classroom: exploring contributions of critical literacy to learners’ critical consciousness" 22 (22): 338-352, 2013

      19 Beck, Ann S., "Critical literacy in the classroom" 6 (6): 3-9, 2005

      20 Borsheim-Black, Carlin, "Critical Literature Pedagogy: Teaching Canonical Literature for Critical Literacy" 58 (58): 123-133, 2014

      21 McLaughlin, Maureen, "Critical Literacy: Enhanc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Text" Scholastic 2004

      22 McDaniel, Cynthia A., "Critical Literacy: A Questioning Stance and the Possibility for Change" 57 (57): 472-481, 2004

      23 McDaniel, Cynthia A, "Critical Literacy : A Way of Thinking, a Way of Life" Peter Lang 2006

      24 Fielding, Helen, "Bridget Jones’s Diary" Picador 2001

      25 Hutcheon, Linda, "A Theory of Parody : The Theory of Twentieth-Century Art Forms" U of Illinois P 2000

      26 Swanson, Troy, "A Critical Information Literacy Model: Library Leadership within the Curriculum" 35 (35): 877-89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3 0.59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