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질문은 “일본 역사 문제에 대해 중국의 대일 외교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이다. 본 연구는 중국이 공산당 집권 정당화를 위해 일본의 역사 문제에 강경하게 대응한다고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28618
2022
-
중국 ; 일본 ; 중일 관계 ; 사죄 이론 ; 역사 문제 ; China ; Japan ; China-Japan Relation ; Sorry State Theory ; History Issue
300
KCI등재
학술저널
32-49(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질문은 “일본 역사 문제에 대해 중국의 대일 외교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이다. 본 연구는 중국이 공산당 집권 정당화를 위해 일본의 역사 문제에 강경하게 대응한다고 주...
본 연구의 질문은 “일본 역사 문제에 대해 중국의 대일 외교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가?”이다. 본 연구는 중국이 공산당 집권 정당화를 위해 일본의 역사 문제에 강경하게 대응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은 1972년 일본과 국교를 정상화하면서, 민감했던 일본의 전쟁범죄 책임을 뒤로 미루고, 일본과의 우호적 관계를 수립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국 공산당은 일본의 역사 문제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하는 정책적 전환을 보였다. 이러한 정책 전환은 중국 공산당이 탈냉전 이후 사회주의 혁명 정당으로서 정당성을 내세우기 어려워졌다는 데에서 기인했다. 대내적으로, 중국 공산당은 민족주의를 자신의 집권 정당성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중국이 일본에 대한 외교 정책에서 역사 문제를 주요한 문제로 내세우지 않았다. 따라서 역사 문제가 동북아에서의 동맹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보기는 어렵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s question is, “How has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Japan changed in relation to Japanese historical issues?” This study argues that China is taking a hard line against Japan’s historical issues to justify the Communist Party...
This article’s question is, “How has China’s foreign policy toward Japan changed in relation to Japanese historical issues?” This study argues that China is taking a hard line against Japan’s historical issues to justify the Communist Party’s ruling. When China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in 1972, it set aside Japan’s responsibility for war crimes an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Japan. However, in the 2000s, the CCP shifted a policy responding strongly to Japan’s historical issues. This policy shift was because the CCP had difficulty establishing legitimacy as a socialist revolutionary party after the post-Cold War. The CCP uses nationalism as its justification for the ruling. Therefore, the History issue could not affect the alliance structure in Northeast Asia.
다자주의를 통한 중국의 對 아프리카 운명공동체 구상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을 중심으로-
중국의 군민융합(军民融合)전략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민군협력체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 이주노동자의 공동체의식과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