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 장단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1842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단국대학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국악학과 타악전공 , 2007.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89.890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study on the structure of Dongsalpuli in Byeolsingut in the East Coast

      • 형태사항

        vi, 65장: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서한범
        참고문헌: 48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et to the bottom of Dongsalpuli beat which is one of the music of Byeolsingut(shaman exorcism) in the East Coast. Gut(Shaman exorcism) is analogous to the reservoir of traditional art, replete with resources of comprehensive art, ...

      This study aims to get to the bottom of Dongsalpuli beat which is one of the music of Byeolsingut(shaman exorcism) in the East Coast.
      Gut(Shaman exorcism) is analogous to the reservoir of traditional art, replete with resources of comprehensive art, such as religious offer and banquet, namely religious rituals, songs, heretical doctrine, dance, instrumental music, and so on.
      Therefore, the study on the shaman exorcism is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approach to the essence of traditional art, and a lot of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at point, which ultimately enriches the foundation of traditional art in various ways. At present, studies are being conducted with respect to Gut(Shaman exorcism)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recently, the colorful and unpredictably variable structure of beat used in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not only by traditional percussionists but also by performers of creation national music, composers and academic circles.
      However, no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beat of single movement, such as the Gutgeori, Dongsalpuli, etc, because studies preponderantly concentrate on the beat of devided movement, such as Puneori, Dreonggaengi, or Cheongbo, etc.
      In response to that, this researcher analyzed Dongsalpuli beat, one of the single movement beat of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in an attempt to figure out how its original beat and variations are structured.
      For this study, I collected and analyzed all tunes of Janggu(a double-headed drum pinched in at the middle) for Dongsalpuli performed by Kim Yong-Taek who had the skill and knowledge to stage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in Bucheon on February 26, 2006 during the period to hand down the skill and knowledge, starting from February 25, 2006. The collected beat of Dongsalpuli of the East Coast totaled 89 beats, and only Janggu was played continuously for 2‘ 40“.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the name of beat, called 'Dongsalpuli' was found to exist in all folk music genres with the same name of beat and rhythmic pattern. 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 depending on genres, it can be said generally to be the tempo of two-devided four-four time(♩=140~208). However,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possessed the rhythmic pattern of ♪ × 6, or □× 2, tempo (♩=120). Therefore, Dongsalpuli which is generally used and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are the different beats in terms of rhythmic pattern.
      Second, the Dongsalpuli of the Byeolsingut(shaman exorcism) of the East Coast can be classified into 5 rhythmic patterns in general: Basic, ?× 3 type with the form of 2+2+2, syncopated beat type, connected beat type, complex type.
      syncopated beat enables the unique and gorgeous variation for the beat structure of shamanic music of the East Coast. Those patterns are organized and structured by the musical choice of performers.
      Third, the beat of Dongsalpuli is freely organized without specific rules.
      The performance of Dongsalpuli circulates in the form of [basic beat - variation - basic beat - variation - basic beat], and repeats the cycle of tension and relaxation. Moreover, it often materializes the variation(The ratio of connected beat comprises nearly half of all beats) more continuously than the intermittent performance.
      Fourth, the accent of Dongsalpuli's beat is rea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hythmic pattern.
      Basically, the accent of traditional beat lies in the first beat. However, the form of accent varies,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beat, and the accent of Dongsalpuli of the East Coast follows such a form. The patterns of accent can be classified into 1st beat accent type, ?× 3 type, syncopated beat type, and specific 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 중 동살풀이장단에 대한 연구이다. 굿은 그 안에 제의와 연희, 즉 종교적인 의식과 함께 노래, 사설, 춤 , 기악 등의 종합예술적인 요소을 포함하고 있는 전통...

      본 고는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 중 동살풀이장단에 대한 연구이다.
      굿은 그 안에 제의와 연희, 즉 종교적인 의식과 함께 노래, 사설, 춤 , 기악 등의 종합예술적인 요소을 포함하고 있는 전통예술의 핵심과도 같다. 따라서 굿을 연구하는 것은 전통예술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며 이에 대한 수많은 연구들이 행해진 바, 이는 또한 다양한 경로로 전통예술의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도 굿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동해안 별신굿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 특히 장단의 변화무쌍함과 다채로운 구성이 전통 타악의 연주자뿐만 아니라 창작국악의 연주자, 작곡가, 그리고 학계에까지 널리 알려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연구의 많은 부분이 푸너리나 드렁갱이, 혹은 청보 등의 분장형(分章形)장단 연구에 치중된 바 굿거리, 동살풀이등의 단장형(單章形)장단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이 진척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의 하나인 동살풀이를 분석하여 원박과 그것의 변주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6년 2월 25일부터 부천에서 이루어진 전수기간 중 2월 26일에 연주된 동해안 별신굿 보유자 김용택의 동살풀이 장구가락 전체를 채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살풀이라는 장단명은 같은 장단명과 리듬유형으로 여타 민속악 분야에 존재하고 있다. 각 분야마다 약간의 상이점은 있으나 대체로 2분박 4분의 4박자의 속도(♩=140~208)를 가진 장단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 × 6, 혹은 □× 2, 속도 (♩=120)의 리듬유형을 가졌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동살풀이와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리듬유형에 있어서 별개의 장단이다.
      둘째,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는 대체로 5개의 리듬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본형, 2+2+2 의 형태를 가진 헤미올라형, 감아치는 장단형, 달아치는 장단형, 복합형 등이 그것이다.
      감아치는 장단은 동해안 무속음악의 장단구성에 있어서 독특하면서도 화려한 변주를 가능하게 한다. 이 유형들은 연주자의 음악적인 선택에 의하여 조합, 구성된다.
      셋째, 동살풀이 장단은 별다른 법칙 없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동살풀이의 연주는 기본박 - 변주 - 기본박 - 변주 - 기본박의 형태로 순환되며 장단이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연속적(連續的)으로 변주를 구성(달아치는 장단의 비율이 전체 장단구성 중 절반에 가깝다)하는 경우가 많다.
      넷째, 동살풀이 장단의 강세는 리듬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된다.
      기본적으로 전통장단의 강세는 첫박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장단의 변주에 따라서 강세의 형태도 달라지는데 동해안 동살풀이의 강세도 그러한 형태를 따르고 있다.
      액센트의 유형은 1박강세형, 헤미올라형, 특정형, 강세가 없는유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방법 = 4
      • 2. 본론 = 6
      • 1. 동해안 별신굿 개관 = 6
      • 1.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방법 = 4
      • 2. 본론 = 6
      • 1. 동해안 별신굿 개관 = 6
      • 2. 동살풀이의 개념과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 = 8
      • 1) 농악가락 = 8
      • 2) 산조 및 민요장단 = 12
      • 3) 무속음악 = 13
      • 3. 동해안 별신굿의 동살풀이 장단 분석 = 17
      • 1. 동살풀이 장단의 리듬유형 분석 = 20
      • 1) 동살풀이 장단의 기본형 = 20
      • 2) 제 1 변화형 = 21
      • 3) 제 2 변화형 = 22
      • 4) 제 3 변화형 = 29
      • 5) 제 4 변화형 = 31
      • 6) 제 5 변화형 = 36
      • 2. 동살풀이 장단의 구성 분석 = 37
      • 1) 구성분석 = 37
      • 2) 리듬유형 별 출현빈도 = 40
      • 3. 동살풀이의 강세 분석 = 42
      • 3. 결론 = 46
      • 참고문헌 = 48
      • ABSTRCT = 49
      • 악보 =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