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에 대한 목회 슈퍼비전: 정신역동의 관점에서 = Pastoral Supervision on Sexual Issues in Ministry: A Psychodynamic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38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는 교회 내외에서 큰 파급력을 갖는다. 대개 목회자에게는 일반인들에게 부과되는 것보다 더욱 높은 도덕적, 윤리적 기준이 요청되기 때문에, 목회자가 성적인 이슈에 관련될 경우 해당 목회자 개인을 넘어 교계를 향한 강력한 비난이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교계는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를 언급하는 것 자체를 터부시하거나 이슈를 수면화하기보다는 축소하는 경향성을 보여 왔다. 이미 사회적으로 드러난 사건의 경우에는 해당 이슈가 목회자 개인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며 개인적인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는 접근이 주류를 이룬다. 목회자가 성적 부정을 저지르는 것은 목회자가 윤리적으로 타락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다. 조금 더 큰 틀에서 체계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목회자 성 이슈가 교회 안의 권력 구도, 힘의 차이에 연유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나, 해결 방안은 여전히 윤리적 접근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본 논문은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를 윤리적, 개인적 문제로 인식하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해당 접근이 그릇되었다기보다는 거시적으로 목회자, 상처 입게 된 성도들이나 교회 공동체, 이들을 지켜보는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목회자가 갖는 성 관련 이슈를 목회자 개인의 윤리적 타락으로 해석하고 처벌로 일괄하는 대신, 목회 수퍼비전을 제공하되 정신역동에 중점을 두어 접근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목회 수퍼비전은 목회자가 좋은 돌봄 제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정신역동적 관점은 목회자와 성도 사이에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실연을 예방하는 동시에 개인의 치유와 성장을 돕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이 목회 수퍼비전을 통하여 목회자들이 성적 역동을 윤리적 타락의 증거이자 덫이 아닌 강력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는 교회 내외에서 큰 파급력을 갖는다. 대개 목회자에게는 일반인들에게 부과되는 것보다 더욱 높은 도덕적, 윤리적 기준이 요청되기 때문에, 목회자가 성적인 이슈에...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는 교회 내외에서 큰 파급력을 갖는다. 대개 목회자에게는 일반인들에게 부과되는 것보다 더욱 높은 도덕적, 윤리적 기준이 요청되기 때문에, 목회자가 성적인 이슈에 관련될 경우 해당 목회자 개인을 넘어 교계를 향한 강력한 비난이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교계는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를 언급하는 것 자체를 터부시하거나 이슈를 수면화하기보다는 축소하는 경향성을 보여 왔다. 이미 사회적으로 드러난 사건의 경우에는 해당 이슈가 목회자 개인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며 개인적인 관점에서 해결책을 찾는 접근이 주류를 이룬다. 목회자가 성적 부정을 저지르는 것은 목회자가 윤리적으로 타락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다. 조금 더 큰 틀에서 체계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목회자 성 이슈가 교회 안의 권력 구도, 힘의 차이에 연유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나, 해결 방안은 여전히 윤리적 접근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본 논문은 목회자의 성 관련 이슈를 윤리적, 개인적 문제로 인식하는 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해당 접근이 그릇되었다기보다는 거시적으로 목회자, 상처 입게 된 성도들이나 교회 공동체, 이들을 지켜보는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목회자가 갖는 성 관련 이슈를 목회자 개인의 윤리적 타락으로 해석하고 처벌로 일괄하는 대신, 목회 수퍼비전을 제공하되 정신역동에 중점을 두어 접근하는 관점을 제시한다. 목회 수퍼비전은 목회자가 좋은 돌봄 제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정신역동적 관점은 목회자와 성도 사이에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실연을 예방하는 동시에 개인의 치유와 성장을 돕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이 목회 수퍼비전을 통하여 목회자들이 성적 역동을 윤리적 타락의 증거이자 덫이 아닌 강력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storal sexual issues have significant ramifications within and beyond the church. Because pastors are held to higher moral and ethical standards than laypeople, their involvement in sexual mis-conduct provokes widespread criticism, extending beyond the in-dividual to the church community. As a result, discussions of pastoral sexual issues are often considered taboo, leading to suppression or minimization rather than open engagement. When cases become public, they are typically framed as individual moral failures, with solutions centered on personal accountability and ethical reform. A broader systemic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role of church power dynamics, yet responses remain largely within an ethical framework.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tendency to interpret pastoral sexual issues solely as ethical or personal failures. While ethics are important, this approach does not facilitate healing for pastors, con-gregants, the church, or society. Instead, this study proposes pastoral supervision grounded in a psychodynamic perspective, which offers deeper insight into unconscious relational dynamics. Such an ap-proach helps pastors develop as ethical caregivers while preventing boundary violations and fostering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restoration. By integrating pastoral supervision and psychodynamic insight, this paper suggests that pastors can approach sexual dynam-ics not as proof of moral failure but as a crucial aspect of human rela-tionships that, when properly understood, can serve as a powerful resource for pastoral care and spiritual growth.
      번역하기

      Pastoral sexual issues have significant ramifications within and beyond the church. Because pastors are held to higher moral and ethical standards than laypeople, their involvement in sexual mis-conduct provokes widespread criticism, extending beyond ...

      Pastoral sexual issues have significant ramifications within and beyond the church. Because pastors are held to higher moral and ethical standards than laypeople, their involvement in sexual mis-conduct provokes widespread criticism, extending beyond the in-dividual to the church community. As a result, discussions of pastoral sexual issues are often considered taboo, leading to suppression or minimization rather than open engagement. When cases become public, they are typically framed as individual moral failures, with solutions centered on personal accountability and ethical reform. A broader systemic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role of church power dynamics, yet responses remain largely within an ethical framework.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tendency to interpret pastoral sexual issues solely as ethical or personal failures. While ethics are important, this approach does not facilitate healing for pastors, con-gregants, the church, or society. Instead, this study proposes pastoral supervision grounded in a psychodynamic perspective, which offers deeper insight into unconscious relational dynamics. Such an ap-proach helps pastors develop as ethical caregivers while preventing boundary violations and fostering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restoration. By integrating pastoral supervision and psychodynamic insight, this paper suggests that pastors can approach sexual dynam-ics not as proof of moral failure but as a crucial aspect of human rela-tionships that, when properly understood, can serve as a powerful resource for pastoral care and spiritual grow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