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성별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Regional Differences in Minimum Wage on Employment Patterns by Gender - Evidence from Japan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화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 통계국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지역 노동시장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

      본 연구에서는 현재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화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 통계국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지역 노동시장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먼저 2012년과 2016년 자료를 각각 분리하여 활용한 횡단면 분석에서는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일수록 임금 노동자중 비정규직 종사자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종단면 분석에서는 지역최저임금이 10엔 상승할 때, 지역내 남성 정규직 노동자수는 16,730명 감소하고,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수는 7,650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저임금의 지역차등화가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 그리고 최저임금 상승폭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고용의 질적 하락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s data from Statistics of Japan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difference in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pattern by gender in the local labor market.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data separately from 2012 and 2016, we find ...

      This study uses data from Statistics of Japan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difference in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pattern by gender in the local labor market.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data separately from 2012 and 2016, we find that a region with a higher minimum wage tends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among paid employees. In a longitudinal analysis focused on the changes between 2012 and 2016,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regional minimum wage leads to a fall in the number of male regular workers but a rise in the number of female irregular workers in the reg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al differential of the minimum wage could lea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especially in areas with a higher minimum wage and areas experiencing a fast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숙, "최저임금제도 변화와 남녀근로자의 임금 연구 : 업종 및 지역구분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2 김용현, "최저임금 인상의 지역영향 분석 방법론 연구-대구 지역에의 적용-" 49 (49): 35-59, 2017

      3 오학수, "일본의 최저임금 결정체계" 17 (17): 19-34, 2019

      4 김명중, "일본 최저임금제도의 현황과 과제" 14 (14): 61-73, 2016

      5 이승렬, "업종별・지역별 최저임금제 실시와 최저임금제가 고용시장에 미치는영향" 노동부 2009

      6 Dickens, R., "The UK Minimum Wage at 22 Years of Age : A Regression Discontinuity Approach" 177 : 95-114, 2014

      7 Clemens, J., "The Minimum Wage and the Great Recession : Evidence of Effects on the Employment and Income Trajectories of Low-skilled Workers" 170 : 53-67, 2019

      8 Katz, L.,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on the Fast-Food Industry" 46 (46): 6-21, 1992

      9 Higuchi, Y., "The Dynamics of Poverty and the Promotion of Transition from Non-Regular to Regular Employment in Japan : Economic Effects of Minimum Wage Revision and Job Training Support" 64 (64): 147-200, 2013

      10 Tachibanaki, T., "Study on poverty in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2007

      1 김종숙, "최저임금제도 변화와 남녀근로자의 임금 연구 : 업종 및 지역구분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2 김용현, "최저임금 인상의 지역영향 분석 방법론 연구-대구 지역에의 적용-" 49 (49): 35-59, 2017

      3 오학수, "일본의 최저임금 결정체계" 17 (17): 19-34, 2019

      4 김명중, "일본 최저임금제도의 현황과 과제" 14 (14): 61-73, 2016

      5 이승렬, "업종별・지역별 최저임금제 실시와 최저임금제가 고용시장에 미치는영향" 노동부 2009

      6 Dickens, R., "The UK Minimum Wage at 22 Years of Age : A Regression Discontinuity Approach" 177 : 95-114, 2014

      7 Clemens, J., "The Minimum Wage and the Great Recession : Evidence of Effects on the Employment and Income Trajectories of Low-skilled Workers" 170 : 53-67, 2019

      8 Katz, L.,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on the Fast-Food Industry" 46 (46): 6-21, 1992

      9 Higuchi, Y., "The Dynamics of Poverty and the Promotion of Transition from Non-Regular to Regular Employment in Japan : Economic Effects of Minimum Wage Revision and Job Training Support" 64 (64): 147-200, 2013

      10 Tachibanaki, T., "Study on poverty in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2007

      11 Neumark, D., "Revisiting the Minimum Wage—Employment Debate : Throwing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67 (67): 608-648, 2014

      12 Shannon, M., "Minimum Wages and the Gender Wage Gap" 28 (28): 1567-1576, 1996

      13 Abe, Y., "Minimum Wages and Employment in Japan" 8 : 42-54, 2011

      14 Card, D., "Minimum Wages and Employment : A Case Study of the New Jersey and Pennsylvania Fast Food Industries" 84 (84): 772-793, 1994

      15 Kambayashi, R., "Minimum Wage in a Deflationary Economy : The Japanese Experience, 1994-2003" 24 : 264-276, 2013

      16 Aoyagi, C., "Minimum Wage as a Wage Policy Tool in Japan" IMF 2016

      17 Dube, A., "Minimum Wage Effects across State Borders : Estimates using Contiguous Counties" 92 (92): 945-964, 2010

      18 Jia, P., "Employment and Working Hour Effects of Minimum Wage Increase : Evidence from China" 22 (22): 61-80, 2014

      19 Neumark, D., "Employment Effects of Minimum and Subminimum Wages : Panel Data on State Minimum Wage Laws" 46 (46): 55-81, 1992

      20 Feliciano, Z. M., "Does the minimum wage affect employment in Mexico?" 24 (24): 165-180, 1998

      21 Allegretto, S., "Credible Research Designs for Minimum Wage Studies : A Response to Neumark, Salas, and Wascher" 70 (70): 559-59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5-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gional Dvelopment Research Institute -> The Center for Regional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