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파분석기반 라벤더향과 이어테라피를 활용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 = The Effect of Lavender Scent and Eartherapy on Stress Relief : An EEG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5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20
      국문 초록
      뇌파분석기반 라벤더향과 이어테라피를활용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본 연구는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를 병행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및 관련된 불안과 초조감을 완화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진로 결정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를 조기에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무작위 배정, 단일맹검, 전후 설계 실험방법을 통한 연구로써,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사용이스트레스 지수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 선택의 중요 시점에 있는 4학년 대학생 33명(남자 9
      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를 병행한 스트레스 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벤더오일향은 이어테라피를 첩압 하는 동안 흡입하였으며, 이어테라피는 11개의 반응점(심장, 미주신경, 후두골,
      부신, 오메가2, 마스터오메가혈, 신문, 교감, 위, 격, 신경안정점)에 4일간첩압 후 2일간의 휴식을 포함하여 4주 동안 반복 시행되었다. 이론적 및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자료 수집은 28일간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를병행하여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관련 논문 및 연구자료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증적 연구는 뇌파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취업스트레스 척도 및 상태불안 척도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SEF50 지표는 대뇌 영역 중에서 14개 채널에서는 정서적 각성 혹은 이완 정도를 전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전전두엽Fp2(t=2.350,
      p<.05), 전두엽Fz(t=2.269, p<.05), 전두엽F7(t=2.269, p<.05), 전두엽

      121
      F8(t=2.431, p<.05) 사후 감소를 보였고, 5개 채널에서는 사후 증가 값을보여, 전반적으로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에 의한 대뇌이완 상태가 확인되었다.
      둘째, 후두엽(P4)의 RLB 지표를 대상으로 한 대응 t-test 결과, 실험 전(M=.033, SD=.013) 대비 실험 후(M=.038, SD=.018)에 RLB 지표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t=-2.311, p<.05). 이를 통해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이 시각적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요법 전후의 피실험자 대학생의 스트레스 완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취업스트레스 척도 및 상태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결과, 취업스트레스, 성격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 취업불안 스트레스, 그리고 상태불안을 포함한 스트레스 지표 등 대부분의 부문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시행에 대한 실험 참가자들의 정서적인 안정성 향상 및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이 일반적인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및 정서 조절의 비약물적 치유법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120 국문 초록 뇌파분석기반 라벤더향과 이어테라피를활용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본 연구는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를 병행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및 관련된 불안과 초조감을 완...

      120
      국문 초록
      뇌파분석기반 라벤더향과 이어테라피를활용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본 연구는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를 병행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및 관련된 불안과 초조감을 완화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진로 결정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를 조기에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무작위 배정, 단일맹검, 전후 설계 실험방법을 통한 연구로써,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사용이스트레스 지수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 선택의 중요 시점에 있는 4학년 대학생 33명(남자 9
      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를 병행한 스트레스 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벤더오일향은 이어테라피를 첩압 하는 동안 흡입하였으며, 이어테라피는 11개의 반응점(심장, 미주신경, 후두골,
      부신, 오메가2, 마스터오메가혈, 신문, 교감, 위, 격, 신경안정점)에 4일간첩압 후 2일간의 휴식을 포함하여 4주 동안 반복 시행되었다. 이론적 및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자료 수집은 28일간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를병행하여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관련 논문 및 연구자료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증적 연구는 뇌파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확인하였고, 취업스트레스 척도 및 상태불안 척도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SEF50 지표는 대뇌 영역 중에서 14개 채널에서는 정서적 각성 혹은 이완 정도를 전반적으로 알 수 있는 전전두엽Fp2(t=2.350,
      p<.05), 전두엽Fz(t=2.269, p<.05), 전두엽F7(t=2.269, p<.05), 전두엽

      121
      F8(t=2.431, p<.05) 사후 감소를 보였고, 5개 채널에서는 사후 증가 값을보여, 전반적으로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에 의한 대뇌이완 상태가 확인되었다.
      둘째, 후두엽(P4)의 RLB 지표를 대상으로 한 대응 t-test 결과, 실험 전(M=.033, SD=.013) 대비 실험 후(M=.038, SD=.018)에 RLB 지표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t=-2.311, p<.05). 이를 통해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이 시각적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요법 전후의 피실험자 대학생의 스트레스 완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취업스트레스 척도 및 상태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결과, 취업스트레스, 성격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 취업불안 스트레스, 그리고 상태불안을 포함한 스트레스 지표 등 대부분의 부문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 시행에 대한 실험 참가자들의 정서적인 안정성 향상 및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라벤더오일향 흡입과 이어테라피의 병행이 일반적인 대학생들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 및 정서 조절의 비약물적 치유법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Lavender Scent and Eartherapy on Stress Relief : An EEG Analysis Yang Hae Sim Department of Biowellness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current lavender oil aroma and auriculotherapy in alleviating job-related stress, anxiety, and restless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the research aimed to prevent and alleviate stress early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students nearing graduation. This randomized, single-blind, pre-post design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combined use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stress indices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involved 33 senior students (9 males, 24 females) at a critical point in choosing their career paths, examining the stress-relieving effects of both lavender oil and auriculotherapy. Lavender oil was inhaled during the auriculotherapy session, which targeted 11 response points (heart, vagus nerve, occipital bone, adrenal gland, Omega2, Master Omega blood, news point, sympathetic, stomach, resolution, and calming points) and was repeated over 4 weeks, with auriculotherapy applied for 4 days followed by 2 days of rest. The study collected data over 28 days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with the theoretical aspect involving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the empirical aspect using EEG devices to measure participants' stress indices and utilizing job stress and state anxiety scales for analysis. In summar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F50 index showed a significant post-treatment decrease in emotional arousal or relaxation levels across 14 brain channels including the prefrontal cortex Fp2 (t=2.350, p<.05), frontal Fz (t=2.269, p<.05), frontal F7 (t=2.269, p<.05), and frontal F8 (t=2.431, p<.05), while a post-increase was observed in 5 channels, indicating overall cerebral relaxation due to the combined use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Second, a paired t-test on the RLB index at the occipital lobe (P4)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experiment (M=.033, SD=.013) to post-experiment (M=.038, SD=.018; t=-2.311, p<.05), confirming that the combination of lavender oil and auriculotherapy positively affects visual cognitive function. Third, evaluating the extent of stress relief among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combined therapy using job stress and state anxiety scales revealed significant reductions in job stress, personality stress, family environment stress, school environment stress, job anxiety stress, and state anxiety, indicating enhanced emotional stability and reduced stress indices among the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non-pharmacological healing methods in effective stress mana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Keyword: EEG, Aromatherapy, Eartherapy, Stress, Lavender, College Student Job Stress
      번역하기

      The Effect of Lavender Scent and Eartherapy on Stress Relief : An EEG Analysis Yang Hae Sim Department of Biowellness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current lavender oil ar...

      The Effect of Lavender Scent and Eartherapy on Stress Relief : An EEG Analysis Yang Hae Sim Department of Biowellness Converg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ncurrent lavender oil aroma and auriculotherapy in alleviating job-related stress, anxiety, and restless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the research aimed to prevent and alleviate stress early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students nearing graduation. This randomized, single-blind, pre-post design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combined use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significantly reduced stress indices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involved 33 senior students (9 males, 24 females) at a critical point in choosing their career paths, examining the stress-relieving effects of both lavender oil and auriculotherapy. Lavender oil was inhaled during the auriculotherapy session, which targeted 11 response points (heart, vagus nerve, occipital bone, adrenal gland, Omega2, Master Omega blood, news point, sympathetic, stomach, resolution, and calming points) and was repeated over 4 weeks, with auriculotherapy applied for 4 days followed by 2 days of rest. The study collected data over 28 days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with the theoretical aspect involving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the empirical aspect using EEG devices to measure participants' stress indices and utilizing job stress and state anxiety scales for analysis. In summary,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F50 index showed a significant post-treatment decrease in emotional arousal or relaxation levels across 14 brain channels including the prefrontal cortex Fp2 (t=2.350, p<.05), frontal Fz (t=2.269, p<.05), frontal F7 (t=2.269, p<.05), and frontal F8 (t=2.431, p<.05), while a post-increase was observed in 5 channels, indicating overall cerebral relaxation due to the combined use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Second, a paired t-test on the RLB index at the occipital lobe (P4)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experiment (M=.033, SD=.013) to post-experiment (M=.038, SD=.018; t=-2.311, p<.05), confirming that the combination of lavender oil and auriculotherapy positively affects visual cognitive function. Third, evaluating the extent of stress relief among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combined therapy using job stress and state anxiety scales revealed significant reductions in job stress, personality stress, family environment stress, school environment stress, job anxiety stress, and state anxiety, indicating enhanced emotional stability and reduced stress indices among the particip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lavender oil inhalation and auriculotherap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non-pharmacological healing methods in effective stress manage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among college students. Keyword: EEG, Aromatherapy, Eartherapy, Stress, Lavender, College Student Job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ⅳ
      • 그림목차 ⅵ
      • ABSTRACT · ⅷ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표 목 차 ⅳ
      • 그림목차 ⅵ
      • ABSTRACT · ⅷ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뇌파 6
      • 1. 뇌파의 이해 6
      • 2. 뇌파의 종류 9
      • 3. 뇌파의 해석 14
      • 제2절 향기요법 · 14
      • 1. 향기요법의 정의 · 14
      • 2. 향기요법의 역사 · 15
      • 3. 향기요법의 종류 및 효능 · 16
      • 4. 라벤더오일향의 효능 · 18
      • 제3절 이어테라피 · 19
      • 1. 귀의 기능 및 구조 19
      • 2. 이어테라피의 정의 21
      • 3. 이어테라피의 역사 22
      • 4. 이어테라피의 적용 효과 24
      • 5. 이어테라피의 적용 부위 25
      • 제4절 불안과 스트레스 · 27
      • 1. 상태불안 27
      • 2. 취업스트레스 · 28
      • 제5절 선행연구 29
      • 제3장 연구방법 33
      • 제1절 연구의 대상 33
      • 제2절 연구재료 35
      • 제3절 연구도구 36
      • 1. 건식뇌파기기 37
      • 2. 취업스트레스 측정법(Conell Medical Index) 38
      • 3. 상태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STAI) · 40
      • 제4절 연구절차 41
      • 제5절 자료처리 46
      • 제4장 연구결과 47
      • 제1절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에 의한 기분상태 변화 47
      • 제2절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에 의한 뇌파(EEG) 변화 62
      • 제3절 라벤더오일향과 이어테라피에 의한 스트레스 효과 97
      • 제5장 결론 및 제언 · 100
      • 제1절 결론 · 100
      • 제2절 제언 101
      • 참고문헌 102
      • [부록1] IRB심의결과 통보서 113
      • iii
      • [부록2] 연구대상자 및 동의서 114
      • [부록3] 연구대상자모집 문건 116
      • [부록4] 설문지 · 118
      • 국문초록 120
      • iv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