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를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해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은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과학영재 교육기관의 현실에 비추어 심층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7969
청주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과학영재교육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영재 ; 개별화 ; 개별화 교육 ; 과학영재 ; 영재 지도교사 인식
371.95 판사항(22)
충청북도
ix, 131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정진우
참고문헌 : p.p.75-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를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해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은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과학영재 교육기관의 현실에 비추어 심층적으...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를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해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은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과학영재 교육기관의 현실에 비추어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문제점들을 짚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과학영재 개별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한 방향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영재를 지도한 경험이 있고, 영재교육 혹은 과학교과교육 분야로 학위를 가지고 있는 현직 교사를 중심으로 15명을 섭외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였으며, 면담 내용은 연구 참여자들의 동의하에 모두 녹음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녹음한 면담 내용을 모두 전사한 후, 유의미한 단어를 추출하고, 자료를 수평화 하였다. 이 자료들을 상위 범주와 하위 범주로 구분하고, 범주들 간의 상호 관계 및 위계를 설정하였다. 이때, 각 코드별로 언급 빈도수를 측정하여 기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매칭되는 분석틀은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지속된 논의를 통해 설정하고 이에 따라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이메일을 통해 연구 참여자 리뷰 과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내용을 반영하여 최종 결과를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 대부분은 과학영재교육에 있어 이상적인 영재교육은 학생의 성향에 따른 개인적 요구를 이해해야 하고, 학생이 스스로 주도하는 연구방향이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개별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영재 개별화와 관련한 과학영재교육 기관 운영의 문제점으로 교사들은 재정적 지원의 감소를 가장 큰 문제로 들었으며, 교사의 소명의식 및 전문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시간, 장소의 제약과 함께 대학입시와 관련된 교육환경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영재교육기관 및 대상자의 과도한 확대와 표준화된 측정 도구 및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 교사의 일관된 관찰 시스템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또한, 영재교육기관들의 획일화된 교육과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이미 진행되고 있는 개별화 프로그램도 단점이 많고 미미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과학영재 개별화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교사들은 최적화된 교육환경과 일관된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였으며, 교사의 지속적 관찰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또,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하며, 협동학습 내에서의 동료학습이 개별화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와 함께, 개별화에 따른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처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과학영재 지도 교사들이 요구하는 과학영재교육의 개별화 교육과정의 필요성, 실제, 방향에 관한 분석 자료는 과학영재 교육과정의 현재를 돌아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