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골공원은 1897년 조성 논의와 1902년 개원 후 현재까지 각 시기별 변화가 야기된 공간 계획은 특정 시기와 이용자에게 집중한 변화였다. 이는 탑골공원에 누적된 기 억의 층위에 대한 면밀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518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1-146(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탑골공원은 1897년 조성 논의와 1902년 개원 후 현재까지 각 시기별 변화가 야기된 공간 계획은 특정 시기와 이용자에게 집중한 변화였다. 이는 탑골공원에 누적된 기 억의 층위에 대한 면밀한...
탑골공원은 1897년 조성 논의와 1902년 개원 후 현재까지 각 시기별 변화가 야기된 공간 계획은 특정 시기와 이용자에게 집중한 변화였다. 이는 탑골공원에 누적된 기 억의 층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진행되지 않았음에 기인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시 적으로 탑골공원의 물리적 형태와 이용 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이왕직 소유의 도시공원으로 조성된 1897년에서 1909년이다. 1897년 공원의 조성 논의 후 거북이형의 외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민가를 철거하였고, 담장을 둘러 경계의 의미를 부여했다. 일반인의 공개에 제약을 두었으며 음악대의 연주를 위한 팔각정과 부지 정지(整地)만 진행되었을 뿐 공원시설의 도입은 미약했다. 둘째, 상업시설이 도입된 1910년에서 1944년까지이다. 경성의 도심에 위치하여 이 용이 활발하여 양요리집인 상업시설이 도입되었다. 상업건물 전면에는 다리가 있 는 일본식 연못을 조성하였고 하절기와 야간개방 시 맥주와 아이스크림을 판매하였 다. 공원의 휴식과 유희를 위한 다양한 시설이 도입된 시기이다. 셋째, 특정요소의 전유와 배제가 진행된 해방 이후에서 2000년까지이다. 해방 직후 외형적 큰 변화는 없었으며, 이승만 대통령 동상이 축조된 정도였다. 1967년 공원 외곽에 아케이드가 축조되면서 공원내외부의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1983년 아케이 드 철거된 후 공원 정비는 상징성보다는 이용자를 위한 공원시설이 확충되는 형태 였다. IMF 이후 노인과 실업자의 이용율이 증가하자 이는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넷째, 성역화 사업 이후 현재까지 다양한 이용이 상충하는 공원이다. 성역화 사업으 로 3․1운동의 상징성을 공간을 지배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노인 의 이용이 급증하자 노인문제가 집약된 공간으로 인식이 보편화되었다. 탑골공원은 이왕직 소속의 도시공원으로 조성 후 일제강점기의 3․1운동의 발상지 와 활발히 이용되는 도시공원이란 기억이 중첩되었다. 이후 성역화사업을 거쳤지 만 공원의 의미 충돌은 지속되고 있다. 향후 탑골공원에 대한 재정비 사업 시 누적 된 시간의 층위를 존중하는 계획이 진행되길 바라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897 when its construction was discussed and 1902 when it first opened, Tapgol Park has undergone each periodical change-based space planning focusing on specific periods and users so far. It seem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precis...
Since 1897 when its construction was discussed and 1902 when it first opened, Tapgol Park has undergone each periodical change-based space planning focusing on specific periods and users so far. It seem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re was no precise analysis of the layers of memory accumulated in Tapgol Park. Thu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physical form and use behaviors of Tapgol Park in a diachronic way,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first period was 1897 to 1909 when it was constructed as an urban park possessed by Wang-jick Lee. After 1897 when its construction as a park was discussed, private houses were demolished to establish a turtle-shaped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a boundary was given to the park with walls surrounding the park. It was limited to opening to the public, and the octagonal pavilion and site were arranged for musical performances of a musical band, but not many p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The second period was 1910 to 1944 when commerical facilities were introduced to the park. Since this park was located in downtown of Gyeongseong, there were many visitors there,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like a lamb restaurant. In front of the commercial building, a Japanese-tyoe pond was constructed with a bridge, and when it was open to the public at night and during the summer season, they sold beer and ice cream. It was a period when various p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for leisure and amusement. The third period was 1945, Korea’s independence year, to 2000 when specific elements were exclusively used or excluded at the same time. Right after 1945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Japan, there was no large change in the external aspects of the park, only with a statue of President Syingman Rhee built. As an arcade was constructed around the park in 1967,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the park became visualized. After the arcade was removed in 1983, the park was reorganized to secure more park facilities for users rather than its symbolism. As the rate of senior citizens and unemployed people using this park increased after IMF, it played a role as a mechanism brining about new changes. The fourth period is the sanctuary project period to the present when various kinds of visitors use this park. Because of the sanctuary project, the park adopted the symbolism of March First Movement as a concept to dominate the space, but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using this park rapidly increased, people’s understanding of this park as a space of problems regarding elderly people was generalized. After being constructed as an urban park possessed by Wang-jick Lee, Tapgol Park was overlapped by two diiferent memories, one was about the cradle of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other was an urban park actively used by citizens. Afterwards, it went through a sanctuary project, but the semantic conflict over the park is still going on at present. When a new project is conducted to reorganize Tapgol Park in the near future, I hope there will be plans established to respect the layers of time accumulated so far.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