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훈민정음 해례(解例)와 천부경(天符經)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Hunminjeongeum Haerye(解例) and Cheonbu-gyeong(天符經)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7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minjeongeum Haerye is written by King Sejong and his companion Jeong Inji. In the Haeryebon, Hunmin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and the Three-Elements Theory. However, Haery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hought of Cheonbugyeong. So, I will try to find any similarities between Haeryebon and Cheonbugyeong based on the keywords found in the original Haeryebon. The medial(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11 neutrals are based on ‘·, ㅡ, ㅣ’ and modeled after the shape of ‘haeven, earth, and human’. It was said that vowels do not have a fixed place and number. It can be explained by the role of a person in the Cheonbugyeong. The use of the initial consonant again when combini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signifies a cycle. It is the same as Cheonbu-gyeong, which starts with a one and ends with the one.
      번역하기

      Hunminjeongeum Haerye is written by King Sejong and his companion Jeong Inji. In the Haeryebon, Hunmin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and the Three-Elements Theory. However, Haery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h...

      Hunminjeongeum Haerye is written by King Sejong and his companion Jeong Inji. In the Haeryebon, Hunminjeongeum was created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and the Three-Elements Theory. However, Haery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thought of Cheonbugyeong. So, I will try to find any similarities between Haeryebon and Cheonbugyeong based on the keywords found in the original Haeryebon. The medial(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11 neutrals are based on ‘·, ㅡ, ㅣ’ and modeled after the shape of ‘haeven, earth, and human’. It was said that vowels do not have a fixed place and number. It can be explained by the role of a person in the Cheonbugyeong. The use of the initial consonant again when combini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s signifies a cycle. It is the same as Cheonbu-gyeong, which starts with a one and ends with the 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2 황인옥, "훈민정음에 반영된 의리학적 역학사상" 유학연구소 40 : 1-29, 2017

      3 박덕규, "훈민정음과 가림토의 연관성 고찰" 7 (7): 2020

      4 김주원, "훈민정음 해례본의 기본 구성" 53 (53): 2005

      5 김혜영,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하여" (31) : 2008

      6 신민식, "훈민정음 제자해의 상수철학과 하도상생 사계절 순환법칙의 고찰" (8) : 2021

      7 문효근, "훈민정음 제자원리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8) : 1993

      8 김정대, "한글은 자질 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 문자 공방론-" 한국어학회 41 : 1-33, 2008

      9 조남호, "천부경과 하도낙서의 차이점" 2010

      10 조남호, "천부경 해석의 문제점(1)" 국학연구원 1 : 104-124, 2006

      1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2 황인옥, "훈민정음에 반영된 의리학적 역학사상" 유학연구소 40 : 1-29, 2017

      3 박덕규, "훈민정음과 가림토의 연관성 고찰" 7 (7): 2020

      4 김주원, "훈민정음 해례본의 기본 구성" 53 (53): 2005

      5 김혜영,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하여" (31) : 2008

      6 신민식, "훈민정음 제자해의 상수철학과 하도상생 사계절 순환법칙의 고찰" (8) : 2021

      7 문효근, "훈민정음 제자원리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8) : 1993

      8 김정대, "한글은 자질 문자인가 아닌가? -한글에 대한 자질 문자 공방론-" 한국어학회 41 : 1-33, 2008

      9 조남호, "천부경과 하도낙서의 차이점" 2010

      10 조남호, "천부경 해석의 문제점(1)" 국학연구원 1 : 104-124, 2006

      11 조남호, "천부경 연구사 정리3- 천부경과 주역, In 천부경의 철학과 역사적 재해석" 2007

      12 임채우, "중국철학에 대비되는 천부경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에 대해" (13) : 2012

      13 정경희, "중국의 ‘陰陽五行論’과 韓國仙道의 ‘三元五行論’" 한국동서철학회 (49) : 61-90, 2008

      14 정경희, "여말 학계와 『天符經』" 국학연구원 6 : 155-209, 2009

      15 김유범, "쉽게 읽는 훈민정음" 국립한글박물관 2020

      16 권재일, "세종 학문의 국어학사적 이해" 2012

      17 남창희, "세조의 상고사서 수서령의 정치적 요인과 함의" (3) : 2016

      18 최종환, "삼일신고" 지혜의 나무 2000

      19 박상원, "도상체계로 본 한글 창제의 철학적 원리" 한국동양예술학회 (33) : 77-98, 2016

      20 김슬옹, "국어교육의 탈경계적 모색" 2019

      21 이영호, "국민보급형 훈민정음 해례본" 달아실출판사 2019

      22 정우영, "訓民正音과 佛敎經典의 相關關係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3 (43): 33-63, 2015

      23 정경희, "朝鮮初期 仙道 祭天儀禮의 儒敎 地祭化와 그 의미" 국사편찬위원회 (108) : 2006

      24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연구와 강독용 교재 구성과 실제" 한말연구학회 (43) : 65-92, 2017

      25 곽신환, "『훈민정음 해례』에 반영된 성리학의 영향 -태극·음양·오행·삼재론을 중심으로-" 유학연구소 37 : 29-59, 2016

      26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27 김익수, "『天符經』의 철학과 문화를 계승한 공자의 易學思想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84) : 197-237, 2016

      28 김익수, "『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공자의 道를 함의한 『周易』 「繫辭傳」의 심층연구(二)" 한국사상문화학회 (88) : 199-226, 2017

      29 정경희, "『天符經』의 圖象化 -『천부경』에 의한 伏羲 八卦·河圖의 해석 -" 국학연구원 3 : 105-138, 2007

      30 백두현, "≪훈민정음≫ 해례본의 텍스트 구조 연구" 국어학회 (54) : 75-107, 2009

      31 이정훈, "20세기 한글 관련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국립한글박물관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