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66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mathematics test i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10 to 2012,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assessing mathematic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could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mathematical terms and symbols as well as various mathematical propertie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Proficient level' students tended to feel difficult to apply linear function, properties of a plane figure, and a solid figure, while 'Basic level' students seemed to have trouble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almost all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nd to strengthen teaching, particularly, the areas of number and ope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mathematics test i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mathematics test i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10 to 2012,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assessing mathematic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could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mathematical terms and symbols as well as various mathematical propertie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Proficient level' students tended to feel difficult to apply linear function, properties of a plane figure, and a solid figure, while 'Basic level' students seemed to have trouble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almost all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nd to strengthen teaching, particularly, the areas of number and 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2003년 앙고프 방법을 변형하여 성취수준별 분할점수를 설정하고 그것을 기준점으로 성취수준을 구분하는 방식을 구안하여 2009년까지 활용하였다. 새 교육과정이 도입되고 전수평가 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기준점이 필요하게 되어 2010년에 교과별로 성취수준을 재설정하였고, 그것으로 성취수준을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원점수에 설정된 성취수준의 기준점을 척도점수로 변환하여 학생들을 성취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미달로 구분한다(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외, 2011).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2003년 앙고프 방법을 변형하여 성취수준별 분할점수를 설정하고 그것을 기준점으로 성...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2003년 앙고프 방법을 변형하여 성취수준별 분할점수를 설정하고 그것을 기준점으로 성취수준을 구분하는 방식을 구안하여 2009년까지 활용하였다. 새 교육과정이 도입되고 전수평가 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새로운 기준점이 필요하게 되어 2010년에 교과별로 성취수준을 재설정하였고, 그것으로 성취수준을 산출하여 보고하고 있다. 원점수에 설정된 성취수준의 기준점을 척도점수로 변환하여 학생들을 성취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미달로 구분한다(김경희, 김완수, 최인봉, 상경아, 김희경, 신진아 외, 2011).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정화,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179-200,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8]"

      3 김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18, 2011

      4 정은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박정,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기술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7-, 2006

      6 김성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지역간 학력 차이에 따른 초·중·고 학교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51-72, 2011

      7 이광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학교교육의 성과와 변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3-128, 2013

      8 김동영,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9 김미경,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0 조윤동,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 고정화,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179-200,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8]"

      3 김경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력 향상의 특성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18, 2011

      4 정은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5 박정,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기술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7-, 2006

      6 김성숙,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의 지역간 학력 차이에 따른 초·중·고 학교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51-72, 2011

      7 이광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학교교육의 성과와 변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3-128, 2013

      8 김동영,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9 김미경,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0 조윤동, "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1 이영주, "2011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영어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 김동영,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과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3 조윤동,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수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4 이정우,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사회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5 김도남,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6 이봉주, "2010년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