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내용체계 구축과 실천방안 =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asks for Their Implem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74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2000년 이후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화하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역사로 인해, 학교에서의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실시에 혼란을 겪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은 그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못하며, 국가 차원에서도 이에 대한 방향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을 포함한 6개국의 다문화교육 실시 현황을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주요 내용을 구축하여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 다문화교육의 내용은 크게 문화간 이해, 다양성 인식, 평등과 사회정의, 세계시민의식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범주별로 핵심 구성요소와 함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부 교육내용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교육내용의 구축과 교육 실시상의 문제점 분석을 기초로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 발전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 과제를 교육대상, 교육과정, 교사교육, 교수법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제안된 실천과제에는 교육 대상의 범위 확대, 전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실시, 교사연수 및 교사교육의 강화, 다문화아동에게 적합한 교수법의 개발 등이 포함되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2000년 이후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화하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역사로 인해, 학교에서의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실시에 혼란을 겪...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2000년 이후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화하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비교적 짧은 역사로 인해, 학교에서의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실시에 혼란을 겪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은 그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못하며, 국가 차원에서도 이에 대한 방향 제시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을 포함한 6개국의 다문화교육 실시 현황을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주요 내용을 구축하여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 다문화교육의 내용은 크게 문화간 이해, 다양성 인식, 평등과 사회정의, 세계시민의식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범주별로 핵심 구성요소와 함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세부 교육내용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교육내용의 구축과 교육 실시상의 문제점 분석을 기초로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 발전을 이루기 위한 실천적 과제를 교육대상, 교육과정, 교사교육, 교수법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제안된 실천과제에는 교육 대상의 범위 확대, 전 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실시, 교사연수 및 교사교육의 강화, 다문화아동에게 적합한 교수법의 개발 등이 포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gun to draw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as our society moves fast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teaching multiculturalism in school, teachers in Korea are confused about how to implement it. Presently the scope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and the directions are not provided on a national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multicultual education in 6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a way to find out major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 dimension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emerged from the analysi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wareness of diversity, equity and social justice, and world citizenship. A further analysis revealed major components in each dimension with their itemized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in accomplishing educational objectives in multicultual education,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enlargement of educational beneficiaries,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of multiculturalism in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minority students.
      번역하기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gun to draw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as our society moves fast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teaching multiculturalism in school, teachers in Kor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gun to draw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as our society moves fast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of i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teaching multiculturalism in school, teachers in Korea are confused about how to implement it. Presently the scope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and the directions are not provided on a national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multicultual education in 6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a way to find out major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 dimension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emerged from the analysi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wareness of diversity, equity and social justice, and world citizenship. A further analysis revealed major components in each dimension with their itemized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analysis of difficulties in accomplishing educational objectives in multicultual education,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enlargement of educational beneficiaries,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 reinforcement of multiculturalism in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minor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주요국의 다문화교육 현황 비교 분석
      • Ⅲ. 다문화교육 내용의 구성체계
      • Ⅳ. 연구의 시사점 및 실천과제
      • Ⅰ. 서 론
      • Ⅱ. 주요국의 다문화교육 현황 비교 분석
      • Ⅲ. 다문화교육 내용의 구성체계
      • Ⅳ. 연구의 시사점 및 실천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 진 석, "호주의 다문화 교육 전개과정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17 (17): 21-32, 2007

      2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3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한영혜, "일본의 다문화공생 담론과 아이덴티티 재구축" 한국사회사학회 (71) : 155-183, 2006

      5 민창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능력의 개념과 구성" 한국관광학회 30 (30): 51-71, 2006

      6 오은순,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교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 방안 모색"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39-465, 2009

      7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편, "다문화사회와 국제이해교육" 동녘 2008

      8 박성혁,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97-127, 2009

      9 강순원, "다문화교육의 세계적 동향을 통해서 본 국제이해교육과의 상보성 연구" 4 (4): 5-56, 2009

      10 김현덕,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23, 2007

      1 이 진 석, "호주의 다문화 교육 전개과정과 그 성격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17 (17): 21-32, 2007

      2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3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한영혜, "일본의 다문화공생 담론과 아이덴티티 재구축" 한국사회사학회 (71) : 155-183, 2006

      5 민창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능력의 개념과 구성" 한국관광학회 30 (30): 51-71, 2006

      6 오은순,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교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 방안 모색"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39-465, 2009

      7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편, "다문화사회와 국제이해교육" 동녘 2008

      8 박성혁,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97-127, 2009

      9 강순원, "다문화교육의 세계적 동향을 통해서 본 국제이해교육과의 상보성 연구" 4 (4): 5-56, 2009

      10 김현덕,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23, 2007

      11 박선웅, "다문화교육 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29-60, 2010

      12 박재의,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방향 모색" 2008

      13 문미숙, "다문화 연구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363-386, 2009

      14 박상철, "다문화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정책"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19, 2008

      15 민용성,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31-258, 2009

      16 오은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방안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7 장인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1-305, 2008

      18 김민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61-86, 2010

      19 장인실, "다문화 교육 모형과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141-161, 2010

      20 김현덕, "교실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교육과학사 2005

      21 Gorski, P. C, "What we’re teaching teachers: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oursework syllabi" 25 : 309-318, 2009

      22 Lund, Darren E, "Waking up the Neighbors: Surveying multicultural and antiracist education in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8 (8): 35-43, 2006

      23 Ting-Toomey, S, "Understa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Grant, C. A, "Turning on Learning: Five Approaches to Multicultural Teaching Plans for Race, Class, Gender, and Disability" Prentice-Hall 2006

      25 Gay, G,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30-35, 2004

      26 Sutton, Margaret, "The glob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12 (12): 97-108, 2005

      27 Okano, K. H, "The global-local interfa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Japan" 42 (42): 473-491, 2006

      28 Bruner, J,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29 Byram, 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30 Banks, James, "Multiethnic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llyn & Bacon 1994

      31 McFadden, J, "Multicultural global/ international education: Guidelines for programs in teacher education"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for Teacher Education 1997

      32 Banks, Jame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freedom’s sake in:Multicultural Education A Global Approach"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33-37, 1992

      33 Seeberg, V. B, "Mulit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n: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Intercultural Education" Lawrence Erlbaum 257-300, 1998

      34 Swetnam, Leslie, "Less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76 (76): 208-211, 2003

      35 Barry, N. H, "Learning-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Social factors in learn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8 624)"

      36 Nukaga, M, "Japanese education in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 case study of an emerging multicultural coexistence model" 3 : 79-94, 2003

      37 James, K, "International education: The concept and its relationship to intercultural education" 4 : 313-332, 2005

      38 Randall, R, "Interface between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Multicultural Education A Global Approach"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18-27, 1992

      39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2nd Ed.)" Josssey-Bass 2004

      40 Gay, G, "Fabric of pluralism: Common concerns and divergent directions of multicultural and global education in:Multicultural Education A Global Approach" The American Forum for Global Education 15-17, 1992

      41 Wlodkowski, R. J, "Diversity & Motivati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Jossey-Bass 1995

      42 Amosa, W, "Directions and mis-direction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 analysis of session offerings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10 (10): 167-174, 2008

      43 Hollins, E. R, "Culture in School Learning: Revealing the Deep Meaning" Erlbaum 1996

      44 Lange, D. L, "Culture as the Core: Perspectives on Cultur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3

      45 Schoorman, D, "Conceptualis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eachers: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universities and schools" 26 : 1041-1048, 2010

      46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Inc 2007

      47 Gorski, P. C, "Complicity with conservatism: the de-politicizing of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17 (17): 163-177, 2006

      48 Rothstein-Fisch, C, "Bridging cultures with classroom strategies" 56 (56): 64-67, 1999

      49 Olson, C. L, "At Home in the World: Bridging the Gap Between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2007

      5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4th Ed.)" Allyn & Bacon 2008

      51 Hanvey, R. G,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Denver, CO: The Center for Teach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 University of Denver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