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4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policy. The questions designed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structural context that has affected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Second, how has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has affected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Third, how has the actors’ efforts to change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developed under the constraints of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Fourth, how has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The result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neo-liberalism emerged in the 1980s and strengthened, but was then criticized as post-liberalism due to the US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pe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2000s.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on the change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has differed. During the Civilian Government, its influence was strongest. In 1995, President Kim Young-sam declared globalization as a national ideology and created a plan called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in order to prepar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s a result, differential support policie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were presented, creating a path for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Second, the regime change replaced the liberal and conservative regimes for about a decade. As a result,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changed frequently. Third, the currency crisis has led to a chronic slowdown in the economy, with real economic growth continuing to fall even after the IMF paid its deb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greatly expanded the proportion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budget to improve the university system to meet the demands of society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has expanded its influence on education polic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HRD), which also has an impact on university finance policies. Fourth,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2000s. In response, the government induced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under the premise of characterization by combining economic development logic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logic for preemptive response to th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The result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ideology, the president's national ideology basically continued to be neo-liberalistic, and intermittent efforts to add equity values ultimately failed. The Minister of Education (MOE) officials’ elitism was shown to be inclined to adhere to the differential support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introduced by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Academic freedom transplanted from the West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has been used as a logic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university funding policy since university autonomy was declared as a result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The distrust of students and parents toward universities leads to the recognit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mand accountability of rather than providing financial support to universities. Second, the policy decision structure resulted in excessive penetration of the MOSF’s influence as the presidential educational advisory body failed to establish a system of sharing work with the MOE, with the exception of the Civilian Government. Third, the rapidly increasing budget for free child-care and half-priced tuition has led to shrinking university funding.
      The results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E has often been replaced so frequently that leadership has not been constant or stable. However, the representative ministers such as Ahn Byung-young (Civilian Government, Participatory Government), Lee Hae-chan (People’s government), Kim Jin-pyo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Lee Joo-ho (Lee Myung-bak governmen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continuity and strengthening of the existing route. Second, the MOSF repeatedly expressed its opposition to expanding the budget fo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except during the Civilian Government. In the meantime, the MOSF was cooperative with the MOE on its financial support programs for universities that were faithful to economic logic. Third, while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al committee pointed out the ministry's poor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s financial support policy, it was designed to keep a close eye on the situation in which economic logic is basically penetrating the university's financial support policy. However, as the budget for Nuri curriculum and half-price tuition has soared, the ministry has recently shown a passive attitude toward securing the budget for university finance support. Fourth, the Board of Audit began to show interest in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from the time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expanded the outreach from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pressed the MOE. Fifth, the College Society has gathered opinions mainly from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but the groups that raise the problem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recently.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KCUE has failed to exercise its bargaining power, which it has previously proposed to the MOE by gathering majority opinions of university society.
      The results for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showed path dependence since the path of differential support was created under the Civilian Government and is positioned on the border of path dependence and path evolution at Moon Jae-in Government. Under the Civilian Government of President Kim Young-sam, globalization was declared as the nation’s ideology of governance amidst neo-liberal trend sweeping the world,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was made with the introduction of differential support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Next, factors influencing the deepening of path dependence vary depending on the period since Kim Young-sam Government to before Moon Jae-in Government. Under the Kim Dae-jung Government,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n Minister of Education, Lee Hae-chan had the biggest influence. The financial crisis aborted president Kim Dae-jung’s plan to develop market economy and democracy together and Lee Hae-chan, as the first minister of the People’s Government, launched Brain Korea 21 Project succeeding the main idea of 5.31 Education Reform. Und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officials of the MOE and MOSF were influential. As the a presidential advisory body did not function properly and MOE was replaced one after another with a gap in leadership, education ministry officials turned to elitism in an attempt to maintain (not to modify) the existing path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In addition, with an increasing influence of the MOSF, budget for 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NURI) project— one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s key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novative competence of regional universities— was dramatically slashed. Finally, the current administration is positioned at a crossroads of path dependence and path evolution. President Moon Jae-in’s governing principle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Kim Sang-gon are considered factors steering the nation toward path evolution. However, there are much mor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prospect of path evolution: slowing economy and low fertility rate on the structural level, and widespread distrust toward College Society, increasing budget for the Nuri Curriculum and Half-Tuition Policy on the institutional level, and influence of the MOSF on the behavioral level, lukewarm attitude of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al committee toward the increasing of budget for funding universities, and incompetence of the KCUE to reach consensus among universities and to negotiate with the MOE.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even within the structur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the regime chang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Second, the ideology among the institution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but was also limited by the policy decision structure and education system. Third, in the behavioral level the MOE and the MOSF were more inclined to maintain the exist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path, while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Board of Audit, and University Society played a major role in cracking the existing university funding policy path. Fourth, even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regime change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that caused the change on university funding polic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policy. The questions designed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policy. The questions designed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how has the structural context that has affected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Second, how has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has affected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Third, how has the actors’ efforts to change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developed under the constraints of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Fourth, how has university funding policy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The result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of neo-liberalism emerged in the 1980s and strengthened, but was then criticized as post-liberalism due to the US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pe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2000s.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on the change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has differed. During the Civilian Government, its influence was strongest. In 1995, President Kim Young-sam declared globalization as a national ideology and created a plan called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in order to prepar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s a result, differential support policie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were presented, creating a path for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Second, the regime change replaced the liberal and conservative regimes for about a decade. As a result,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changed frequently. Third, the currency crisis has led to a chronic slowdown in the economy, with real economic growth continuing to fall even after the IMF paid its deb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has greatly expanded the proportion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budget to improve the university system to meet the demands of society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OSF) has expanded its influence on education polic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HRD), which also has an impact on university finance policies. Fourth,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2000s. In response, the government induced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under the premise of characterization by combining economic development logic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logic for preemptive response to the reduction of school-age population.
      The result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ideology, the president's national ideology basically continued to be neo-liberalistic, and intermittent efforts to add equity values ultimately failed. The Minister of Education (MOE) officials’ elitism was shown to be inclined to adhere to the differential support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introduced by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Academic freedom transplanted from the West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has been used as a logic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university funding policy since university autonomy was declared as a result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The distrust of students and parents toward universities leads to the recognit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mand accountability of rather than providing financial support to universities. Second, the policy decision structure resulted in excessive penetration of the MOSF’s influence as the presidential educational advisory body failed to establish a system of sharing work with the MOE, with the exception of the Civilian Government. Third, the rapidly increasing budget for free child-care and half-priced tuition has led to shrinking university funding.
      The results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E has often been replaced so frequently that leadership has not been constant or stable. However, the representative ministers such as Ahn Byung-young (Civilian Government, Participatory Government), Lee Hae-chan (People’s government), Kim Jin-pyo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Lee Joo-ho (Lee Myung-bak governmen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continuity and strengthening of the existing route. Second, the MOSF repeatedly expressed its opposition to expanding the budget fo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except during the Civilian Government. In the meantime, the MOSF was cooperative with the MOE on its financial support programs for universities that were faithful to economic logic. Third, while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al committee pointed out the ministry's poor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s financial support policy, it was designed to keep a close eye on the situation in which economic logic is basically penetrating the university's financial support policy. However, as the budget for Nuri curriculum and half-price tuition has soared, the ministry has recently shown a passive attitude toward securing the budget for university finance support. Fourth, the Board of Audit began to show interest in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from the time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expanded the outreach from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pressed the MOE. Fifth, the College Society has gathered opinions mainly from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CUE), but the groups that raise the problem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recently.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KCUE has failed to exercise its bargaining power, which it has previously proposed to the MOE by gathering majority opinions of university society.
      The results for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showed path dependence since the path of differential support was created under the Civilian Government and is positioned on the border of path dependence and path evolution at Moon Jae-in Government. Under the Civilian Government of President Kim Young-sam, globalization was declared as the nation’s ideology of governance amidst neo-liberal trend sweeping the world, “5.31 Education Reform Proposal” was made with the introduction of differential support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Next, factors influencing the deepening of path dependence vary depending on the period since Kim Young-sam Government to before Moon Jae-in Government. Under the Kim Dae-jung Government,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n Minister of Education, Lee Hae-chan had the biggest influence. The financial crisis aborted president Kim Dae-jung’s plan to develop market economy and democracy together and Lee Hae-chan, as the first minister of the People’s Government, launched Brain Korea 21 Project succeeding the main idea of 5.31 Education Reform. Und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officials of the MOE and MOSF were influential. As the a presidential advisory body did not function properly and MOE was replaced one after another with a gap in leadership, education ministry officials turned to elitism in an attempt to maintain (not to modify) the existing path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In addition, with an increasing influence of the MOSF, budget for 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NURI) project— one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s key programs to strengthen the innovative competence of regional universities— was dramatically slashed. Finally, the current administration is positioned at a crossroads of path dependence and path evolution. President Moon Jae-in’s governing principle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Kim Sang-gon are considered factors steering the nation toward path evolution. However, there are much mor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prospect of path evolution: slowing economy and low fertility rate on the structural level, and widespread distrust toward College Society, increasing budget for the Nuri Curriculum and Half-Tuition Policy on the institutional level, and influence of the MOSF on the behavioral level, lukewarm attitude of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al committee toward the increasing of budget for funding universities, and incompetence of the KCUE to reach consensus among universities and to negotiate with the MOE.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even within the structur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the regime chang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ange of university funding policy. Second, the ideology among the institutional contexts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but was also limited by the policy decision structure and education system. Third, in the behavioral level the MOE and the MOSF were more inclined to maintain the existing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path, while the National Assembly's Education Committee, the Board of Audit, and University Society played a major role in cracking the existing university funding policy path. Fourth, even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level surrounding the university funding policy, regime change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that caused the change on university funding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문민정부는 대학 운영을 자율화하는 한편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로 대학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을 도입하였다. 해당 방침은 정권교체 이후에도 이어졌고, 참여정부 이후부터는 특수목적지원사업을 다양하게 신설하여 사업별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학에 재정을 선별 지원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문민정부 예측대로라면 각기 다른 목적을 지닌 대학재정지원사업이 다양하게 추진된 만큼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가 촉진되고 교육과 연구의 질적 수월성이 향상되었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실상은 사업 종류와 지원 방식이 복잡하고 지원 기간도 짧아 실제로는 사업 관리에 대학 행정력이 과도하게 소모되고 있다. 또한 사업별로 평가지표가 차별화되어 있지 않아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촉진하는 데 근본적 한계를 내보이고 있다. 이에 학계와 정부는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대학재정지원정책 실패 제도화를 야기하는 근본 원인을 탐색하려는 노력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대학재정지원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연구 대상인 대학재정지원정책과 분석 관점인 역사적 신제도주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대학재정지원정책과 관련하여 제1절 고등교육 재정지원에서는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 이유, 방식,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교육 재정지원을 정당화하는 논리가 상당 부분 경제적 측면에서 개발되어 왔으며, 고등교육 재정지원 방식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협상형 방식에서 시장형 방식으로 빠르게 변모해왔음을 확인하였다. 고등교육 재정지원 규모 면에서도 고등교육 예산은 대체로 상승 곡선을 그려왔으나, 대학기관에 대한 직접지원 비중은 줄고 학생을 통한 간접지원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절 대학재정지원정책과 대학재정지원사업에서는 먼저 두 개념 간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재정지원정책은 개별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총칭하는 수준을 넘어 개별 대학재정지원사업을 관통하는 기본원리, 정책목표, 정책수단에 관한 포괄적 개념임을 규정하였다. 이후에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이 변화되어 온 과정을 대학재정지원정책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는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가 상대적으로 효율성(기본원리), 대학 다양화 및 경쟁력 강화(정책목표), 시장형 방식(정책수단 중 재정지원 방식), 사회봉사 기능(정책수단 중 재정지원사업)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역사적 신제도주의와 관련하여 제1절 신제도주의 등장 배경 및 하위 분파 비교에서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상위 개념인 신제도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고찰함과 동시에 다른 하위 분파인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와 사회학적 제도주의를 분석 관점으로 채택하지 않은 이유를 제시하였다. 요컨대 신제도주의는 하위 분파를 막론하고 사회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제도를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는 학문적 경향을 지칭하는데,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와 사회학적 제도주의가 지나치게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을 취하는 데 반해 역사적 제도주의는 중범위적 접근을 시도하여 두 하위 분파의 장점을 적절하게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제2절과 제3절에서는 본격적으로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논의되는 제도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제도변화 논리를 고찰하였다.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제도는 행위를 규율하는 외부의 모든 맥락을 총칭하여 정의되기도 하나, 제도의 중층성을 고려할 때 상위 제도 수준이 하위 제도 수준인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제약하는 상황을 보다 정치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역사적 신제도주의는 제도가 행위를 규율하는 동시에 행위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고 보고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간 상호작용에 의한 제도나 정책 변화에 주목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발전해 온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통합 모형을 대학재정지원정책 분석에 적용키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제3장 연구 설계에서는 제4장 분석 및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분석 내용, 분석 방법 및 수집 자료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 가운데 분석 내용으로 본 연구는 제1장 서론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맞추어 네 가지 사항을 분석하기로 결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구조적 맥락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구조 수준에서는 대외 환경 요인으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을, 대내 환경 요인으로 정권교체(정치적 측면), 외환위기 등 경기침체(경제적 측면), 저출산ㆍ고령화(사회적 측면)을 고찰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두 번째 연구문제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제도적 맥락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제도 수준에서는 이념(대통령, 교육부 관료, 대학사회, 학생ㆍ학부모), 정책결정구조, 교육제도의 중층성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 ‘구조ㆍ제도적 맥락에 의한 제약 속에서도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변화시키기 위한 행위자들의 노력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행위 수준에서는 공식적 행위자로서 교육부, 기재부, 국회 교육위원회, 감사원을, 비공식적 행위자로서 대학사회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까지 논의한 이후에는 이를 종합하여 네 번째 연구문제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대학재정지원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겠다고 밝혔다.
      제4장 분석 및 논의를 통하여 각 연구문제별로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은 1980년대 등장하여 지속ㆍ강화되어 오다가, 2000년대 후반 발생한 미국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로 포스트 신자유주의로 표현되는 비판적 담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이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미친 영향력도 시기별로 달랐는데, 문민정부 시절에 그 영향력이 가장 강력하여 김영삼 대통령이 세계화를 국정이념으로 설정하고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5.31 교육개혁 방안을 입안하여 대학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이 제시되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가 창조되었다. 둘째, 정권교체는 김대중ㆍ노무현 대통령에 의하여 진보 정권이 10년간 유지되다가 이명박ㆍ박근혜 대통령에 의하여 보수 정권이 9년 간 유지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에 의하여 다시금 진보 정권이 집권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학재정지원정책은 정책수단 측면에서 각종 대학재정지원사업이 개폐되는 변화를 겪어야만 했다. 셋째, 외환위기는 IMF에 채무를 청산한 이후에도 실질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만성적 경기 둔화세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학 체제를 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대학재정지원사업 비중을 크게 확대해왔으며, 교육인적자원부 시절 교육정책에 대한 기재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대학재정지원정책에도 그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 넷째, 저출산ㆍ고령화 현상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가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한다는 경제발전 개발논리와 학령인구 감소에 선제 대응하여야 한다는 논리를 결합하여 특성화를 전제로 한 대학 구조조정을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유도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이념 가운데 대통령의 국정철학은 기본적으로 신자유주의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형평성 가치를 가미하려는 시도가 김대중ㆍ노무현ㆍ문재인 대통령 재임 시절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에 형평성을 가미하는 데 실패하였고, 문재인정부는 현재 시도 중에 있어 속단하기 이르다. 교육부 관료의 의식은 문민정부 시절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교육부 조직 개편이 대대적으로 단행된 이래로 이전까지 유지되어 온 ‘행정공무원을 통한 대표제’ 성격이 약화되고 정치권력에 예속될 위험이 높아졌다. 다만 정치권력에 예속되는 정도는 시기마다 차이가 있어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부 관료의 자기이익 추구 기제가 제한적으로나마 작동한 반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시절에는 정치권력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방향으로 크게 제약되었다. 대학사회의 학문의 자유 이념은 광복 이후 서구 사회로부터 이식받았으나 군부정권 시절 억압되었고, 1980년대 민주화 항쟁의 결과로 대학 자율화가 선언된 뒤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비판하는 논리로 활용되고 있다. 학생ㆍ학부모의 사학 불신은 2000년대에 고등교육 보편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높은 등록금을 내고도 그에 상응하는 교육과 취업의 질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불만으로 표출되었다. 이에 학생ㆍ학부모는 정부가 대학에 당근(재정지원)을 주기보다 채찍(책무성 강화)을 가해야 할 때라는 인식이 강하다. 둘째, 정책결정구조는 문민정부를 제외하고 대통령직속 교육자문기구와 교육부 간 효율적 업무 분담 체제가 구축되지 못하면서 교육부의 규모가 비대화되고 기재부의 영향력이 대학재정지원정책에 과도하게 침투하였다. 셋째, 교육제도와 관련하여서는 이명박정부 말기부터 누리과정 및 반값등록금 예산이 급증하면서 대학에 배분되는 기관단위 직접지원 비중이 위축되고 있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교육부장관의 리더십은 기본적으로 장관이 자주 교체되어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다만 그 가운데 평균 재임 기간보다 길게 장관직을 역임한 동시에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발휘한 장관들을 살펴보면 안병영(문민정부ㆍ참여정부), 이해찬(국민의 정부), 김진표(참여정부), 이주호(이명박정부) 등과 같이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거나 지속ㆍ강화하는 데 이견을 보이지 않은 장관들이었다. 둘째, 기재부는 문민정부 시절을 제외하고는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충에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고, 그 와중에도 경제논리에 충실한 대학재정지원사업(예: 대학원연구중심대학육성(BK)사업,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IME)사업 등)에 한해서는 교육부에 협조적이었다. 셋째, 국회 교육위원회는 교육부의 잘못된 대학재정지원정책 집행 사항을 지적하면서도 기본적으로는 경제논리가 대학재정지원정책에 침투하는 상황을 경계하고 고등교육재정을 확충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연대하여 기재부와 협상하였다. 그러나 이명박정부 말기부터 누리과정과 반값등록금에 소요되는 예산이 급증하면서, 최근에는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보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감사원은 참여정부 시절부터 대학재정지원사업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다가 박근혜정부를 기점으로 그 범위를 넓혀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구조적 문제점을 종합감사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대학사회는 대교협을 중심으로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대한 현장 의견을 피력해오다가 최근으로 올수록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집단이 다원화되었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대교협이 이전만큼 대학사회 중론을 모아 교육부와 논의하는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네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대학재정지원정책은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문민정부 시절 경로가 창조된 이후 경로의존성을 보이다가 문재인정부에 이르러 경로의존과 경로진화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먼저 문민정부 시절에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이 거세던 때에 김영삼 대통령이 당선되어 세계화를 국정이념으로 제시하면서, 5.31 교육개혁 방안이 마련되고 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이 도입되었다. 다음으로 문민정부 이후 문재인정부 이전까지 경로의존성이 심화된 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시기마다 달랐다. 국민의 정부 시절에는 외환위기와 이해찬 장관의 영향력이 컸다. 전자에 의해서는 국정 전반에 걸쳐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를 병행 발전시키려던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좌초되고, 후자에 의해서는 국민의 정부 초대 교육부 수장으로서 5.31 교육개혁 기조를 계승하여 대학원연구중심대학육성(BK)사업을 도입하였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부 관료와 기재부의 영향력이 컸다. 대통령직속 교육자문기구가 교육개혁 기획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교육부장관이 잇달아 교체되며 리더십 공백이 자주 발생하면서,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유지하려는(수정하지 않으려는) 교육부 관료의 경로의존적 사고가 작동하였고 기재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참여정부 역점 사업이었던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다.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시절에는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당시 교육부 관료는 정치권력에 포획되어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적ㆍ중립적 능력이 크게 제약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문재인정부는 경로의존과 경로진화의 갈림길에 서 있다. 이 때,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김상곤 교육부장관의 재임은 경로진화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그러나 구조 수준에서 나타나는 경기 둔화와 저출산ㆍ고령화 추세, 제도 수준에서 나타나는 교육부 관료와 학생ㆍ학부모의 대학사회 불신 경향과 누리과정ㆍ반값등록금 예산 증가 추세, 행위 수준에서 나타나는 기재부의 영향력과 국회 교육위원회의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충에 대한 미온적 태도, 대교협의 대학사회 의견 수렴 및 교육부와의 협상 역량 부족 등이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경로진화 가능성을 어둡게 만들고 있다.
      번역하기

      과거 문민정부는 대학 운영을 자율화하는 한편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로 대학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을 도입하였다. 해당 방침은 정권교체 이후에도 이어졌고, 참여정부 이...

      과거 문민정부는 대학 운영을 자율화하는 한편 책무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로 대학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을 도입하였다. 해당 방침은 정권교체 이후에도 이어졌고, 참여정부 이후부터는 특수목적지원사업을 다양하게 신설하여 사업별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학에 재정을 선별 지원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문민정부 예측대로라면 각기 다른 목적을 지닌 대학재정지원사업이 다양하게 추진된 만큼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가 촉진되고 교육과 연구의 질적 수월성이 향상되었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실상은 사업 종류와 지원 방식이 복잡하고 지원 기간도 짧아 실제로는 사업 관리에 대학 행정력이 과도하게 소모되고 있다. 또한 사업별로 평가지표가 차별화되어 있지 않아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촉진하는 데 근본적 한계를 내보이고 있다. 이에 학계와 정부는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대학재정지원정책 실패 제도화를 야기하는 근본 원인을 탐색하려는 노력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대학재정지원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연구 대상인 대학재정지원정책과 분석 관점인 역사적 신제도주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대학재정지원정책과 관련하여 제1절 고등교육 재정지원에서는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 이유, 방식,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교육 재정지원을 정당화하는 논리가 상당 부분 경제적 측면에서 개발되어 왔으며, 고등교육 재정지원 방식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협상형 방식에서 시장형 방식으로 빠르게 변모해왔음을 확인하였다. 고등교육 재정지원 규모 면에서도 고등교육 예산은 대체로 상승 곡선을 그려왔으나, 대학기관에 대한 직접지원 비중은 줄고 학생을 통한 간접지원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절 대학재정지원정책과 대학재정지원사업에서는 먼저 두 개념 간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재정지원정책은 개별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총칭하는 수준을 넘어 개별 대학재정지원사업을 관통하는 기본원리, 정책목표, 정책수단에 관한 포괄적 개념임을 규정하였다. 이후에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이 변화되어 온 과정을 대학재정지원정책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는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가 상대적으로 효율성(기본원리), 대학 다양화 및 경쟁력 강화(정책목표), 시장형 방식(정책수단 중 재정지원 방식), 사회봉사 기능(정책수단 중 재정지원사업)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지속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역사적 신제도주의와 관련하여 제1절 신제도주의 등장 배경 및 하위 분파 비교에서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상위 개념인 신제도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고찰함과 동시에 다른 하위 분파인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와 사회학적 제도주의를 분석 관점으로 채택하지 않은 이유를 제시하였다. 요컨대 신제도주의는 하위 분파를 막론하고 사회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 제도를 핵심 개념으로 설정하는 학문적 경향을 지칭하는데,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와 사회학적 제도주의가 지나치게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을 취하는 데 반해 역사적 제도주의는 중범위적 접근을 시도하여 두 하위 분파의 장점을 적절하게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제2절과 제3절에서는 본격적으로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논의되는 제도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제도변화 논리를 고찰하였다.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제도는 행위를 규율하는 외부의 모든 맥락을 총칭하여 정의되기도 하나, 제도의 중층성을 고려할 때 상위 제도 수준이 하위 제도 수준인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제약하는 상황을 보다 정치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역사적 신제도주의는 제도가 행위를 규율하는 동시에 행위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고 보고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간 상호작용에 의한 제도나 정책 변화에 주목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발전해 온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통합 모형을 대학재정지원정책 분석에 적용키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제3장 연구 설계에서는 제4장 분석 및 논의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분석 내용, 분석 방법 및 수집 자료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이 가운데 분석 내용으로 본 연구는 제1장 서론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맞추어 네 가지 사항을 분석하기로 결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구조적 맥락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구조 수준에서는 대외 환경 요인으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을, 대내 환경 요인으로 정권교체(정치적 측면), 외환위기 등 경기침체(경제적 측면), 저출산ㆍ고령화(사회적 측면)을 고찰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두 번째 연구문제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제도적 맥락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제도 수준에서는 이념(대통령, 교육부 관료, 대학사회, 학생ㆍ학부모), 정책결정구조, 교육제도의 중층성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 ‘구조ㆍ제도적 맥락에 의한 제약 속에서도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변화시키기 위한 행위자들의 노력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행위 수준에서는 공식적 행위자로서 교육부, 기재부, 국회 교육위원회, 감사원을, 비공식적 행위자로서 대학사회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까지 논의한 이후에는 이를 종합하여 네 번째 연구문제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대학재정지원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겠다고 밝혔다.
      제4장 분석 및 논의를 통하여 각 연구문제별로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은 1980년대 등장하여 지속ㆍ강화되어 오다가, 2000년대 후반 발생한 미국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로 포스트 신자유주의로 표현되는 비판적 담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이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미친 영향력도 시기별로 달랐는데, 문민정부 시절에 그 영향력이 가장 강력하여 김영삼 대통령이 세계화를 국정이념으로 설정하고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5.31 교육개혁 방안을 입안하여 대학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이 제시되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가 창조되었다. 둘째, 정권교체는 김대중ㆍ노무현 대통령에 의하여 진보 정권이 10년간 유지되다가 이명박ㆍ박근혜 대통령에 의하여 보수 정권이 9년 간 유지되었고 문재인 대통령에 의하여 다시금 진보 정권이 집권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대학재정지원정책은 정책수단 측면에서 각종 대학재정지원사업이 개폐되는 변화를 겪어야만 했다. 셋째, 외환위기는 IMF에 채무를 청산한 이후에도 실질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등 만성적 경기 둔화세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학 체제를 사회 수요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대학재정지원사업 비중을 크게 확대해왔으며, 교육인적자원부 시절 교육정책에 대한 기재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대학재정지원정책에도 그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 넷째, 저출산ㆍ고령화 현상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국가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한다는 경제발전 개발논리와 학령인구 감소에 선제 대응하여야 한다는 논리를 결합하여 특성화를 전제로 한 대학 구조조정을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유도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이념 가운데 대통령의 국정철학은 기본적으로 신자유주의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형평성 가치를 가미하려는 시도가 김대중ㆍ노무현ㆍ문재인 대통령 재임 시절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에 형평성을 가미하는 데 실패하였고, 문재인정부는 현재 시도 중에 있어 속단하기 이르다. 교육부 관료의 의식은 문민정부 시절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교육부 조직 개편이 대대적으로 단행된 이래로 이전까지 유지되어 온 ‘행정공무원을 통한 대표제’ 성격이 약화되고 정치권력에 예속될 위험이 높아졌다. 다만 정치권력에 예속되는 정도는 시기마다 차이가 있어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부 관료의 자기이익 추구 기제가 제한적으로나마 작동한 반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시절에는 정치권력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방향으로 크게 제약되었다. 대학사회의 학문의 자유 이념은 광복 이후 서구 사회로부터 이식받았으나 군부정권 시절 억압되었고, 1980년대 민주화 항쟁의 결과로 대학 자율화가 선언된 뒤 대학재정지원정책을 비판하는 논리로 활용되고 있다. 학생ㆍ학부모의 사학 불신은 2000년대에 고등교육 보편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높은 등록금을 내고도 그에 상응하는 교육과 취업의 질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불만으로 표출되었다. 이에 학생ㆍ학부모는 정부가 대학에 당근(재정지원)을 주기보다 채찍(책무성 강화)을 가해야 할 때라는 인식이 강하다. 둘째, 정책결정구조는 문민정부를 제외하고 대통령직속 교육자문기구와 교육부 간 효율적 업무 분담 체제가 구축되지 못하면서 교육부의 규모가 비대화되고 기재부의 영향력이 대학재정지원정책에 과도하게 침투하였다. 셋째, 교육제도와 관련하여서는 이명박정부 말기부터 누리과정 및 반값등록금 예산이 급증하면서 대학에 배분되는 기관단위 직접지원 비중이 위축되고 있다.
      세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먼저 교육부장관의 리더십은 기본적으로 장관이 자주 교체되어 지속적이고도 안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다만 그 가운데 평균 재임 기간보다 길게 장관직을 역임한 동시에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발휘한 장관들을 살펴보면 안병영(문민정부ㆍ참여정부), 이해찬(국민의 정부), 김진표(참여정부), 이주호(이명박정부) 등과 같이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거나 지속ㆍ강화하는 데 이견을 보이지 않은 장관들이었다. 둘째, 기재부는 문민정부 시절을 제외하고는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충에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고, 그 와중에도 경제논리에 충실한 대학재정지원사업(예: 대학원연구중심대학육성(BK)사업,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IME)사업 등)에 한해서는 교육부에 협조적이었다. 셋째, 국회 교육위원회는 교육부의 잘못된 대학재정지원정책 집행 사항을 지적하면서도 기본적으로는 경제논리가 대학재정지원정책에 침투하는 상황을 경계하고 고등교육재정을 확충하기 위하여 교육부와 연대하여 기재부와 협상하였다. 그러나 이명박정부 말기부터 누리과정과 반값등록금에 소요되는 예산이 급증하면서, 최근에는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보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넷째, 감사원은 참여정부 시절부터 대학재정지원사업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다가 박근혜정부를 기점으로 그 범위를 넓혀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구조적 문제점을 종합감사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대학사회는 대교협을 중심으로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대한 현장 의견을 피력해오다가 최근으로 올수록 대학재정지원정책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집단이 다원화되었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대교협이 이전만큼 대학사회 중론을 모아 교육부와 논의하는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네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대학재정지원정책은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문민정부 시절 경로가 창조된 이후 경로의존성을 보이다가 문재인정부에 이르러 경로의존과 경로진화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먼저 문민정부 시절에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이 거세던 때에 김영삼 대통령이 당선되어 세계화를 국정이념으로 제시하면서, 5.31 교육개혁 방안이 마련되고 평가 결과에 따른 차등 지원 방침이 도입되었다. 다음으로 문민정부 이후 문재인정부 이전까지 경로의존성이 심화된 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시기마다 달랐다. 국민의 정부 시절에는 외환위기와 이해찬 장관의 영향력이 컸다. 전자에 의해서는 국정 전반에 걸쳐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를 병행 발전시키려던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좌초되고, 후자에 의해서는 국민의 정부 초대 교육부 수장으로서 5.31 교육개혁 기조를 계승하여 대학원연구중심대학육성(BK)사업을 도입하였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교육부 관료와 기재부의 영향력이 컸다. 대통령직속 교육자문기구가 교육개혁 기획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교육부장관이 잇달아 교체되며 리더십 공백이 자주 발생하면서, 기존 대학재정지원정책 경로를 유지하려는(수정하지 않으려는) 교육부 관료의 경로의존적 사고가 작동하였고 기재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참여정부 역점 사업이었던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되었다.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 시절에는 대통령의 국정철학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당시 교육부 관료는 정치권력에 포획되어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적ㆍ중립적 능력이 크게 제약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문재인정부는 경로의존과 경로진화의 갈림길에 서 있다. 이 때,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김상곤 교육부장관의 재임은 경로진화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그러나 구조 수준에서 나타나는 경기 둔화와 저출산ㆍ고령화 추세, 제도 수준에서 나타나는 교육부 관료와 학생ㆍ학부모의 대학사회 불신 경향과 누리과정ㆍ반값등록금 예산 증가 추세, 행위 수준에서 나타나는 기재부의 영향력과 국회 교육위원회의 대학재정지원정책 예산 확충에 대한 미온적 태도, 대교협의 대학사회 의견 수렴 및 교육부와의 협상 역량 부족 등이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경로진화 가능성을 어둡게 만들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00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01
      • 2. 연구 내용 및 범위 005
      • Ⅱ. 이론적 배경 007
      • Ⅰ. 서론 00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01
      • 2. 연구 내용 및 범위 005
      • Ⅱ. 이론적 배경 007
      • 1. 고등교육 재정지원 007
      • 가. 고등교육 재정지원의 필요성 007
      • 나. 고등교육 재정지원 방식 010
      • 다. 고등교육 재정지원 규모 변화 추이 016
      • 2. 대학재정지원정책 023
      • 가.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개념적 범위 024
      • 나. 행정부별 대학재정지원정책 변천 과정 027
      • 3. 역사적 신제도주의 040
      • 가. 신제도주의 등장 배경 및 하위 분파 비교 040
      • 나.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제도의 의미와 특징 048
      • 다.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제도변화 논리 051
      • Ⅲ. 연구 설계 063
      • 1. 연구 모형 063
      • 2. 분석 내용 065
      • 가. 구조 수준 맥락 066
      • 나. 제도 수준 맥락 066
      • 다. 행위 수준 맥락 068
      • 라.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 070
      • 3. 분석 방법 및 자료 수집 070
      • Ⅳ. 분석 및 논의 073
      • 1. 구조 수준 맥락 073
      • 가. 국제 환경 073
      • 나. 국내 환경 079
      • 2. 제도 수준 맥락 089
      • 가. 이념 089
      • 나. 정책결정구조 104
      • 다. 교육제도 116
      • 3. 행위 수준 맥락 120
      • 가. 교육부장관의 리더십 120
      • 나. 기재부, 국회, 감사원의 영향력 행사 140
      • 다. 대학사회의 대응 167
      • 4. 구조ㆍ제도ㆍ행위 수준 맥락 간 상호작용 179
      • 가. 구조 수준이 제도 및 행위 수준에 미친 영향 180
      • 나. 제도 수준이 하위 제도 및 행위 수준에 미친 영향 183
      • 다. 행위 수준이 제도 수준에 미친 영향 186
      • 라. 종합논의 188
      • Ⅴ. 결론 195
      • 1. 요약 195
      • 2. 결론 199
      • 3. 제언 201
      • 가. 대학재정지원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 201
      • 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4
      • 참고문헌 207
      • Abstract 2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공보처, "null", 문민정부 5년 개혁백서, 1997

      2 교육부, "null", 지방대학 육성방안 시안, 2013

      3 교육부, "null", 19931998년도 교육부소관 예산개요, 1999

      4 교육부, "null", 2000년도 교육부 소관 세입세출예산개요, 2000

      5 교육부, "null", 2017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2016

      6 교육부, "null",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 기본계획 시안 발표, 2015

      7 시사저널, "null", 김숙희 장관 해임 파문이 남긴 것: 획일적 역사 해석은 금물, 1995

      8 교육부, "null",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ㆍ초ㆍ중등 교육통계편, 2017

      9 교육부, "null", 대학 자율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안), 2018

      10 교육부, "null", 대학 교육의 질 제고 및 학령인구 급감 대비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추진 계획, 2014

      1 공보처, "null", 문민정부 5년 개혁백서, 1997

      2 교육부, "null", 지방대학 육성방안 시안, 2013

      3 교육부, "null", 19931998년도 교육부소관 예산개요, 1999

      4 교육부, "null", 2000년도 교육부 소관 세입세출예산개요, 2000

      5 교육부, "null", 2017년도 교육부 소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2016

      6 교육부, "null",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사업 기본계획 시안 발표, 2015

      7 시사저널, "null", 김숙희 장관 해임 파문이 남긴 것: 획일적 역사 해석은 금물, 1995

      8 교육부, "null", 한국교육개발원 2017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ㆍ초ㆍ중등 교육통계편, 2017

      9 교육부, "null", 대학 자율성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학 재정지원사업 개편계획(안), 2018

      10 교육부, "null", 대학 교육의 질 제고 및 학령인구 급감 대비를 위한 대학 구조개혁 추진 계획, 2014

      11 교육부, "교육부", 대학 평가 및 재정지원사업 전면 개선으로 대학의 자율성과 공 공성을 높인다, 2017

      12 김영삼, "2000 新한국", 서울: 동광출판사, 1992

      13 반상진, "교육행정학", 서울: 학지사, 2014

      14 송기창, 윤정일, 김병주, 나민주, "신교육재정학", 서울: 학지사, 2015

      15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해남, 서울: 해남, 2016

      16 정운찬, "IMF와 한국경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18, 1999

      17 강경석, "「교육재정학」", 형설, 서울: 형설출판사, 2003

      18 정정길,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2017

      19 반상진, "고등교육경제학", 집문당, 파주: 집문당, 2008

      20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 2010

      21 국경복, "「재정의 이해」", 나남, 파주: 나남, 2015

      22 오성삼, "세계 대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9

      23 교육부, "홈페이지 http://www", moe.go.kr, null

      24 소병희, "공공부문의 경제학",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4

      25 조선에듀, "대학 기본역량평가", 예비 자율개선대학 207곳 선정… 진단 대학 64% 수준, 2018

      26 교육부, "교육 50년사: 19481998", 교육부: 교육50년사편찬위원회, 1998

      27 한공우,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태영, 서울: 원미사, 2006

      28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6)", OECD 교육지표, 2003

      29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7)", 간추린 교육통계, 1998

      30 김종철, "「한국교육정책연구」",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1989

      31 염재호, "국가정책과 신제도주의", 사회비평, 11, 1033, 1994

      32 강만길, "『고쳐 쓴 한국현대사』", 창비, 파주: 창비, 2006

      33 강무섭, "고등교육 정원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86

      34 김 용, "교육개혁의 논리와 현실", 교육과학사, 파주: 교육과학사, 2012

      35 박혜경, 홍성창, 이주호, "평준화를 넘어 다양화로", 서울: 학지사, 2006

      36 안병영, 하연섭, "5.31 교육개혁 그리고 20년", 서울: 다산출판사, 2015

      37 장수명, "대학의 공공성과 대학재정",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주최 교육정책 토 론회 자료집, 2008

      38 김경호, 이대열, 오석환, 김영철, "대학재정운영 이론과 실제",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9

      39 신현석,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2005

      40 윤정일, "GDP 7% 수준의 교육재정 확보",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사학, 102, 3952, 2002

      41 신현석, "국민의 정부 교육개혁 평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18, 3578, 2003

      42 안희남, "신ㆍ구 제도주의 비교연구.", 한국국정관리학회, 현대사회와행정, 12(3), 141, 2002

      43 조선에듀, "“법적기구로 발전시켜야.”", 국가교육회의 ‘첫발’... 신인령, 2017

      44 윤정일, "「교육재정의 이론과 실제」", 세영사, 서울: 세영사, 2000

      45 나민주, "대학재정배분의 쟁점과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8(3), 123154, 2009

      46 김병주, "사립대학 재정지원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ㆍ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47 양승일, "「정책변동론: 이론과 적용」",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14

      48 최준영, "제17대 대통령선거와 지역균열", 21세기 정치학회, 21세기정치학회보, 18(3), 4765, 2008

      49 이원규, "제17대 대통령선거와 투표 행태", 한국의정연구회, 의정논총, 7(2), 289318, 2012

      50 하연섭, "제도분석 - 이론과 쟁점 - 제2판", 서울: 다산출판사, 2011

      51 김응권, "교육서비스 협상과 우리의 대응", 나라경제 6월호, 2326, 2003

      52 김성진, "대학교: 이상, 현실 그리고 개혁", 한국교육미디어, 서울: 한국교육미디어, 2003

      53 이수연, "대학 재정지원 정책 평가와 대안", 대학과 정책, 1, 126149, 2017

      54 홍인기, "새 정부에 바라는 중등교육 개혁", 창비, 창작과 비평, 40(4), 321333, 2012

      55 유현숙, "고등교육개혁 국제동향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 발원 기본연구보고서(RR200510), 2005

      56 한만중, "노무현 정부 8개월 교육정책 평가", 교육비평사, 교육비평, 14, 2850, 2003

      57 유스라인, "‘프라임사업’ 예산 더 줄어든다", ‘김빠진 맥주 꼴’ 교육부 당황, 2015

      58 김환식, 채창균, 오호영, 반상진, "고등교육 재정지원 제도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정책연구과제 2005지정57), 2005

      59 권기석, 임후남, 이정미, 엄준용, "고등교육 재정지원 현황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보고서(CR2012032), 2012

      60 신묘철, "교원업무경감 정책변동 요인 분석",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61 노승용, 최창수, 조태준, 오헌석, 오승은, 박대권, "교육부 중장기 조직발전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13위탁51), 2014

      62 장아름, 이인수, 이예슬, 윤기현, 서경화, 김미란, 강재혁,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62, 125155, 2017

      63 안종석, "교육재정의 효율성 제 고방안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64 송기창,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재구조화 필요", 대학교육, 198, 44-52, 2017

      65 오헌석, 박대권, 이승호, "SWOT 기법을 활용한 교육부 조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1), 263286, 2016

      66 송선영, 이영, 안종석, 유현숙, 이병식, "고등교육재정 국제세미나 지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 자원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교육정책연구 2004지정28), 2004

      67 손승남,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이념 형성과정", 한국교육사상연구회, 교육사상연구, 25(3), 97117, 2011

      68 윤지관, "지구적 자본주의와 대학개혁의 이념",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인문, 6, 137160, 2016

      69 곽영순,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015

      70 시사저널, "“교육부 마피아가 나를 배척했다.”", 윤덕홍 교육 부총리, 2004

      71 송광용, "대학재정 국고지원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구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구소 연 구보고서(연구보고 RR 제977154호), 1998

      72 반상진, "새 정부 고등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6(2), 93118, 2017

      73 윤여봉, "IMF의 한국경제 보고서 제4권(19912001)", 고양: 좋은생각좋은사람들, 2016

      74 이준서, "Red Deal: 피 같은 당신의 돈이 새고 있다", Scgbooks, 서울: 에스씨지북스, 2014

      75 김무영, 오세희, 서화정, 김민희,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영남대 고등 교육정책연구소 기본연구보고서(RR 201602), 2016

      76 박정수, 김병주, 송기창, 정태화, "고등교육재정사업 재구조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 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 2007

      77 민철구, "대학의 AcademicCapitalism 추세와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 구원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0312), 2003

      78 송기창, "대학재정지원정책의 과제와 개선 방향",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교육재정경제연구, 9(2), 125, 2000

      79 김태훈, "대한민국 교육정책은 누가 결정하는가", 태영, 서울: 태영출판사, 2006

      80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 방안(시안)”", 발표, 2016

      81 박현철, "고등교육기관의 재정 분석 연구 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 고서, 2007

      82 김지희, 양정호,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19(2), 23 47, 2012

      83 신승환, "자본주의 체제에서 대학의 현재와 미래", 사회와 철학 연구회, 사회와 철학, 24, 103126, 2012

      84 나민주, 이희숙, 이필남, 이정미, 서영인, 박소영,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발전 방안 연 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보고서(RR201015), 2010

      85 김성기, 황준성, 홍근석, 하봉운, 이정민, 김형근, "고등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 방안 연 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정책연구 200803), 2008

      86 김두식, Kim, Du-Sik, "정부의 대학 재정 지원 기본방향과 내용",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교육, 84, 2329, 1996

      87 하태수, "제도의 이전, 토착화 그리고 신제도주의", 행정논총, 40(1), 4569, 2003

      88 임후남, "한국 고등교육 평가체제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보고서 (RR201709), 2017

      89 김상무, 이윤미, 성병창, 박도순, 김용일, 김영석, "한국 교육개혁의 평가와 대안 탐색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정책연구개발사업 2007위탁87), 2007

      90 오창민, "[경향의 눈] 참여정부 교육부총리 잔혹사", 경향신문 오피니언, 2017

      91 윤선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원인과 대안”", 사회와 철학 연구회, 사회와 철학, 5, 155188, 2003

      92 서영인,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평가의 발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포지션페이퍼 (PP201407), 2014

      93 김슬기, 이주형, "대학재정지원사업 및 구조개혁 추진실태", 계간ㆍ감사 여름호, 4959, 2017

      94 이근식, "신자유주의: 하이에크, 프리드먼, 뷰캐넌", 기파랑, 서울: 기파랑, 2009

      95 오영균, 임완재, "군 구조정책의 변화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4), 5380, 2014

      96 교육부, "대학지원예산구조 및 지원방식 개선 연구", 교육부, 교육부 정 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교육정책연구 2000특29), 2001

      97 김수경, "대학특성화 재정지원 전략과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7(2), 129149, 2009

      98 김선종, "정책 연구에서의 행태주의 접근법의 한계", 우송대학교, 우송대학교 논문집, 1, 185200, 1996

      99 노명순, "입학사정관제의 정책오차와 오차수정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00 정기오, "학교와 기업, 그리고 교육논리와 경제논리",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14(1), 2754, 2007

      101 박병규, 차상우, "UR 협상 주요 의제의 최종합의 내용 및 평가", 동향과 전망, 2966, 1994

      102 정태인, "가트 역사에 비춰 본 우루과이 라운드 성격", 동향과 전망, 21, 728, 1994

      103 이정미, "고등교육 재정 확충 및 운영의 이슈와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 (OR2012057), 2012

      104 김병주, "정부의 대학재정 지원제도 개선방안. 7196",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37회 대학 교육정책포럼 자료집(DSP 20122203), 2012

      105 강선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4, 4971, 2006

      106 김용일, "참여정부의 교육정책결정구조에 관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2(4), 163186, 2015

      107 반상진, "정부 주도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쟁점과 과제", 교육정책연구, 1(1), 139160, 2017

      108 신현석, 정용주, 이준희, "제도화된 국가주의와 교육에서 국가의 역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6(3), 5379, 2013

      109 박현철, 이영호, 백정하, "고등교육재정 확충 및 투자분야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 2008

      110 김훈호, "대학 재정지원 정책과 대학의 재정구조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11 이명석, "신자유주의 ,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행정개혁",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40(1), 146, 2001

      112 박세인, "한국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제도적 진화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13 송기창, "박근혜정부 고등교육재정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1(3), 255279, 2013

      114 나민주, "시장ㆍ정부ㆍ대학: 대학재정지원정책의 이해",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115 송선영,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쟁점과 개선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ㆍ한국고등, 2014

      116 김병주, 이영, 나민주,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고등교육재정 확보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6(1), 129158, 2007

      117 권기석, 이필남, 이정미, 이영, 나민주, 김병주, "고등교육 재정 확충 및 효율적 운영방 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보고서(RR201115), 2011

      118 하태수, "경로 변화의 양태:경로의존,경로진화,경로창조", 2010년도 한국행정학회 동 계학술대회 자료집, 116, 2010

      119 이정미, "고등교육시장 개방 논리의 구조적 특성과 한계",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13(1), 145 172, 2004

      120 권도희, 홍영란, 서영인, 김병주, 김미란, "고등교육 재정지원정책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보고서(RR201710), 2017

      121 정승건, "한국의 행정개혁과 변동 : 정치권력과 관료정치",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28(1), 55-79, 1994

      122 길혜지, 정바울, 이정미, 이상무, 심우정, 문보은, "2015년 주요국가의 고등교육재정 투 자 현황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OR201505), 2015

      123 송기창, 이영, 장수명, 안종석, "고등교육재정지원 성과분석 및 효율화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 육인적자원부 연구과제 용역보고서(정책연구과제 2004지정27), 2004

      124 박진형, "대학평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발전논총, 34(2), 79102, 2013

      125 채진원, "세계화시대 대학교육의 이념과 시민교육적 과제",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39, 542, 2013

      126 김병모,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대학구조조정 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36(2), 4363, 2005

      127 안민석, "이명박정부 대학 재정지원사업 실태와 개선방안", 2010년도 국정감사 정책자료 집, 2010

      128 길용수, 양승실, 신재영, 서영인, 김미란,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표준단가 산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보고서(RR201518), 2015

      129 손흥숙, "고등교육에 대한 국가의 신자유주의적 개입 방식",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0(4), 173196, 2002

      130 송기창, "교육재정 GNP 5% 확보정책의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9(1), 123164, 2000

      131 박거용, "사학 권력과 대학의 문제,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 대학: 담론과 쟁점, 1, 24 41, 2017

      132 김진영, 이영, 안종석, 전병목, "정부의 대학교육비 지원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한국조세연구원, 한국 조세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

      133 하태수, "제도변화의 형태: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39(3), 113137, 2001

      134 김화진, "대학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과 배분의 정책 방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교육, 87, 1021, 1999

      135 남수경, "대학재정 지원정책의 성과 진단과 새 정부의 과제", 한국고등교육정책학회, 2013

      136 김은미, "한국 주택정책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37 김성수, "“한국 지역주의 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이해”",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아태연구, 20(3), 6999, 2013

      138 박현철, 홍성준, 함경일, "고등교육기관의 재정분석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 고등교육정책연구소 기본연구보고서(RR200905), 2009

      139 남수경, "고등교육정책의 성과 진단과 새 정부의 과제. 2750", 2013년 한국고등교육정 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13

      140 변수연, "대학입학사정관제 정책 집행 과정의 디커플링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41 손준종, "반값 등록금의 정치학: 그 성격과 교육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0(3), 189215, 2013

      142 안선회, "사교육비 경감정책 평가연구: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9

      143 안병영,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치와 행정의 역할과 조화", 한국교육정치학회, 2017년도 한국교육정치 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3-20, 2017

      144 이현우, "국회 상임위원회의 운영: 전문성과 대표성의 재평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의정연구, 27, 145-177, 2009

      145 송기창(Song Ki-Chang), "반값등록금정책에 따른 대학재정지원정책 개선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교육재정경제연구, 26(2), 6392, 2017

      146 노명순, "대학입학정책 변화요인의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4(3), 241264, 2006

      147 민경국, "신자유주의 이념의 역사적 기원과 공공정책의 어젠다", 한국제도경제학회, 제도와 경제, 5(2), 51 97, 2011

      148 이기성, 이용균,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특징 분석 및 발전 방향",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 · HRD연구소, 평생교육HRD 연구, 6(2), 165185, 2010

      149 김소영, 정익재, 노종호, 김정수, "학부교육 선진화 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메타평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3(1), 135161, 2011

      150 임도빈, "관료제 개혁에 적용한 신공공관리론,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1(1), 127, 2010

      151 신현석, "교육개혁의 이념과 철학: 교육개혁 10년의 반성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12(1), 1950, 2005

      152 유스라인, "[쟁점] “프라임 사업, 빛 좋은 개살구?”... 교육부 계획", 돈 줄 기재부와 간극 너무 크다, 2015

      153 윤정일, "교육재정 GNP 5% 확보논의와 대학재정의 안정적 확충방안", 대학교육, 68, 59 64, 1994

      154 김수경, "문재인 정부 고등교육 개혁 추진 현황 및 개선과제 토론", 2018년도 안암교육 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25228, 2018

      155 윤인재, "신제도주의에 기반한 국내 교육정책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 구, 20(2), 75101, 2013

      156 김미란, 서영인, 김병주,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사업 평가항목 개선방안 연구", 한국 교육개발원 현안보고(OR20142), 2014

      157 김윤권,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14(1), 299329, 2005

      158 신현석, "평가에 의한 정부의 대학 재정 지원 정책 논리 분석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17(3), 161189, 1999

      159 안병영, "개혁과정과 장관의 역할: 문민정부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연세행정논총, 24, 1 24, 1998

      160 교육인적자원부, "고등교육재정 규모 및 지원방식등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교육정책연구 2002일10), 2002

      161 곽진숙, "대학평가에서 활용되는 취업률 지표의 문제와 개선 방안", 교육평가연구, 26(1), 181215, 2013

      162 이건만, "세계화의 쟁점과 지식지배 사회의 인간자본에 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5(5), 373398, 2015

      163 박부권, "예견된 실패 : 두뇌한국21 사업을 통한 서울대의 제도개혁", 한국교육연구소, 한국교육연구, 6(1), 1955, 2000

      164 강원택, "2007년 대통령 선거와 이슈: 회고적 평가 혹은 전망적 기대?", 의정연구, 25, 31 59, 2008

      165 윤지관, "사학문제의 해법을 모색한다: 한국 사학의 역사 현실 전망", 실천문학사, 서울: 실천문 학, 2012

      166 신재철, "정부의 고등교육개혁을 위한 재정지원 정책의 정치학. 117", 2007년도 한국교 육정치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007

      167 안병영, "장관의 교체와 정책의 안정성: 정책연속성 확보를 위한 시론", 한국행정연구, 10(4), 3261, 2001

      168 변수연, "주인대리인 이론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분석", 2010년도 한국교 육행정학회 제158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11336, 2010

      169 정제영,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교육정책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행정학회, 한, 2016

      170 임도빈, "관료제, 민주주의, 그리고 시장주의: 정부개혁의 반성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1(3), 41-65, 2007

      171 이준희, "단위학교 책무성 정책변화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1

      172 김종성, "신제도주의의 행정학적 함의: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3, 5982, 2002

      173 이승룡,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술영향평가 제도의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7

      174 안병영, "입법 및 정책결정과정에서 장관과 국회상임위원회의 상호관계", 의정연구, 11, 94143, 2001

      175 이종찬, "제도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기 신제도주의의 쟁점과 한계",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 보, 48(1), 163184, 2014

      176 진강화, "중국 농촌토지정책 변화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와 딜레마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77 최용섭, "한국의 집권당 변화에 관한 연구: 열린우리당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 총, 51, 219242, 2009

      178 임혜란, "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 정치, 76, 145, 2012

      179 조흥순, "한국 교원평가정책의 변동 연구: 옹호연합과정모형(ACPF)의 적용",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80 신현석, 전상훈,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적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 문제연구, 32, 167192, 2008

      181 김보은, 정의창, 노승용, "“정부의 반부패 제도변화에 관한 연구: 역사제도주 의적 관점”", 한국국정관리학회, 현대사회와 행정, 21(2), 173203, 2011

      182 이민창, 이재술, "경로의존인가 경로진화인가: 소득보장정책 변동과정의 사례분석", 한국 행정논집, 26(2), 265292, 2014

      183 백승훈, "한국 가족정책의 경로의존성 분석: 제도형성 및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한 국지방자치연구, 15(1), 157179, 2013

      184 하영진, "한국 청소년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85 주은선, 정해식, "한국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중층화를 통한 점진적전환", 한국사회정책학회, 한 국사회정책, 17(1), 179213, 2010

      186 조흥순, "대학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 연구, 25, 167199, 2006

      187 김자영, "여행바우처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8 김선명, "신제도주의 이론과 행정에의 적응성: 역사적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한독사회 과학논총, 17(1), 211239, 2007

      189 최재용,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비축제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0 변기용, "“교육행정 구현과정에서 교육주체들의 ‘자기소외’ 현상 탐구”", 에 대한 토론. 2016년도 한국교육행정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68-75, 2016

      191 이창무, "“산업기술보호정책의 법제화과정 분석: 역사적신제도주의 관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정책분석평 가학회보, 25(4), 293311, 2015

      192 이일수,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카투사제도의 변화 및 지속성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3 박균열,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제한요인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 학연구, 20(1), 5372, 2013

      194 이준호, 정윤길, "중국의 재정제도 변화과정 분석:역사적 제도주의 관점 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22(4), 11331163, 2010

      195 김병주, "고등교육 재정지원. 윤정일 외(2008). 전환기의 한국교육정책. 397418", 서울: 학지사, 2008

      196 엄상현, 변기용,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42, 123155, 2012

      197 김경희, "의료관광정책의 제도적 변화 분석: 점진적 제도변화 모형을 중심으로", 한양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98 신현석, "현 정부의 교육개혁의 정치학: 5.31교육개혁안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 치학연구, 3(1), 92122, 1996

      199 최준영 ( Jun Young Choi ), 구본상 ( Bon Sang Koo ), "당내 파벌의 특성과 파벌 간 갈등양상: 한나라당/새누리당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동서연구, 29(2), 533, 2017

      200 권정현, 문영빛, 김도기, "역사적 신제도주의 경로의존성 관점에서의 교장공모제 제 한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3), 128, 2015

      201 김동현, 최지원, 임주영, 박형준, 박형근, 박범준, "포뮬러 방식을 통한 대학 재정지원 예산배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수탁연구보고서, 2013

      202 김미란, 채민정, 서영인, 나민주,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재정지원 개선 방안: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현안보고(OR201609), 2016

      203 구현우,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 신제도주의 하위 분파 간 통합적 접근의 가능성",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국 정관리연구, 7(2), 69110, 2012

      204 김형성, "「중앙행정기관 평가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신제도주의적 관점의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 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05 윤견수, "경험의 의미와 질적 연구의 연구 과정: 근거이론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한 국정책과학학회보, 17(2), 163200, 2013

      206 주성돈, "원자력정책 변화요인의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박정희 정부를 중심으로", 정 부와 정책, 6(2), 75108, 2014

      207 김선희, "정책변화의 제도적 조건과 메커니즘 분석: 의료보험 규제정책을 중심으로", 고 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8 차양신, "한국 디지털 통신기술 발전 정책틀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09 안효정, "국회 상임위원회의 대정부질의 전략이 교육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7(4), 1-22, 2009

      210 박영규, "고등교육과 정부의 역할: 대학의 교육, 연구, 재정에 대한 국고보조금의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1 신현석, 전상훈, "교원승진제도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정책적 시사점의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3), 129149, 2007

      212 정기오, "양식화 된 의사소통과 정책과정의 민주화: 교육인적자원정책과정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1, 143168, 2001

      213 안세근, 변기용, 이석열, 이호섭, 이영학,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 재정 지원 사업에 대한 메타평가 연구",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 서, 2017

      214 이선엽, "인권의 제도화에 관한 신제도주의적 접근: 제도의 결합, 경로의존성, 경로창조", 한국행정사학회, 한국행정사학지, 32, 127160, 2013

      215 변수연, 변기용, 송경오, 이석열, "지역균형발전의 관점에서 본 현행 대학 재정지원 사 업 및 평가체제 발전 방안",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정책용역과제 연구보고서, 2016

      216 천세영, "교육재정제도 및 정책의 변동. 김신복 외(2017).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 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17 박정은, "전자정부 추진조직과 정책 및 성과의 관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의 국가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18 주성돈, "원자력발전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1(3), 325346, 2011

      219 변기용, "교육정책. 211240. 신현석, 안선회 외(2015). 학습사회의 교육행정 및 교육경 영(2판)", 서울: 학지사, 2015

      220 최홍삼, "정권교체기의 교육정책 결정 및 변동과정 분석: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21 하연섭, "「정책아이디어와 제도변화: 우리나라에서 신자유주의의 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4(4), 127, 2006

      222 남미자, 장아름, "누리과정 재정지원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현황 분석 -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4(2), 5175, 2017

      223 허찬행, "방송 규제정책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소유규제정책의 법제화과정을 중 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24 반상진, "교육경제학과 고등교육: 국가 경쟁력에 근거한 고등교육투자의 적정 규모 추 정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20(2), 103126, 2011

      225 김훈호, 신정철, "고등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김신복 외(2017). 교육정책의 역 사적 변동과 전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26 신현석, "대학 구조조정의 정치학(Ⅰ): 역사적 분석을 통한 신제도주의적 특성 탐색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11, 90120, 2004

      227 김정렬, "“발전국가의 위기와 행정개혁의 진로-한국형 신공공관리 의 진화단계별 비교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15(2), 95-125, 2006

      228 권향원, "관료제의 이론적ㆍ철학적 변호: 반관료주의(신자유주의) 행정개혁 담론의 극복 과 제언", 정부학연구, 21(1), 4181, 2015

      229 반상진(Ban, Sang-Jin), "국립대학회계재정법 제정에 따른 국립대학의 재정 변화와 회계운영의 쟁점과 개선 논의",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4(2), 147170, 2016

      230 박상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교장공모제도 변화 분석: 정책변화의 경로의 존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3), 323350, 2015

      231 김윤권, "중국 국무원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 시각의 적용 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32 구현우,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정책연구:제도의 지속성,변화가능성,그 리고 정책패턴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18(2), 3773, 2009

      233 김정수, "“한국 영화정책레짐의 단절적 진화:제도의 중층성과 다원성 그리고 제 도변화의 다면성”",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15(2), 185216, 2006

      234 신현석, "한국 고등교육의 시장화와 다양화: 국가, 시장 그리고 대학의 관점에서의 분 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5(4), 285314, 2007

      235 정해구, "정치적 맥락(2): ‘운동정치.’ 한국행정연구원(2008). 한국행정 60년, 19482008: (1)배경과 맥락", 파주: 법문사, 2008

      236 장아름, "대학 구조개혁 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제도변화 관점 적 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7 이지호,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선거이슈가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 긍정적ㆍ부정적 이 슈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81, 3772, 2013

      238 신선희, "한국 근대 공공부조제도의 지속과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39 이종태, "새 정부의 교육공동체 형성을 통한 교육개혁. 한국교육개발원(1998). 교육개혁 정책의 심층해부", 서울: 문음사, 1998

      240 하연섭, 강혜원, "고등교육 예산에 대한 국회의 심의행태 분석 -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5(4), 59-89, 2016

      241 정기오, "국가교육개혁의 구조와 메커니즘. 한국교육행정학회(2013).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509534", 서울: 학지사, 2013

      242 하연섭, "고등교육 재정지원. 안일환, 안종석 외(2016). 20162020 국가재정운용계획: 교육 분야 보고서. 4366", 국가재정운용계획 교육분과위원회 보고서, 2016

      243 이준희, "교원성과급 정책결정과정의 한계요인에 관한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37(1), 77100, 2006

      244 김옥환, "대학의 이념상에서 본 한국 대학의 성장과 전망: 사립대학 부정과 비리를 중 심으로 한 역사적 조명", 고등교육연구, 6(1), 4765, 1994

      245 남재걸,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경로진화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시 설치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연구, 26(2), 5588, 2012

      246 이종태, "김대중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 한국교육정치학회(2015). 한국 교육정책 결정 구조의 정치학. 4166", 2015년도 한국교육정치학회 38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15

      247 안병영,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충격과 대응. 안병영ㆍ임혁백(2000). 세계화와 신자유주 의: 이념ㆍ현실ㆍ대응. 2555", 서울: 나남, 2000

      248 남기정, 서호준, "역사적 신제도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신용보증제도의 변화: 경로의존 및 경로진화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입법과 정책, 7(1), 395438, 2015

      249 변기용, 송인영, "문재인 정부 고등교육 개혁 추진 현황 및 개선과제: 대학 구조개혁 및 재정지원 사업 재편 정책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018년도 안암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 집, 189223, 2018

      250 반상진, 이영, "정부의 대학재정 지원제도. 박세일, 이주호, 우천식(2005). 자율과 책무 의 대학개혁: 제2단계의 개혁. 399453", 한국개발연구원ㆍ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공동연 구보고서, 2005

      251 변기용(Kiyong Byun),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성과주의 예산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 미국에서의 성과주의 예산 시행경험을 바탕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 18(1), 133, 2008

      252 반상진, "교육정책 추진에서 나타난 중앙정부의 리더십과 거버넌스 분석: 이명박 정부 의 교육정책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 20(4), 263287, 2013

      253 신현석, "대학의 구조조정 방안. 한국교육개발원(2005). 2004 한국교육평론: 교육의 경 쟁력 제고 측면에서 본 한국교육의 과제, 26929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254 박세일, "대학개혁의 기본방향: 철학과 원칙. 박세일, 이주호, 우천식(2005). 자율과 책 무의 대학개혁: 제2단계의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32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공동연구 보고서,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