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 추이와 결정요인 = Fertility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rends and Determn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22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과 그 결정요인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출산력 감소의 속도와 인구변천 단계에서의 출산력 변화, 그리고 인구변천 후...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과 그 결정요인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출산력 감소의 속도와 인구변천 단계에서의 출산력 변화, 그리고 인구변천 후기에 출산력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지난 40년간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화 추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변천 과정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 지표들과 영아사망률 및 출산력과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표 중 문맹률은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력이 낮아진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율과 소득이 각각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기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을 달리 하고 있다. 연구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ver the past four decades reproductive behavior has changed rapidly in much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TFR) has fallen by half from six or more to near three today. Between 1960 and 2000 the largest fertility decli...

      Over the past four decades reproductive behavior has changed rapidly in much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TFR) has fallen by half from six or more to near three today. Between 1960 and 2000 the largest fertility decline occurred in Asia and Latin America.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re even larger, with some completing the transition to replacement level (e.g., China, Hong Kong, Singapore, South Korea), while others have seen little change in reproductive behavior.
      After reviewing the fertility transition, this study tests a path model in which infant mortality act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between thre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fertility rate. The model is tested with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data.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bstantiate some of our hypotheses on the interrelation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infant mortality rate, and fertility rate.
      All the cross-sectional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model are in the hypothesized direct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ach study year. With regard to the paths to infant mortality, all socioeconom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In order to examine the extent of indirect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fertility rate via infant mortality, we computed the indirect effects form the socioeconomic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 the socioeconomic variables are consider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국어 초록
      • Ⅰ. 머리말
      • Ⅱ. 개발도상국의 출산력 변천: 1960~2000
      • Ⅲ. 사회경제발전, 사망력 그리고 출산력
      • Ⅳ. 출산력 변천의 결정요인
      • 한국어 초록
      • Ⅰ. 머리말
      • Ⅱ. 개발도상국의 출산력 변천: 1960~2000
      • Ⅲ. 사회경제발전, 사망력 그리고 출산력
      • Ⅳ. 출산력 변천의 결정요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