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6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 서적실(書籍室)의 도서 대출장부였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를 토대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서적실의 운영 실태, 기타 관련 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출부에 의거하여 당시 한성감옥서와 서적실을 살펴보았다. 서적실의 장서는 최초에265권의 장서로 시작되었다.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904년 8월말에는 국문책 52종 165권, 한문책222종 338권으로, 영어책 20종 40권으로, 총 294종 523권을 갖춘 서적실이 되었다. 다음으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을 살펴보았다.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일 도서의 출입 상황을 써놓았다. 이때 대출자의 성명, 수감 위치, 책의 국문(國文), 한문(漢文), 영문(英文) 여부, 책의 제목 등이 확인된다. 둘째, 서적실 장서의 결산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대출된 책의 총수, 빌려간 사람의 총합, 국문책과 한문책의 대출 비율, 서적실의 평균 이용인원 등이 확인된다. 셋째, 서적실 장서의 미수(未收) 상황표가 확인된다. 국문책과 한문책을 따로 작성했으며, 미납자는 감옥서의 관리들이거나 외부대출자였다. 넷째 영어책의 출입표도 존재했었다. 국문책이나 한문책과는 달리 외부 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용자 수도 극히 제한적이었음이 확인된다. 이외 서적실의 운영자, 대출과 관련된 사항, 대출자와 대출책의 경향 등을 살펴보았다. 차후 과제는 서적실의 운영, 대출책의 경향, 대출자들의 면모 등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서적실을 이용했던 수감자와 서적실 운영자들의 행보, 『샛별전』과 같이 서적실에서 많이 읽혔던 책에 대한 분석 작업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 서적실(書籍室)의 도서 대출장부였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를 토대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서적실의 운영 실태, 기타 관련 사항 등...

      이 글은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 서적실(書籍室)의 도서 대출장부였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를 토대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서적실의 운영 실태, 기타 관련 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출부에 의거하여 당시 한성감옥서와 서적실을 살펴보았다. 서적실의 장서는 최초에265권의 장서로 시작되었다.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904년 8월말에는 국문책 52종 165권, 한문책222종 338권으로, 영어책 20종 40권으로, 총 294종 523권을 갖춘 서적실이 되었다. 다음으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을 살펴보았다.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일 도서의 출입 상황을 써놓았다. 이때 대출자의 성명, 수감 위치, 책의 국문(國文), 한문(漢文), 영문(英文) 여부, 책의 제목 등이 확인된다. 둘째, 서적실 장서의 결산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대출된 책의 총수, 빌려간 사람의 총합, 국문책과 한문책의 대출 비율, 서적실의 평균 이용인원 등이 확인된다. 셋째, 서적실 장서의 미수(未收) 상황표가 확인된다. 국문책과 한문책을 따로 작성했으며, 미납자는 감옥서의 관리들이거나 외부대출자였다. 넷째 영어책의 출입표도 존재했었다. 국문책이나 한문책과는 달리 외부 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용자 수도 극히 제한적이었음이 확인된다. 이외 서적실의 운영자, 대출과 관련된 사항, 대출자와 대출책의 경향 등을 살펴보았다. 차후 과제는 서적실의 운영, 대출책의 경향, 대출자들의 면모 등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서적실을 이용했던 수감자와 서적실 운영자들의 행보, 『샛별전』과 같이 서적실에서 많이 읽혔던 책에 대한 분석 작업이 요청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Okjungdoseodaechulbu, a record of books signed out from the Hanseung prison library, by focusing on its format and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nd other relevant matters. First, the conditions of the Hanseung prison and library are examined based on Okjungdoseodaechulbu. The library started with 265 books and gradually increased its collection to a total of 294 titles in 523 volumes by late August, 1904. It housed 52 Korean titles in 165 volumes, 222 Chinese titles in 338 volumes, and 20 English titles in 40 volumes. Next, the method of filling out Okjungdoseodaechulbu is examined. The method may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rst, the borrowed and returned items were recorded on a daily basis, and the record consisted of the borrower’s name, the location of the borrower’s cell, and the language (Korean, Chinese or English) and the title of the borrowed book. Second, there was a statement summarizing the whole record, which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number of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the proportion of Korean books to Chinese books among the borrowed items, and the average number of library users. Third, unreturned items were also recorded-Korean books and Chinese books separately. Such unreturned items were borrowed either by prison officers or library users from outside. Lastly, a record listing only English books was found. Contrary to Korean and Chinese books, there was no record of English books borrowed by a user from outside, and also, the number of borrowed books was limited. Further, this paper explores the managers of the libra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rrowers and the borrowed items as well as other relevant matters for investigation. A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Hanseung prison libra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is required. The prisoners who utilized the library, the work of the librarians, and the frequently borrowed books, also need to be further examined.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Okjungdoseodaechulbu, a record of books signed out from the Hanseung prison library, by focusing on its format and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nd other relevant matters. First, the conditions of the Hanseung pr...

      This paper examines Okjungdoseodaechulbu, a record of books signed out from the Hanseung prison library, by focusing on its format and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nd other relevant matters. First, the conditions of the Hanseung prison and library are examined based on Okjungdoseodaechulbu. The library started with 265 books and gradually increased its collection to a total of 294 titles in 523 volumes by late August, 1904. It housed 52 Korean titles in 165 volumes, 222 Chinese titles in 338 volumes, and 20 English titles in 40 volumes. Next, the method of filling out Okjungdoseodaechulbu is examined. The method may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rst, the borrowed and returned items were recorded on a daily basis, and the record consisted of the borrower’s name, the location of the borrower’s cell, and the language (Korean, Chinese or English) and the title of the borrowed book. Second, there was a statement summarizing the whole record, which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number of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the proportion of Korean books to Chinese books among the borrowed items, and the average number of library users. Third, unreturned items were also recorded-Korean books and Chinese books separately. Such unreturned items were borrowed either by prison officers or library users from outside. Lastly, a record listing only English books was found. Contrary to Korean and Chinese books, there was no record of English books borrowed by a user from outside, and also, the number of borrowed books was limited. Further, this paper explores the managers of the libra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rrowers and the borrowed items as well as other relevant matters for investigation. A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Hanseung prison libra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is required. The prisoners who utilized the library, the work of the librarians, and the frequently borrowed books, also need to be further exam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서론
      • 2. 대출부를 통해 본 한성감옥서와 서적실(書籍室)
      • 3.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 4. 대출부에 나타난 서적실의 운영 실태
      • <초록>
      • 1. 서론
      • 2. 대출부를 통해 본 한성감옥서와 서적실(書籍室)
      • 3.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 4. 대출부에 나타난 서적실의 운영 실태
      • 4.1 서적실의 운영자
      • 4.2 서적실의 대출: 기간, 범위, 미납자 처리
      • 4.3 서적실의 대출자와 대출책의 경향
      • 4.4 기타 사항: 이용률, 영향, 존속
      • 5. 마무리와 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