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98850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전공 조형예술학과 , 2022. 8
2022
한국어
759 판사항(23)
경기도
Ecological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t and Painting of ChaosMose : Focused on the Author's Painting Work
viii, 145 p. : 삽화 ; 30 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기주
참고문헌 : p. 137-142
I804:11017-00000019835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적 문제의식과 생태학적 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지구적 자연환경 변화에 대해 새로운 지평과 담론을 제시한 펠릭스 가타리의 생명철학,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 생태학, 브뤼노 라투르의 혼합생태학의 함의를 기반으로 생태학적 회화의 이미지를 생태 미술로 실천한 작가들이 개척한 지평과 쟁점들을 두루 살피고 본 연구자의 생태학적 작품 세계와 연관된 접점과 전략 및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 등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인간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가져오기도 한다. 왜냐하면 포스트 휴먼 관점의 생명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생명과 목숨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세포에 관한 것들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현대미술은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물질을 통해 영감을 얻고 그것 자체의 실제적 삶을 추구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의 구상을 창안하고자 열망해왔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물질들 안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고 무엇보다 예술과 삶, 예술과 물질을 통합하려 한 점은 본 연구자의 향후 작품 활동에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의 섭리를 존중하며 지금 떠안고 있는 생태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자는 예술가로서 작품을 통해 자연을 회복하고자 생태에 개입하는‘에코벤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에코벤션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예술가뿐만 아니라 식물학・동물학・생태학・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노력을 통해 생태적 회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는 자연적 재료의 변화를 체험하고 산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며 생태학적 접근한 실험적 작업 과정의 변화 양상을 작품 분석 과정에 담았다. 이를 종합하여, 생명을 관찰하며 인간 중심 사고의 심연 저편에 내재되어 있는 이기주의적 사피엔스 사고를 반성하고 살아 있는 모든 다른 생물들로 존경과 외경심을 확장하여 하였다. 우연성과 결합된 자연 재료들을 화면 위의 의미 있는 존재로 재탄생 시키는 작업은 일종의 연금술로 상징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이질적이고 잡종적인 소재들을 재조립하여 자연 시스템의 순환 고리를 인정하고 단순히 완성된 결과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우연적인 발견이 곧 완성체라는 질서로 자리잡혀가는 카오스모제 회화를 긴밀하게 갈구한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을 불러일으키며 지구 상의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카오스모제의 철학적 담론에 기반한 인간 공동체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아울러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흥만, 정인아, 이인희, "자연 개념의 관점에서 본 사회 생태학적 건축의 이해", 대 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 5호, p. 82, 2011
2 윤재은, 이근우, "훈데르트바서(Hundertwasser)의 자연주의적 예술과 건축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12(6), p. 294, 2011
3 전철,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에코 종교론 연구: 마음의 생태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 으로", 생명연구, 43, pp. 51-86, 2017
4 이지은, "올라푸 엘리아슨의 작품을 통해 보는 미술의 집단적 체험과 공동체적 소 통의 가능",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31, p. 128, 2009
5 전철, "계시와 인식의 생태적 관계론 연구-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77, pp. 31-35, 2020
6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 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54, 서양미술사학회, pp. 21-41, 2021
1 김흥만, 정인아, 이인희, "자연 개념의 관점에서 본 사회 생태학적 건축의 이해", 대 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 5호, p. 82, 2011
2 윤재은, 이근우, "훈데르트바서(Hundertwasser)의 자연주의적 예술과 건축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12(6), p. 294, 2011
3 전철,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에코 종교론 연구: 마음의 생태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 으로", 생명연구, 43, pp. 51-86, 2017
4 이지은, "올라푸 엘리아슨의 작품을 통해 보는 미술의 집단적 체험과 공동체적 소 통의 가능",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31, p. 128, 2009
5 전철, "계시와 인식의 생태적 관계론 연구-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77, pp. 31-35, 2020
6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 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54, 서양미술사학회, pp. 21-4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