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방안 연구 = 사각지대 규모와 예산 추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75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은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복지 ‘적폐’로서 꼭 해결되어야 할 당면과제 중 하나이다. 19대 대선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선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부양의무자 기준은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복지 ‘적폐’로서 꼭 해결되어야 할 당면과제 중 하나이다. 19대 대선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선거공약으로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재점화 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는 비판과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실제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떻게 폐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논의가 예산 문제로 귀결될 수 없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는 단지 비수급 빈곤층의 사각지대 해소를 넘어서 빈곤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을 넓히고 그 연장에서 공・사적 부양분담의 문제, 즉 가족부양과 국가 및 사회의 균형적인 부양분담을 설정하는 문제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논의에 필요한 제반 논리(사항)들을 이론적이고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축에서는 공적 부양분담 강화에 대한 비판논리를 검토하고, 다른 한 축에서는 예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부양의무자 기준 사각지대 추계방식의 문제점과 쟁점을 기반으로 새롭게 부양의무자 기준 사각지대 규모 및 소요예산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양의무자 기준을 어떻게 폐지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가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논의를 추진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iteria for the depend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re one of the challenges that must be solved as a representative welfare “evil” that violates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i...

      The criteria for the depend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re one of the challenges that must be solved as a representative welfare “evil” that violates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is criticism and concern that a huge budget is needed to abolish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and the controversy continue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at the discussion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standard can not be a budgetary issue. In particular, the abolition of the mandatory criteria for family responsibility
      extends poverty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nd society, beyond the elimination of blind spots of the non-eligible-poor. And this is a matter of establishing a balanced support share of public support and private supp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ories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for the abolition of dependents’ standard. To this end, we examine the logic of criticism on strengthening the contribution of public support.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pe with the budget problem, we newly estimated the size and budgets of the non-eligible-poor by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abolish the standards of depend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omoting the discussion of the abolition of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방안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동열, 2017

      2 오주헌, "한국의 세대내 소득이동성 측정" 50 (50): 137-154, 2011

      3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4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현황"

      5 박인화, "의무지출과 복지재정" 228 : 1-8, 2014

      6 전병유, "요소소득분배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발전학회 21 (21): 77-98, 2015

      7 서울특별시, "서울시민 복지기준 설정연구" 2012

      8 이태진, "빈곤정책 선진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9 보건복지부,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관련 내부자료"

      10 허선, "복지사각지대 빈곤아동가구 현황분석 및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4

      1 장동열, 2017

      2 오주헌, "한국의 세대내 소득이동성 측정" 50 (50): 137-154, 2011

      3 이현주, "차상위계층 실태분석 및 정책제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4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현황"

      5 박인화, "의무지출과 복지재정" 228 : 1-8, 2014

      6 전병유, "요소소득분배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발전학회 21 (21): 77-98, 2015

      7 서울특별시, "서울시민 복지기준 설정연구" 2012

      8 이태진, "빈곤정책 선진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9 보건복지부,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관련 내부자료"

      10 허선, "복지사각지대 빈곤아동가구 현황분석 및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4

      1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12 노대명, "맞춤형 급여체계도입 이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평가와 향후 과제" 326 : 1-8, 2016

      13 배진수, "맞춤형 개별급여 1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평가와 개선과제"

      14 여유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5 김은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특성 분석"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2013

      16 여유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과 빈곤사각지대: 공적부양과 사적부양의 관계를 중심으로" 24 (24): 3-29, 2004

      17 이승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적절성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29-61, 2010

      18 손병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ㆍ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

      19 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선방안: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방안을 중심으로"

      20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21 법제처,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법"

      22 국회예산정책처,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일부개정법률안 비용추계서"

      23 "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113471"

      24 "http://news.donga.com/Main/3/all/20170529/84605975/1"

      25 Wildavsky, Aaron, "The New Politics of Budgetary Process"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2

      26 Veit-Wilson, John, "Setting Adequacy Standards: How Governments define minimum incomes" The Policy Press 1998

      27 대한민국정부, "2016년도 세입세출예산안사업별 설명서(보건복지, 국토교통부)"

      28 통계청, "2016년 사회조사 보도자료"

      29 김경혜,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분석 리포트" 서울연구원 2016

      30 김미곤, "2006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3-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1-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KCI등재후보
      2011-10-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35 1.67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