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참깨(Sesamum indicum L.)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활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6022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22 판사항(6)

      • DDC

        338.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i, 32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강영화
        참고문헌: p. 27-30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ve identified anti-oxidant functionality of sesame sprout, and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fter being cultivated in 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respectively, three days, six days and nine days.
      The activity of DD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increased as concentration-dependent, and in 200㎍/ml concentration, the DDPH light condition was 30.82%, 20.25%, 24.56%, dark condition was 16.67%, 16.67%, 24.56%, and in 50㎍/ml concentration, the ABTS light condition was 27.27%, 23.86%, 22.56%, dark condition was 14.60%, 25.64%, 27.10%, so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 it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for 3 days in dark condition.
      Total phenol contents were highest at 8355.56mgGAE/100g when grown for 6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and number of days of cultivation.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at 7058mgRUE/100g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when it was cultivated for 9 days,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To sum up,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the light condition, but in order to use it as a sprout, the length of the shoot is inadequate to 1 cm, so after 6 dais of cultivation,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after it was greened for 1,2,3 days and grown, the DPPH and ABTS showed higher activity and the phenol content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3 days after 6 days of cultivation.
      The Flavonoid content was more excellent when cultivated for 3 days in light condition, but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s it was 6562mgRUE/100g, which was cultivated for 6 days and was recorded for 1 day. Therefore,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it is judged to be better to release after greening process after growing the length in dark condition, and it is considered additional nutritional studies should be done to use sesame seeds as sprouts vegetables.
      번역하기

      This study have identified anti-oxidant functionality of sesame sprout, and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fter being cultivated in 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respectively, three days, six days and ...

      This study have identified anti-oxidant functionality of sesame sprout, and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fter being cultivated in 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respectively, three days, six days and nine days.
      The activity of DD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increased as concentration-dependent, and in 200㎍/ml concentration, the DDPH light condition was 30.82%, 20.25%, 24.56%, dark condition was 16.67%, 16.67%, 24.56%, and in 50㎍/ml concentration, the ABTS light condition was 27.27%, 23.86%, 22.56%, dark condition was 14.60%, 25.64%, 27.10%, so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 it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for 3 days in dark condition.
      Total phenol contents were highest at 8355.56mgGAE/100g when grown for 6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and number of days of cultivation.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at 7058mgRUE/100g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when it was cultivated for 9 days,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To sum up,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the light condition, but in order to use it as a sprout, the length of the shoot is inadequate to 1 cm, so after 6 dais of cultivation,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after it was greened for 1,2,3 days and grown, the DPPH and ABTS showed higher activity and the phenol content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3 days after 6 days of cultivation.
      The Flavonoid content was more excellent when cultivated for 3 days in light condition, but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s it was 6562mgRUE/100g, which was cultivated for 6 days and was recorded for 1 day. Therefore,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it is judged to be better to release after greening process after growing the length in dark condition, and it is considered additional nutritional studies should be done to use sesame seeds as sprouts veget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참깨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기 위하여 명조건, 암조건에서 각각 3일, 6일, 9일 재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D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DDPH는 200㎍/ml 농도에서 명조건 30.82%, 20.25%, 24.56%, 암조건 16.67%, 16.67%, 24.56%, ABTS는 50㎍/ml의 농도에서 명조건 27.27%, 23.86%, 22.56%, 암조건 14.60%, 25.64%, 27.10%로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암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명조건에서 6일 재배하였을 때 8355.56mgGAE/100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광조건 및 재배일수에 관계없이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7058mgRU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내었으며, 광조건에 관계없이 9일 재배하였을 때는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종합해서 살펴보면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새싹으로 이용하기에는 길이생장이 1cm내외로 부적합하여 6일 재배 후 각각 1일, 2일, 3일 녹화 처리하여 길이생장 시킨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6일 재배 후 3일 녹화 처리하였을 때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DPPH, ABTS에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함량 또한 약 1.4배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가 더 우수하였으나 6일 재배 후 1일 녹화처리 하였을 때 6562mgRUE/100g 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암조건에서 길이생장 후 녹화처리를 통하여 출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참깨를 새싹채소로 이용하기 위한 영양학적인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참깨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기 위하여 명조건, 암조건에서 각각 3일, 6일, 9일 재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DPH, ABTS ...

      본 연구는 참깨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기 위하여 명조건, 암조건에서 각각 3일, 6일, 9일 재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D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DDPH는 200㎍/ml 농도에서 명조건 30.82%, 20.25%, 24.56%, 암조건 16.67%, 16.67%, 24.56%, ABTS는 50㎍/ml의 농도에서 명조건 27.27%, 23.86%, 22.56%, 암조건 14.60%, 25.64%, 27.10%로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암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명조건에서 6일 재배하였을 때 8355.56mgGAE/100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광조건 및 재배일수에 관계없이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7058mgRU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내었으며, 광조건에 관계없이 9일 재배하였을 때는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종합해서 살펴보면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새싹으로 이용하기에는 길이생장이 1cm내외로 부적합하여 6일 재배 후 각각 1일, 2일, 3일 녹화 처리하여 길이생장 시킨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6일 재배 후 3일 녹화 처리하였을 때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DPPH, ABTS에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함량 또한 약 1.4배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가 더 우수하였으나 6일 재배 후 1일 녹화처리 하였을 때 6562mgRUE/100g 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암조건에서 길이생장 후 녹화처리를 통하여 출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참깨를 새싹채소로 이용하기 위한 영양학적인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재료 및 방법 5
      • 1. 실험 재료 및 재배 방법 5
      • 2. 추출방법 6
      • 3. Total phenolic content 측정 6
      • Ⅰ. 서 론 1
      • Ⅱ. 재료 및 방법 5
      • 1. 실험 재료 및 재배 방법 5
      • 2. 추출방법 6
      • 3. Total phenolic content 측정 6
      • 4. Total flavonoid content 측정 6
      • 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6
      • 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7
      • Ⅲ. 결과 및 고찰 8
      • 1. 생육시기에 따른 길이생장 및 생체중 8
      • 2. 생육시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 8
      • 1) Total phenolic content 10
      • 2) Total flavonoid content 12
      • 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4
      • 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6
      • 3. 녹화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 18
      • 1) Total phenolic content 19
      • 2) Total flavonoid content 20
      • 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1
      • 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3
      • Ⅳ. 요 약 25
      • Ⅴ. 참고문헌 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