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50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 소재의 2개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에 등록한 사회복지전공자 중에 중년 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결측 및 오류가 있는 9부를 제외한 총 362부의 조사결과를 기술통계분석방법과 Levene 검정, 다중회귀 분석 등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에서 각각의 변수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학습참여동기에서는 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에서는 인지적 몰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의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 모두에 가장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근무형태에 따라 학습참여동기가 다르게 나타나며, 그에 따라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풀타임 근무자들은 목표지향성 학습참여동기가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트타임 근무자들은 풀타임 근무자나 무직자에 비해 목표지향성 동기가 높으며,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습지향성 동기가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고 특히 정의적 몰입에 높은 수준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직 근무형태의 경우 인지적 몰입에는 목표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영향을 주고 정의적 몰입에는 학습지향성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원에서 학습을 준비 중인 중년 여성의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전략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 소재의 2개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에 등록한 사회복지전공자 중...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 소재의 2개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학점은행제에 등록한 사회복지전공자 중에 중년 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결측 및 오류가 있는 9부를 제외한 총 362부의 조사결과를 기술통계분석방법과 Levene 검정, 다중회귀 분석 등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에서 각각의 변수의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학습참여동기에서는 목표지향성이, 학습몰입에서는 인지적 몰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의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 모두에 가장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근무형태에 따라 학습참여동기가 다르게 나타나며, 그에 따라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풀타임 근무자들은 목표지향성 학습참여동기가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트타임 근무자들은 풀타임 근무자나 무직자에 비해 목표지향성 동기가 높으며,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습지향성 동기가 인지적 몰입과 정의적 몰입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고 특히 정의적 몰입에 높은 수준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직 근무형태의 경우 인지적 몰입에는 목표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영향을 주고 정의적 몰입에는 학습지향성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원에서 학습을 준비 중인 중년 여성의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전략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on learning flow for middle-aged women on National Credit Bank System. Middle-aged women majoring social welfare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were sampling targets. The result of analyze on 362 women is as follows. First, examining proneness of variables proved goal-orientated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cognitive absorption of learning flow had the highest values. Second,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learning-oriented motivation strongly influences both cognitive absorption of learning flow and affective absorption. Third,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are shown to be different based on learner’s working pattern. For workers with full-time job, goal-oriented motivation had influences on both cognitive absorp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For workers with part-time job, value for goal-oriented motivation was very high. Learning-orientated motivation exerts the strongest influence on cognitive absorp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Lastly for unemployed, cognitive absorption was impacted by goal-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was impacted by goal-oriented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lifelong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on learning flow for middle-aged women on National Credit Bank System. Middle-aged women majoring social welfare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were sampling targets. The resul...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on learning flow for middle-aged women on National Credit Bank System. Middle-aged women majoring social welfare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were sampling targets. The result of analyze on 362 women is as follows. First, examining proneness of variables proved goal-orientated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cognitive absorption of learning flow had the highest values. Second,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learning-oriented motivation strongly influences both cognitive absorption of learning flow and affective absorption. Third, participation motive for learning and learning flow are shown to be different based on learner’s working pattern. For workers with full-time job, goal-oriented motivation had influences on both cognitive absorp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For workers with part-time job, value for goal-oriented motivation was very high. Learning-orientated motivation exerts the strongest influence on cognitive absorp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Lastly for unemployed, cognitive absorption was impacted by goal-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affective absorption was impacted by goal-oriented 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 and learning flow of lifelong education for middle-aged wom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