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웰니스 기반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농촌지역 경관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Wellness-Based Space Design Guidelines - Focused on Rural and Fishing Communities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경관개선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을 규정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관된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해당 지역의 브랜드 형성을 위한 기준을 제시...

      본 연구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경관개선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을 규정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관된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해당 지역의 브랜드 형성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촌지역 경관은 매우 다양한 요소들로 이루어지며 지역마다의 주변 환경여건 및 주민들의 의식에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이에 획일화된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엔 연구의 한계점이 존재하며, 도시지역 공간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긴 세월에 걸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농촌지역 6개 경관유형 즉, 농업경관, 자연경관, 건축경관(공공건축물, 주거건축물, 상업건축물), 역사문화경관, 색채경관, 외부공간 및 기타시설물 등은 지역민 삶의 질 개선과 지역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웰니스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특히, 웰니스를 기반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독창적인 지역브랜드 형성을 위해서는 지역민들 스스로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행위에 대해 참여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6개 경관유형의 제안은 추후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에 있어 형식적이며 관료적 시행에 그치지 않고, 보다 실질적이며 합리적인 디자인가이드라인이 수립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간별 디자인가이드라인은 여러 지역에서 선행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되 연구자의 창의력을 더해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가지고 구성 체계 및 제안 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보완한 것이며, 적용 효과에 대한 구체적 평가는 이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tandard for landscape improvement and management in rural communities to prepare a consistent space design guideline and suggest the standard for the formation of a local brand from a long-term view. Six 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tandard for landscape improvement and management in rural communities to prepare a consistent space design guideline and suggest the standard for the formation of a local brand from a long-term view. Six landscape types for rural and fishing communities suggested in the study should be established in a long-term plan from a wellness view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enhance local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residents should participate and strive in all acts which influence space design to enhance local identity and make a unique local brand based on wellness. The six landscape types will suggest a direction for more substantial and rational design guideline rather than formal and bureaucratic enforcement in further development of space design guidelines. Application effects should be further discussed and evalua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