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급변하는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전통사회의 해체와 더불어 복잡ㆍ다양함 속에서 전개되는 새로운 가치관에 적응하지 못한 채 여러 가지 정신장애를 보이는 사람이 증가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51158
2007
Korean
360
KCI등재
학술저널
397-420(24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전통사회의 해체와 더불어 복잡ㆍ다양함 속에서 전개되는 새로운 가치관에 적응하지 못한 채 여러 가지 정신장애를 보이는 사람이 증가하고 ...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전통사회의 해체와 더불어 복잡ㆍ다양함 속에서 전개되는 새로운 가치관에 적응하지 못한 채 여러 가지 정신장애를 보이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정신장애인은 病識이 없기 때문에 그로 인한 범죄로 타인의 안전을 침해하고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잠재적ㆍ현실적 위험이 농후할 뿐만 아니라, 보통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심리과정에서 충격적인 범죄를 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의료적 측면과 사회 복지적 측면은 물론 형법과 형사정책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현행법에 따른 처우는 지신이나 타인을 해할 위험성이 없는 정신장애인, 자신이나 타인을 해할 위험성은 있지만 범죄행위를 하지 않은 정신장애인, 범죄행위를 한 정신장애인으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정신장애범죄인에 대한 처우는 무엇보다 의료와 사법절차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자기 또는 타인을 해할 가능성이 있는 정신장애인과 현실로 범죄행위를 한 정신장애인의 처우에 대해 정신보건법과 형법 그리고 치료감호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rious mental patients are increasing gradually who don’t adapt themselves to new sense of value out of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se people occasionally commit shocking crimes the mental process beyond our comprehension. Crim...
The various mental patients are increasing gradually who don’t adapt themselves to new sense of value out of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se people occasionally commit shocking crimes the mental process beyond our comprehension.
Criminal acts by mentally disorder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our society and have become one of serious social issues. Many problems are waiting to be solved for the management of the mentally disorder criminals in Korean.
Under the Korean Criminal Code, mentally disorder criminals can be sentenced to jail. while mentally disordered criminals are considered unable to commit a crime. This has made the courts prefer to find a criminal mentally weak instead of mentally disabled despite a mentally disabled finding, when a heinous crime is in trial.
This tendency of the courts should be changed because when a defendant is found mentally disordered, he still has to serve his time in different form for he is confined to a psychiatric detention center under the Cure Custody Act.
To remedy all these problems and ascertain the reasonable treatment for the mentally disorder criminal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medical and judicial fields is essentia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法精神障害者の治療と保安 : 未成年者犯罪者の場合を手がかりに" ハベスト社 (2) : 2003
2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9
3 "형사적 정신감정결과와 법원 판결에 관한 고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7 (37): 1998
4 "행정상 인신구속과 구속적부심사제도의 도입에 관하여" 헌법재판소 16 : 2005
5 "피치료감호자 66명에 대한 법정신의학적 연구" 1983
6 "치료감호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20 : 2005.11.
7 "정신질환자의 책임능력과 인신구속의 관계에 대한 법률적 이해"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14 : 1995
8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 대우" 서울지방변호사회 통 (통): 2003.4.
9 "정신질환의 국가관리문제 정신보건법을 중심으로" 1992
10 "정신장애자와 사법절차 그 일반론 및 몇가지 현실적인 문제점들" 1993
1 ""法精神障害者の治療と保安 : 未成年者犯罪者の場合を手がかりに" ハベスト社 (2) : 2003
2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9
3 "형사적 정신감정결과와 법원 판결에 관한 고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7 (37): 1998
4 "행정상 인신구속과 구속적부심사제도의 도입에 관하여" 헌법재판소 16 : 2005
5 "피치료감호자 66명에 대한 법정신의학적 연구" 1983
6 "치료감호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20 : 2005.11.
7 "정신질환자의 책임능력과 인신구속의 관계에 대한 법률적 이해"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14 : 1995
8 "정신질환자에 대한 법적 대우" 서울지방변호사회 통 (통): 2003.4.
9 "정신질환의 국가관리문제 정신보건법을 중심으로" 1992
10 "정신장애자와 사법절차 그 일반론 및 몇가지 현실적인 문제점들" 1993
11 "정신장애성범죄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82
12 "정신장애 범죄자의 책임과 처우에 관한 연구" 2003
13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및 부랑인시설 입소자의 정신질환유병률 및 의료추구행위경로에 관한 연구," 가천의과대학교 정신과학교실 2003
14 "정신보건법의 입법배경과 비자발적 입원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6 : 2001
15 "정신보건법상의 강제입원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3 (13): 2001
16 "정신보건법상 강제입원과 그에 대한 통제 구속적부심사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2005
17 "정신보건법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2002
18 "정신감정례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12) : 1973
19 "인권과 정신보건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31 (31): 1994.6.
20 "위험의 종합판단 판례연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소" 1986
21 "사회보호법상 보호감호의 문제점" 한국법학회 15 : 2004
22 "보안처분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7
23 "국회통과새법률소개" 국회사무처법제실 2005.7.
24 "각국 정신보건법에 있는 정신질환자 강제입원" 한양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14 : 1995
25 Henrik R, "WulffStig Andur PedersenRaben Rosenberg" Philosophy of Medicine 1999
26 Thomas Szasz, "The Myth of Mental Illness" 1961
27 Hans, "Entziehung der Freiheit von Geisteskranken und Suchtkranken" 197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9-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Law Review -> Law Review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Law Review -> Korean Law Review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法學硏究 -> 법학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1.02 | 1.08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