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시 마을, 도로 등 명칭 제정의 성과와 의미 = The Results and Significances of Designation for the names of Villages and Streets in Se - jo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16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jong’ has the significance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located at center of Korea. It is new city which has constructed with high expectation and interest of people. The developments and arrangements for constituents of city have to ...

      ‘Sejong’ has the significance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located at center of Korea. It is new city which has constructed with high expectation and interest of people. The developments and arrangements for constituents of city have to be creative and appropriate to fulfill functions. The name is so important to be a foundation of life among constituents because they have the feelings of residents. Thus designation of name should be carefully decided up.
      A public awareness of subordinate place name has not been high for superordinate place name. Service of designation in Sejong city could be estimated as a meaningful attempt in that way. It is a reflection of a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 to designate names. A service of designating names in sejong city is an unusual and pioneering project in a history of place name.
      It takes seven months from May to November to designate names of place names in Sejong city. The project is to suggest designating 1,100 names such as village names, school names, street names, infrastructure names. It was performed by scholars of Toponymy and Korean linguistics who are experts understanding place name as a language.
      A cooperating with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 makes the project easy in this process, which is a communication with the working groups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 LH of Sejong city and Yeongi-gun.
      Based on the data, the two suggestion for one object was presented pure korean words to be associated in the King Sejong's name and historical herit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n existing named King Sejong's achievements and basic direction of the Sejong city's ideas. In addition, to resolve the dispute with the locals, the presentation had held about directions and methods for designating the names. The researches of preference and inviting public participation had been two times for forming the national consensus and participation about name of Sejong city. The result was reflected in the designation of name.
      Then, the designation of specific name was proposed to specializes in Sejong city. For example, village name was reflected the functions of living zone and street name was reflected the information of location using the first consonants of Hangeul in name. And they were specialized to use specific vocabularies according to objects and parts.
      The process and proposal about designation of Sejong city is a important precedent. The designation of subordinate place names except Sejong make the city function as a role. In that way, it is not only important but also give data to study Toponymy in the future. Also we are under destruction of data of individuals or groups or government. So this project is meaningful to leave the process of designating names. These results can remined us of the value and meaning about pure Korean names specialized for infrastructure such as the village of Sejong 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종(世宗)’은 나라 중심에 위치한 행정중심 도시를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세종시는 전 국민의 관심과 기대 속에 조성된 신도시이다. 그런 만큼 도시를 이룰 구성 요소들의 개...

      ‘세종(世宗)’은 나라 중심에 위치한 행정중심 도시를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세종시는 전 국민의 관심과 기대 속에 조성된 신도시이다. 그런 만큼 도시를 이룰 구성 요소들의 개발과 배치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적절해야 한다. 그 중에서 입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될 공간에 대한 명칭은 중요하다. 언어의 형태로 존재할 명칭들에는 입주민들의 생활 감정을 고스란히 담아 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명칭 부여의 언어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
      명칭으로서의 지명 중 하위 지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광역 지명에 비해 그리 높지 않다. 그런 점에서 하위 지명이 될 세종시의 명칭 부여 용역은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명칭 제정 관계 기관의 의지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세종시의 마을 등에 대한 명칭 제정 연구 용역은 명칭사(지명사)에 있어 드문 일이요, 선구적인 과제였기 때문이다.
      세종시의 하위 지명에 대한 명칭 부여는 2011년 5월부터 11월까지 7개월에 걸친 작업이다. 법정동명, 마을명, 학교명, 도로명과 기반시설명(공원명, 광장명, 교량명) 등 1,100여 개에 명칭을 부여하여 제안하는 과제이다. 이 과정에는 관련 기관과의 협조가 명칭 부여, 제안에 수월성을 제고하였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세종시 LH, 연기군 등의 실무진과의 소통이다. 신도시의 명칭 부여에 관련 기관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부분이다.
      이를 토대로 세종에서 연상될 순우리말 명칭, 기존의 전래지명을 통한 전통성과 역사성, 세종대왕의 업적과 세종시의 이념 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하나의 대상에 대하여 2개의 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과정에는 지역민들과의 분쟁을 해소하기 위해 수차례의 명칭 부여 방향 및 방법 등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또한 세종시의 명칭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국민선호도 조사 및 공모를 두 차례에 걸쳐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명칭 부여에 반영하였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인 명칭 부여는 세종시를 특화하는 방향에서 제안토록 하였다. 이를테면, 법정동명에서 세종시의 6개 생활권별 기능을 반영하여 제안했으며, 도로명에서는 한글 자모를 명칭의 초성에 사용하여 위치 정보를 주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그리고 분야별, 대상별 특정 어휘를 사용하여 특화하기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구총수(18세기) 연기군 편"

      2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3 도수희,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명 제정에 관한 제 문제" 한국지명학회 12 : 69-89, 2006

      4 남인희,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명"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08

      5 LH, "행정중심복합도시 공공시설물 명칭제정을 위한 지명분야 기초조사" 2010

      6 "한국지명총람, 충청남도(하) -연기군, 공주군 편" 한글학회 1970

      7 성희제, "지명어의 구성" 한국지명학회 12 : 129-156, 2006

      8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표준화 편람" 2012

      9 도수희,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국립국어연구원 4 (4): 3-27, 1994

      10 권순기, "지명 부여의 과정과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4 (4): 50-62, 1994

      1 "호구총수(18세기) 연기군 편"

      2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3 도수희,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명 제정에 관한 제 문제" 한국지명학회 12 : 69-89, 2006

      4 남인희,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명"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08

      5 LH, "행정중심복합도시 공공시설물 명칭제정을 위한 지명분야 기초조사" 2010

      6 "한국지명총람, 충청남도(하) -연기군, 공주군 편" 한글학회 1970

      7 성희제, "지명어의 구성" 한국지명학회 12 : 129-156, 2006

      8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표준화 편람" 2012

      9 도수희, "지명 연구의 새로운 인식" 국립국어연구원 4 (4): 3-27, 1994

      10 권순기, "지명 부여의 과정과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4 (4): 50-62, 1994

      11 "조선지지자료, 연기군, 공주군편"

      12 김진식, "외부 준거에 따른 자연마을 명명 ― 청원군 북부 7읍면을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11 : 21-66, 2005

      13 "연기군지"

      14 "세종특별자치시"

      15 김정태, "세종시에 가면 순 우리말 명칭이 있다"

      16 요코이 게이코, "네이밍 발상법" 도서출판 보보스 2002

      17 김진식, "내부 준거에 따른 자연마을 명명 - 청원군 북부 7읍면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9 : 121-150, 2005

      18 "공주군지"

      19 박병철, "行政中心複合都市 名稱 制定의 經過와 展望" 한국지명학회 12 : 91-128, 2006

      20 박병철, "地名語 命名의 現況과 課題??道路名 後部要素 命名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4 : 31-53, 2004

      21 김정태, "‘바위’(岩) 소재 지명어의 명명 근거와 전부지명소(1)" 한국지명학회 12 : 33-6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7 0.6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