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주 마곡사 세조대왕연의 안료분석 및 채색기법 해석 = Interpretation of Coloring Technique and Pigment Analysis for King Sejo’s Palanquin in Gongju Magoksa Temple,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8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oral tradition, the King Sejo’s palanquin is indeed the palanquin of King Sejo, the 7th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who reigned from 1455 to 1468, which was left behind after visiting the Magoksa temple. The palanquin is painted in five colors, mainly black, white, yellow, red and green.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of the yellow pigment showed that orpiment and gold are a noticeable distinction between the lightness and b* values. In the case of the red pigment, a* values of areas painted with cinnabar tend to measure at high values. As a result of the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Chinese ink was used for the black pigment, lead white and white clay were used for the white, and orpiment and gold for the yellow. The red pigment was found to be the result of minium, cinnabar and red ocher, atacamite was used as green pigment. Thoug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ross sections on very small exfoliation fragments of pigments, it was confirmed that white clay and lead white were used for the preparation layer. In addition, several coloration techniques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analyses.
      번역하기

      According to oral tradition, the King Sejo’s palanquin is indeed the palanquin of King Sejo, the 7th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who reigned from 1455 to 1468, which was left behind after visiting the Magoksa temple. The palanquin is painted in fi...

      According to oral tradition, the King Sejo’s palanquin is indeed the palanquin of King Sejo, the 7th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who reigned from 1455 to 1468, which was left behind after visiting the Magoksa temple. The palanquin is painted in five colors, mainly black, white, yellow, red and green. The chromaticity measurement of the yellow pigment showed that orpiment and gold are a noticeable distinction between the lightness and b* values. In the case of the red pigment, a* values of areas painted with cinnabar tend to measure at high values. As a result of the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Chinese ink was used for the black pigment, lead white and white clay were used for the white, and orpiment and gold for the yellow. The red pigment was found to be the result of minium, cinnabar and red ocher, atacamite was used as green pigment. Thoug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ross sections on very small exfoliation fragments of pigments, it was confirmed that white clay and lead white were used for the preparation layer. In addition, several coloration techniques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analy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조대왕연(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은 조선의 7대왕 세조(재위 1455-1468)가 마곡사에 두고 간 것으로 전해지는 가마이다. 세조대왕연의 채색에는 흑색, 백색, 황색, 적색 및 녹색 등 5가지 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황색은 자황 채색부와 금칠 채색부에서 명도와 황색도의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적색은 진사로 채색된 지점에서만 적색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광학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흑색은 먹, 백색은 백토와 연백, 황색은 자황과 합금, 적색은 연단과 주사 및 석간주, 녹색은 녹염동광을 안료로 사용하였다. 박락된 극미량 안료편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백토와 연백의 순서로 바탕층을 올린 것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초로 세조대왕연의 채색기법을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세조대왕연(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은 조선의 7대왕 세조(재위 1455-1468)가 마곡사에 두고 간 것으로 전해지는 가마이다. 세조대왕연의 채색에는 흑색, 백색, 황색, 적색 및 녹색 등 5가지 ...

      세조대왕연(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은 조선의 7대왕 세조(재위 1455-1468)가 마곡사에 두고 간 것으로 전해지는 가마이다. 세조대왕연의 채색에는 흑색, 백색, 황색, 적색 및 녹색 등 5가지 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황색은 자황 채색부와 금칠 채색부에서 명도와 황색도의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적색은 진사로 채색된 지점에서만 적색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광학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흑색은 먹, 백색은 백토와 연백, 황색은 자황과 합금, 적색은 연단과 주사 및 석간주, 녹색은 녹염동광을 안료로 사용하였다. 박락된 극미량 안료편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백토와 연백의 순서로 바탕층을 올린 것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초로 세조대왕연의 채색기법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장존,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431-442, 2017

      2 김수경,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379-388, 2013

      3 전유근,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383-398, 2009

      4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 서울학연구소 (30) : 33-69, 2008

      5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儀仗制度의 정비와 상징" 역사연구소 (77) : 33-74, 2012

      6 제송희, "조선왕실의 가마[輦輿]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0) : 259-298, 2015

      7 윤은영, "조선시대 심희수 초상화 채색 안료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2 (32): 571-578, 2016

      8 정치영,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교통수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74-87, 2013

      9 이창원, "조선시대 봉황문의 상징성과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597-608, 2018

      10 이찬희,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101-112, 2012

      1 이장존,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3 (33): 431-442, 2017

      2 김수경,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379-388, 2013

      3 전유근,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383-398, 2009

      4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 서울학연구소 (30) : 33-69, 2008

      5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儀仗制度의 정비와 상징" 역사연구소 (77) : 33-74, 2012

      6 제송희, "조선왕실의 가마[輦輿]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0) : 259-298, 2015

      7 윤은영, "조선시대 심희수 초상화 채색 안료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2 (32): 571-578, 2016

      8 정치영,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교통수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74-87, 2013

      9 이창원, "조선시대 봉황문의 상징성과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597-608, 2018

      10 이찬희,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101-112, 2012

      11 전유근,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7 (27): 269-276, 2011

      12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the Joseon royal culture ceremonial accoutrements"

      13 Cho, N. C., "The composition analysis of danchung pigments at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22 : 93-114, 2001

      14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Royal palanquins of the Joseon dynasty"

      15 Chung, Y. S., "Regulation on conveyance in Joseon period" 27 : 177-208, 1998

      16 Magoksa Temple History Writing Committee, "Magoksa temple history"

      17 Song, J. W., "Korean diplomatic missions to Japan:Aspects of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5 : 194-223, 2011

      18 Winter, J., "Identification of some early Korean pigments" 43 : 1-36, 1989

      19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ecorative wood stamps of the Joseon royal court"

      20 Moon, E. B., "Color in art of Korea" Ahn Graphics Publishers 1-422, 2012

      21 손영, "18~19세기 사찰벽화에 사용된 안료 비교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445-45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4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