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독일의 영국군 점령지역에서는 탈나찌화의 이름으로 국가사회주의 단절작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기초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1946년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60309
2018
-
925
KCI등재
학술저널
87-122(3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독일의 영국군 점령지역에서는 탈나찌화의 이름으로 국가사회주의 단절작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기초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1946년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업...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독일의 영국군 점령지역에서는 탈나찌화의 이름으로 국가사회주의 단절작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기초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1946년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업을 재개하면서 교육정책 수립이 시급한 사안이 되었으며 군정청은 고등교육정책의 중요성과 심각성을 인식해야만 했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 군정청 점령지역에서의 고등교육개혁을 주목하고 전후 서독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초기단계에서 어떤 논의와 결정이 이뤄졌는지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북서독일 고등교육회의(Nordwestdeutsche Hochschulkoferenz, NWK)’는 1949년 WRK(서독 총장단회의)가 설립되기 전까지 영국 군정청시기 대학과 고등교육의 방향에서 매우 중요한 기틀을 잡았던 회의였다. 이 고등교육회의는 1945-1948년까지 영국과 미국의 점령지역에서 총 16번 개최되었고 그 중 영국군 점령지역에서 13번의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가 이후 서독 총장단회의(WRK)로 연결되는데 있어서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고 지속력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독일 고등교육의 새로운 시작과 방향을 모색하는 가운데 당시 영국군정청이 독일의 전통과 새로운 이념과 제도 사이에서 취한 생각과 태도, 또 이때 논의되었던 회의내용들이 전후에 고등교육에 있어서 어떤 토대를 마련하는지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독일 고등교육개혁의 설립 초반기에 두드러지게 관찰할 수 있는 점이 고등교육의 전통적 특징들을 복원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당시 영국 군정청의 교육관계자들이 교육적 경험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특정한 방향의 교육 로드맵을 제시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러한 방향설정이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전후 초기 고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므로 추후 서독의 고등교육의 발전과 방향에 대한 후 속 연구들을 촉진하는데 기여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World War II, a new foundation was established in theBritish military occupation area in Germany, one which broke off from nationalsoci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became necessary to establisheducation policies for when most universitie...
After World War II, a new foundation was established in theBritish military occupation area in Germany, one which broke off from nationalsoci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became necessary to establisheducation policies for when most universities would resume classes in 1946. Assuch, the military government ha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seriousnessof higher education policies.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reform of higher education inthe areas that were occupied by the British Government Army. In addition, Iwill review the discussions and decisions made in the early stages before thepost-war West Germany government took office in 1949.
The Nordwestdeutsche Hochschulkoferenz (NWK) described in this thesis was an important assembly of higher education before1949 when the WRK was established. In total, this Higher Education Council wasconvened 16 times between 1945 and 1948 in the British and American militarygovernment territories in Germany. Thirteen of these conferences were held inthe British military zon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is meeting had agreat influence and provided a lasting power to lead to the next WRK meeting.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and describes how the Britishmilitary authorities chose between German tradition and new ideologies andsystems in the new beginning and direction of German higher education and howthese meetings lay the groundwork for higher education after the war. As aresult, what could be observed noticeably in the early days of the Germaneducational reform was to restore the traditional features of higher education. Education officials at the time of the BritishGovernment Military Government failed to present a roadmap in education becausethey lacked sufficient educational experience.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setting the direction ofearly post-war higher education. It is hoped that it will help promote furtherstudies into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higher education in West German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철, "전후 서독에서의 교육개혁-미국의 대독일 교육정책에 대한 독일의 수용과 저항 (1945-1949)-" 역사교육연구회 (94) : 201-240, 2005
2 이진모, "전후 독일의 탈나치화와 과거청산 – 성과와 한계(1945-1950)" 5 : 59-87, 2003
3 박용희, "전후 고등교육의 재개와 미국의 역할- 독일과 한국 대학교육 재편과정에 대한 비교 -" 한국독일사학회 (26) : 341-376, 2013
4 윤용선, "소련의 체제적 목표와 소련군행정청의 대 소련점령지역(동독) '교육개혁'(1945-1949)"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6 (6): 381-402, 2004
5 손선홍,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2005
6 노명환, "미군정기(1945-1949) 독일인 '재교육(Reeducation)'정책의 내용과 역사적 의미 - 학교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서양사학회 (74) : 147-178, 2002
7 노명환, "미국의 독일점령과 교육정책(1945~1949)-미국의 체제적 목표와 미군정청의 “재교육정책”-" 역사문화연구소 (22) : 241-280, 2005
8 황선혜, "독일 소련군정기(1945ー1949)의 교육정책과 소련점령지역의 독일인 선전(宣傳)조직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1 (31): 137-168, 2004
9 송충기, "나치청산과 독일인(1948-1952)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지역의 탈나치화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80) : 139-166, 2004
10 David Phillips, "Zur Universitaetsreform in der britischen Besatzungszone 1945-1948. (= Studien und. Dokumentationen zur deutschen Bildungsgeschichte, 24)" Boehlau 1983
1 이병철, "전후 서독에서의 교육개혁-미국의 대독일 교육정책에 대한 독일의 수용과 저항 (1945-1949)-" 역사교육연구회 (94) : 201-240, 2005
2 이진모, "전후 독일의 탈나치화와 과거청산 – 성과와 한계(1945-1950)" 5 : 59-87, 2003
3 박용희, "전후 고등교육의 재개와 미국의 역할- 독일과 한국 대학교육 재편과정에 대한 비교 -" 한국독일사학회 (26) : 341-376, 2013
4 윤용선, "소련의 체제적 목표와 소련군행정청의 대 소련점령지역(동독) '교육개혁'(1945-1949)"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6 (6): 381-402, 2004
5 손선홍,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2005
6 노명환, "미군정기(1945-1949) 독일인 '재교육(Reeducation)'정책의 내용과 역사적 의미 - 학교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서양사학회 (74) : 147-178, 2002
7 노명환, "미국의 독일점령과 교육정책(1945~1949)-미국의 체제적 목표와 미군정청의 “재교육정책”-" 역사문화연구소 (22) : 241-280, 2005
8 황선혜, "독일 소련군정기(1945ー1949)의 교육정책과 소련점령지역의 독일인 선전(宣傳)조직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1 (31): 137-168, 2004
9 송충기, "나치청산과 독일인(1948-1952)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지역의 탈나치화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80) : 139-166, 2004
10 David Phillips, "Zur Universitaetsreform in der britischen Besatzungszone 1945-1948. (= Studien und. Dokumentationen zur deutschen Bildungsgeschichte, 24)" Boehlau 1983
11 Anikó Szabó, "Wiedergutmachung: Göttinger Hochschullehrer im Schatten des Nationalsozialismus. Mit einer biographischen Dokumentation der entlassenen Hochschullehrer:Universität Göttingen - TH Braunschweig - TH Hannover -Tierärztliche Hochschule Hannover, Hg. vom Arbeitskreis Geschichte des Landes Niedersachsen (nach 1945)" Wallstein Verlag 2000
12 Ludwig Raiser, "Universitaetstage 1966" Nationalsozialismus und die deutsche Universitaet 1966
13 Geoffrey Bird, "Umerziehung und Wiederaufbau" 1980
14 Brigitte J. Hahn, "Umerziehung durch Dokumentarfilm? Ein Instrument amerikanischer Kulturpolitik im Nachkriegsdeutschland (1945-1953)" LIT 1997
15 Barbara Wolbring, "Trümmerfeld der bürgerlichen Welt: Universität in den gesellschaftlichen Reformdiskursen der westlichen Besatzungszonen (1945–1949)" 2013
16 Christian George, "Studieren in Ruinen: Die Studenten der Universitaet Bonn in der Nachkriegszeit (1945–1955)" V&R unipress GmbH 2010
17 Manfred Heinemann, "Nordwestdeutsche Hochschulkonferenzen 1945-1948Teil I/II Edition Bildung und Wissenschaft in Kommission bei: August Lax Hildesheim" 1990
18 Martin Meyer, "Nachkriegsdeutschland im Spiegel amerikanischer Romane der Besatzungszeit(1945-1955)" Narr Francke Attempto 1994
19 Juergen Fischer, "Linien der Hochschulpolitik. Die Westdeutsche Rektorenkonferenz und die Hochschulreform" 10 (10): 1955
20 Hilary Footitt, "Languages at War: Policies and Practices of Language Contacts in Conflict" palgrave 2012
21 David Phillips, "Investigation Education in Germany: Historical studies from Britisch perspective" Routlegde 2015
22 Ulrich schneider, "Hochschulreform, Studium generale und das Collegium Academicum Heidelberg 1945-1952" 36 : 55-65, 1983
23 Manfred Heinemann, "Hochschuloffiziere und Wiederaufbau des Hochschulwesens in Westdeutschland 1945-1952, Teil 1: Die britische Zone/bearb. von David Phillips" Verlag August Lax 1990
24 Manfred Heinemann, "Hochschuloffiziere und Wiederaufbau des Hochschulwesens in Westdeutschland 1945-1952, Teil 1: Die britische Zone/bearb. von David Phillips" Verlag August Lax 1990
25 Christoph Führ, "Handbuch der deutschen Bildungsgeschichte, Band VI, 1945 bis Gegenwart" C.H. Beck 1998
26 Universitätsbund Göttingen e.V., "Ein Vorsprung, der uns tief verpflichtet«: Die Wiedereröffnung der der Universität Göttingen vor 70 Jahren" Vandenhoeck & Ruprecht 2016
27 Ulrich M. Bausch, "Die Kulturpolitik der US-amerikanischen Information Control Division in Württemberg-Baden von 1945 bis 1949, Zwischen militärischem Funktionalismus und schwäbischem Obrigkeitsdenken" Klett-Cotta 1998
28 Alf Lüdke, "Amerikanisierung Traum und Alptraum im Deutschland des 20. Jahrhunderts" Franz Steiner Verlag Stuttgart 1996
29 이병철, "2차대전후 프랑스의 독일점령지역에 대한 정책" 22 : 129-156, 2001
독일의 아동복지 정책과 관련 법제 연구-정부의 양육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 나타나는 법문학연구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의 새로움 - 빌헬름 마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28 | 0.811 | 0.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