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충북 소재 4 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203개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58429
장우정 (극동대학교)
2023
Korean
Growth mindset ; Career adaptability ; Career environment ; Learning flow ; Mediating effect ; 성장마인드셋 ; 진로적응성 ; 진로 환경 ; 학습몰입 ; 매개효과
KCI등재
학술저널
1-9(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충북 소재 4 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203개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
본 연구는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충북 소재 4 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203개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SPSS 26.0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확인적요인분석을 기반으로 측정모형을 평가한 후 수행한 경로분석은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장마인드셋은 학습몰입에 직접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β=.403, p<.001), 학습몰입 역시 진로적응성에정(+)의 영향을 미쳤다(β=.393, p<.001). 또한 성장마인드셋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성장마인드셋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학습몰입이 필수적으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진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함양과 함께 학습몰입 환경 구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203 response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203 response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Growth Mindset had a direc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Flow (β=.403, p<.001), and Learning Flow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β=.393, p<.001).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Career Adaptability, Learning Flow showed a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in order for Growth Mindset to affect Career Adaptability, Learning Flow must be considered as essential. To this end,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a Learning Flow along with cultivating a Growth Mindset.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임복, "학습 몰입의 성격 분석 연구 -학습 동기, 학업성취도 및Csikszentmihalyi의 몰입 모델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87-212, 2008
2 김창규 ; 김재호, "초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45-968, 2020
3 박희정, "진로환경이 그릿과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 (13): 789-802, 2022
4 박은 ; 김교헌,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27-250, 2015
5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고용가능성과 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성,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6 임효진,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의 예측력 : 진로적응성과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44 (44): 149-181, 2023
7 김주영 ; 탁진국,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4 (14): 1707-1722, 2023
8 이효선,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3 (23): 564-573, 2023
9 장우정,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산업경영학회 21 (21): 49-56, 2023
10 김혜미 ; 최아론,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5 (25): 129-144, 2022
1 석임복, "학습 몰입의 성격 분석 연구 -학습 동기, 학업성취도 및Csikszentmihalyi의 몰입 모델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87-212, 2008
2 김창규 ; 김재호, "초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45-968, 2020
3 박희정, "진로환경이 그릿과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상황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 (13): 789-802, 2022
4 박은 ; 김교헌, "암묵증진이론에 기반한 학습목표지향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27-250, 2015
5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고용가능성과 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성,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6 임효진,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그릿의 예측력 : 진로적응성과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44 (44): 149-181, 2023
7 김주영 ; 탁진국,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4 (14): 1707-1722, 2023
8 이효선,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3 (23): 564-573, 2023
9 장우정,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산업경영학회 21 (21): 49-56, 2023
10 김혜미 ; 최아론,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5 (25): 129-144, 2022
11 M. H. N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of Career Adaptability and Application to Career Counseling" Korea University 2018
12 K. T. Oh,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earning Flow of the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A University" Korea University 2020
13 J. H.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A Enterprise Employe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Korea University 2021
14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Vol. 195)" Harper & Row 1957
15 Y. N. Seo, "The Moderating Effect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23
16 Y. Y. Lee, "The Longitudinal study of Vocational identity of Emerging Adults: the relationships among Vocational identity, Individual Differences, and Career Adaptation" Korea University 2021
17 C. Y. Jeong,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Occupational Engagement: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Type" Chung-Ang University 2021
18 J. C. Anders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 Step Approach" 103 (103): 453-460, 1988
19 J. C. Anders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 Step Approach" 103 (103): 453-460, 1988
20 조윤성 ; 홍아정 ; 정채윤, "Rasch 모형을 이용한 직무몰입 척도(UWES-9) 타당성 검토" Human Engagement Institute 15 (15): 111-139, 2020
21 J. C. Nunnally, "Psychometrictheory" McGraw-Hill 1978
22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23 J. F. Hair,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Education International 2006
24 Dweck, C. S.,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Ballantine Books 2006
25 A.L. Duckworth, "Intelligence is not enough: Non-IQ predictors of achievement"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6
26 Dweck, C. S., "Implicit theories: Elaboration and extension of the model" 6 (6): 322-333, 1995
27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Collins 1990
28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29 Super, D. E.,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 Some theoretical problems" 9 : 194-201, 1981
30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y :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45 : 247-259, 1997
31 Maggiori, C., "Career adapt-abilities scale–short form(CAAS-SF)construction and validation" 25 (25): 312-325, 2017
32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 :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countries" 80 : 661-673, 2012
33 Schaufelo,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A crossnational study" 33 (33): 464-481, 2002
34 Schaufelo,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 A crossnational study" 33 (33): 464-481, 2002
35 Handelsman, M. M.,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98 (98): 184-191, 2005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수 계정에 다중 권한 부여가 가능한 다중 해시값 기반의 안전한 패스워드 인증 기법 설계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