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문헌 분석 : 초기 양육행동과 아동의 적응적 발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6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기 양육행동과 아동의 적응적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 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문제 행동의 감소, 긍정적 정서 반응과 인지기능 등 아동...

      본 연구에서는 초기 양육행동과 아동의 적응적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 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은 문제 행동의 감소, 긍정적 정서 반응과 인지기능 등 아동의 적응적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초기 돌봄의 경험과 이후의 발달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커니즘으로 애착 이론으로부터 내적작동모델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즉 자아와 타인의 정신적·인 지적 표상인 내적작동모델은 초기 주 양육자와의 관계의 경험으로부터 생성되 고 이는 이후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인지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 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어린시절 부모-자녀와의 관계를 설명하 는데 있어 이들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과 부모와 자녀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다는 양방향성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아동과 부모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한 방법론과 이론적 틀을 채택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early parenting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 vast body of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positive parenting is related to adaptive developmental outcomes such as fewer externalizing behaviors, opt...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early parenting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 vast body of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positive parenting is related to adaptive developmental outcomes such as fewer externalizing behaviors, optimal cognitive functioning, and positive emotional response to relational events. The literature suggests the internal working models concept from attachment theory as the underlying mechanism of how early caregiving experiences continue to later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Also, the literatu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bidirectionality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context surrounding parent and child. Based on this review, future research needs to adopt the appropriat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addressing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Introduction
      • II. Early caregiving experiences, representations, and later adaptation
      • III. Ecology of Parenting
      • IV. Bidirectionality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 국문초록
      • I. Introduction
      • II. Early caregiving experiences, representations, and later adaptation
      • III. Ecology of Parenting
      • IV. Bidirectionality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 V. Conclusion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