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글로벌 시각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통문화의 가치상승을 위해 특 히, 공공문화공간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전통문화 콘텐츠산업의 육성 및 대 중적으로 활성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22970
2024
Chinese
911
KCI등재
학술저널
135-15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글로벌 시각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통문화의 가치상승을 위해 특 히, 공공문화공간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전통문화 콘텐츠산업의 육성 및 대 중적으로 활성화...
본 연구는 글로벌 시각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통문화의 가치상승을 위해 특 히, 공공문화공간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전통문화 콘텐츠산업의 육성 및 대 중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체험형 인터 랙티비티를 제공하는 공공 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 활용의 대표적 사례인 박물관, 미술 관 등의 전시 공간과 전시 콘텐츠 관련 자료를 우선 선정, 수집하여 크게 공간ㆍ시설, 콘텐츠, 운영 전략ㆍ정책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활성화 방안 고찰의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을 위주로 공간의 이야기와 구조, 문화적 가치와 새로운 체험 방식 등을 통해 현대 공공문화공간에서의 이머시브 경험을 연구한다. 즉, 이야기 풀이와 정 서적 공감대 형성, 공간 디자인 배치, 이머시브 경험 디자인과 공공 공간 활용 측면에 서 공공문화공간의 디자인 전략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공공문화공간 조성 시 장소 가 치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방문객들과 주민들의 보행 이용 환경을 개선함으로 써 방문객 증대를 유도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 안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 사례에서 드러난 관람객 유동량 통제 방식, 인프라, 서비스 부문 등의 한계점은 공공문화공간 디자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은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과 공간 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 을 통해 공공문화공간이 이머시브 체험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공공문화공간의 이머시브 체험 전환은 물리적 공간의 확장, 문화적 융합, 공 공 서비스의 향상, 그리고 전문 인력 양성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공간 활성화와 관 람객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중국 대운하박물관의 동적인 요소와 정적인 요소를 결합한 관람 동선, 디지털 가상 기술이 적용된 전시관, 인터랙티브 디자인이 도입된 전시, 그리 고 고대 시장 체험을 결합한 이머시브 체험은 중국 공공문화공간 전환의 새로운 방향 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digital media from a global perspective, especially by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cultural spaces, and to propose a plan to cultivate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digital media from a global perspective, especially by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cultural spaces, and to propose a plan to cultivate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opularize it. To this end, we first selected and collected representative museums that provide experiential interactive public digital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nd generally included the investigation content of the activation plan from three aspects: space, facilities, content, operation and strategy. Taking the Grand Canal Museum of China as an example,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ntemporary public cultural space is studied in terms of spatial narrative and structure, cultural value, and new ways of experience; the design strategy of public cultural space is analyzed through storytelling and emotional resonance, spatial design and layout, immersive experience design, and public space utilization. This study brings enlightenment to public cultural space through the problems of improper crowd control, in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poor service attitude revealed by the Grand Canal Museum of China. The China Grand Canal Museum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ransitioning public cultural spaces to immersive experiences through thematic content planning and spatial design. Transforming public cultural spaces into immersive experiences should involve expanding physical spaces, integrating cultural elements, enhancing public services, and cultivating professional talents to increase vibrancy and social engagement. The dynamic combination of visitor flow routes, digital virtual technology in exhibition halls, interactive design, and immersive ancient market experiences represents new directions for transforming public cultural spaces in China.
목차 (Table of Contents)
e스포츠의 향후 직접관람의향에 대한 연구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관람문화 차이분석
관광 정보탐색을 위한 챗GPT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 챗GPT 관광 정보품질, 지각된 신뢰, 지각된 위험을 중심으로
청년마을 로컬콘텐츠의 장소자산 활용 연구 : 태백시 ‘광광스토리지’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