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나노 Ruthenium Oxide 고분자 복합재료 pH전극 = Nano-Ruthenium Oxide Polymeric Composite pH Electro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79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rface renewable nano-RuO2/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ic composite pH electrodes were prepared. The composite electrode with 53 wt% of nano-RuO2 showed similar good response characteristics to nano-IrO2 composite electrode reported earlier. It showed response slope of -58.7 mV/pH, response time of <1 s, surface renewability of -57.0±0.3 mV/pH (n=5) and long time stability for a month as well as low interferences but high interferences by electrochemically active species like I- and Fe(CN)6 3-. However, the response slope and time became worse at higher pH than 9 compared to those of nano- IrO2 composite electrodes possibly due to the difference of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from higher content of nano-RuO2 in polymeric composite matrix.
      번역하기

      Surface renewable nano-RuO2/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ic composite pH electrodes were prepared. The composite electrode with 53 wt% of nano-RuO2 showed similar good response characteristics to nano-IrO2 composite electrode reported earlier. It ...

      Surface renewable nano-RuO2/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ic composite pH electrodes were prepared. The composite electrode with 53 wt% of nano-RuO2 showed similar good response characteristics to nano-IrO2 composite electrode reported earlier. It showed response slope of -58.7 mV/pH, response time of <1 s, surface renewability of -57.0±0.3 mV/pH (n=5) and long time stability for a month as well as low interferences but high interferences by electrochemically active species like I- and Fe(CN)6 3-. However, the response slope and time became worse at higher pH than 9 compared to those of nano- IrO2 composite electrodes possibly due to the difference of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from higher content of nano-RuO2 in polymeric composite matrix.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금속산화물 고분자 복합재료전극 제조기법을 수소이온 감응성이 높은 RuO2에 적용하여 표면연마가 가능한 나노 RuO2 복합재료 pH전극을 제조하였다. RuO2 함량 53 wt%을 가지는 나노 RuO2 복합재료 전극의 경우 나노 IrO2 복합재료 전극과 비슷 한 수소이온 감응특성을 나타내었다. pH 1~9의 범위에서 이론치에 가까운 -58.7 mV/pH의 감응기울기, 1초 이하의 감응속도, 평 균 -57.0±0.3 mV/pH (n=5)의 표면재생성, 장기 안정성 등 제반 특성과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높은 화학종에 의한 방해효과도 비 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pH 10 이상의 염기성 용액에서의 감응기울기와 감응속도는 나노 IrO2 복합재료전극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복합재료 매질 속의 금속산화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성질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번역하기

      금속산화물 고분자 복합재료전극 제조기법을 수소이온 감응성이 높은 RuO2에 적용하여 표면연마가 가능한 나노 RuO2 복합재료 pH전극을 제조하였다. RuO2 함량 53 wt%을 가지는 나노 RuO2 복합재료...

      금속산화물 고분자 복합재료전극 제조기법을 수소이온 감응성이 높은 RuO2에 적용하여 표면연마가 가능한 나노 RuO2 복합재료 pH전극을 제조하였다. RuO2 함량 53 wt%을 가지는 나노 RuO2 복합재료 전극의 경우 나노 IrO2 복합재료 전극과 비슷 한 수소이온 감응특성을 나타내었다. pH 1~9의 범위에서 이론치에 가까운 -58.7 mV/pH의 감응기울기, 1초 이하의 감응속도, 평 균 -57.0±0.3 mV/pH (n=5)의 표면재생성, 장기 안정성 등 제반 특성과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높은 화학종에 의한 방해효과도 비 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pH 10 이상의 염기성 용액에서의 감응기울기와 감응속도는 나노 IrO2 복합재료전극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복합재료 매질 속의 금속산화물 함량에 따른 물리적 성질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rdizzone, S., 126 : 287-, 1981

      2 Park, J., 61 : 848-, 1989

      3 Fog, A., 5 : 137-, 1984

      4 Kreider, K. G., 28 : 167-, 1995

      5 Kinoshita, K., 131 : 1089-, 1984

      6 Burke, L. D., 163 : 117-, 1984

      7 Gab, S., 21 : 29-, 1989

      8 Huang, W.-D., 169 : 1-, 2011

      9 Tarlov, M. J., 1 : 293-, 1990

      10 Pasztor, K., 12 : 225-, 1993

      1 Ardizzone, S., 126 : 287-, 1981

      2 Park, J., 61 : 848-, 1989

      3 Fog, A., 5 : 137-, 1984

      4 Kreider, K. G., 28 : 167-, 1995

      5 Kinoshita, K., 131 : 1089-, 1984

      6 Burke, L. D., 163 : 117-, 1984

      7 Gab, S., 21 : 29-, 1989

      8 Huang, W.-D., 169 : 1-, 2011

      9 Tarlov, M. J., 1 : 293-, 1990

      10 Pasztor, K., 12 : 225-, 1993

      11 Wipf, D. O., 72 : 4921-, 2000

      12 Bezbaruah, A. N., 74 : 5726-, 2002

      13 Wang, M., 81 : 313-, 2002

      14 Park, S., 77 : 7695-, 2005

      15 da Silva, G. M., 616 : 36-, 2008

      16 Ryynanen, T., 5 : 548-, 2010

      17 Carroll, S., 82 : 878-, 2010

      18 Kakooei, S., 8 : 3290-, 2013

      19 Huang, F., 160 : B184-, 2013

      20 Katsube, T., 2 : 399-, 1982

      21 Park, J., 95 : 102-, 2010

      22 Park, J., 204 : 197-, 2014

      23 Shaw, B. R., 60 : 1241-, 1988

      24 Hongmei Quan, "Surface Renewable Hydrogen Ion-Selective Polymeric Composite Electrode Containing Iridium Oxide" 대한화학회 26 (26): 1565-156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