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 예술의 생태학적 지향과 카오스모제의 회화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9885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Ecological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t and Painting of ChaosMose : Focused on the Author's Painting Work

      • 형태사항

        viii, 145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기주
        참고문헌 : p. 137-142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8358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적 문제의식과 생태학적 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지구적 자연환경 변화에 대해 새로운 지평과 담론을 제시한 펠릭스 가타리의 생명철학,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 생태학, 브뤼노 라투르의 혼합생태학의 함의를 기반으로 생태학적 회화의 이미지를 생태 미술로 실천한 작가들이 개척한 지평과 쟁점들을 두루 살피고 본 연구자의 생태학적 작품 세계와 연관된 접점과 전략 및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 등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인간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가져오기도 한다. 왜냐하면 포스트 휴먼 관점의 생명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생명과 목숨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세포에 관한 것들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현대미술은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물질을 통해 영감을 얻고 그것 자체의 실제적 삶을 추구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의 구상을 창안하고자 열망해왔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물질들 안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고 무엇보다 예술과 삶, 예술과 물질을 통합하려 한 점은 본 연구자의 향후 작품 활동에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의 섭리를 존중하며 지금 떠안고 있는 생태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자는 예술가로서 작품을 통해 자연을 회복하고자 생태에 개입하는‘에코벤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에코벤션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예술가뿐만 아니라 식물학・동물학・생태학・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노력을 통해 생태적 회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는 자연적 재료의 변화를 체험하고 산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며 생태학적 접근한 실험적 작업 과정의 변화 양상을 작품 분석 과정에 담았다. 이를 종합하여, 생명을 관찰하며 인간 중심 사고의 심연 저편에 내재되어 있는 이기주의적 사피엔스 사고를 반성하고 살아 있는 모든 다른 생물들로 존경과 외경심을 확장하여 하였다. 우연성과 결합된 자연 재료들을 화면 위의 의미 있는 존재로 재탄생 시키는 작업은 일종의 연금술로 상징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이질적이고 잡종적인 소재들을 재조립하여 자연 시스템의 순환 고리를 인정하고 단순히 완성된 결과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우연적인 발견이 곧 완성체라는 질서로 자리잡혀가는 카오스모제 회화를 긴밀하게 갈구한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을 불러일으키며 지구 상의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카오스모제의 철학적 담론에 기반한 인간 공동체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아울러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적 문제의식과 생태학적 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지구적 자연환경 변화에 대해 새로운 지평과 담론을 제시한 펠릭스 가타리의 생명철학,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 생태학, 브뤼노 라투르의 혼합생태학의 함의를 기반으로 생태학적 회화의 이미지를 생태 미술로 실천한 작가들이 개척한 지평과 쟁점들을 두루 살피고 본 연구자의 생태학적 작품 세계와 연관된 접점과 전략 및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 등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인간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가져오기도 한다. 왜냐하면 포스트 휴먼 관점의 생명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생명과 목숨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세포에 관한 것들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현대미술은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물질을 통해 영감을 얻고 그것 자체의 실제적 삶을 추구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의 구상을 창안하고자 열망해왔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물질들 안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고 무엇보다 예술과 삶, 예술과 물질을 통합하려 한 점은 본 연구자의 향후 작품 활동에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의 섭리를 존중하며 지금 떠안고 있는 생태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자는 예술가로서 작품을 통해 자연을 회복하고자 생태에 개입하는‘에코벤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에코벤션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예술가뿐만 아니라 식물학・동물학・생태학・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노력을 통해 생태적 회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는 자연적 재료의 변화를 체험하고 산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며 생태학적 접근한 실험적 작업 과정의 변화 양상을 작품 분석 과정에 담았다. 이를 종합하여, 생명을 관찰하며 인간 중심 사고의 심연 저편에 내재되어 있는 이기주의적 사피엔스 사고를 반성하고 살아 있는 모든 다른 생물들로 존경과 외경심을 확장하여 하였다. 우연성과 결합된 자연 재료들을 화면 위의 의미 있는 존재로 재탄생 시키는 작업은 일종의 연금술로 상징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이질적이고 잡종적인 소재들을 재조립하여 자연 시스템의 순환 고리를 인정하고 단순히 완성된 결과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우연적인 발견이 곧 완성체라는 질서로 자리잡혀가는 카오스모제 회화를 긴밀하게 갈구한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을 불러일으키며 지구 상의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카오스모제의 철학적 담론에 기반한 인간 공동체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아울러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 초록i
      • 도판 목록v
      • 연구 작품 목록vii
      • 목 차
      • 국문 초록i
      • 도판 목록v
      • 연구 작품 목록vii
      • I. 서 론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2
      • 2. 연구의 내용과 방법7
      • II. 이론적 배경10
      • 1. 현대 예술의 생태학적 지향10
      • 1) 생태 예술의 태동과 전개22
      • 2) 1990년대 이후 주요 생태 예술 전시와 쟁점들27
      • 3) 한국 생태 예술의 전개 양상 39
      • 2. 카오스모제의 회화 51
      • 1) 생태학적 상호 침투와 이질 발생51
      • 2) 지속 가능한 순환을 위한 융합60
      • 3) 인류세의 회화적 재현69
      • III. 생태학적 회화 이미지의 실천적 작가 77
      • 1. 주세페 페노네(Giuseppe Penone)와 아르테 포베라의 유산77
      • 1) 아르테 포베라의 자연과 인간 78
      • 2) 접촉과 교감을 통한 복원80
      • 3) <흐릿한 경계들-트레비아>(2012), <돌의 몸-라미>(2016) 81
      • 2. 크리스티앙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의 생명에 대한 예술적 명상82
      • 1) 부재-소멸의 기억으로서의 예술 실천 82
      • 2) 혼성과 융합의 논리 85
      • 3) <사해의 작은 영혼>(2018), <황혼>(2015)88
      • 3. 브랜든 밸린지(Brandon Ballengée)의 생태 아카이브 89
      • 1) 생태 수집가와 연구자로서의 예술가90
      • 2) 계속 변화하는 조류: 멜럼프 프로젝트92
      • 3) <페르세포니>(2012), <파놉테스 아르고스>(2003)93
      • IV. 본인 연구 작품 분석 96
      • 1. 자연에서 생태로 97
      • 1) 자연에 대한 관심: 1기 작업 97
      • 2) 생태에 대한 관심: 2기 작업 103
      • 2. 생태학의 회화적 실천 가능성 106
      • 1) 상호침투와 이질 발생106
      • 2) 회복 탄력성의 회화적 재현 116
      • 3) 카오스모제의 회화119
      • V. 결론 134
      • 참고문헌138
      • Abstract14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흥만, 정인아, 이인희, "자연 개념의 관점에서 본 사회 생태학적 건축의 이해", 대 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 5호, p. 82, 2011

      2 윤재은, 이근우, "훈데르트바서(Hundertwasser)의 자연주의적 예술과 건축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12(6), p. 294, 2011

      3 전철,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에코 종교론 연구: 마음의 생태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 으로", 생명연구, 43, pp. 51-86, 2017

      4 이지은, "올라푸 엘리아슨의 작품을 통해 보는 미술의 집단적 체험과 공동체적 소 통의 가능",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31, p. 128, 2009

      5 전철, "계시와 인식의 생태적 관계론 연구-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77, pp. 31-35, 2020

      6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 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54, 서양미술사학회, pp. 21-41, 2021

      1 김흥만, 정인아, 이인희, "자연 개념의 관점에서 본 사회 생태학적 건축의 이해", 대 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 5호, p. 82, 2011

      2 윤재은, 이근우, "훈데르트바서(Hundertwasser)의 자연주의적 예술과 건축 특성", 한국기초조형학회 학회지, 12(6), p. 294, 2011

      3 전철,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에코 종교론 연구: 마음의 생태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 으로", 생명연구, 43, pp. 51-86, 2017

      4 이지은, "올라푸 엘리아슨의 작품을 통해 보는 미술의 집단적 체험과 공동체적 소 통의 가능",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31, p. 128, 2009

      5 전철, "계시와 인식의 생태적 관계론 연구-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을 중심으로", 신학연구, 77, pp. 31-35, 2020

      6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 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54, 서양미술사학회, pp. 21-41,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