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A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및 B 중학교, C 고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24948
서울 :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통합치료대학원 , 청소년지도학과 , 2023. 8
2023
한국어
서울
The Effects of Youth's SNS Usage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Focused on 'Instagram'
ⅵ, 83p. ; 26 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권일남
참고문헌: p. 71-77
I804:11023-00000007767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A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및 B 중학교, C 고등...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의 A 청소년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 및 B 중학교, C 고등학교, D 대학교 재학생이며, 총 303명(남자 74명, 여자 229명/중학생 74명, 고등학생 98명, 대학생 131명)이다.
연구는 청소년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인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2021)의 ‘소셜미디어 이용행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대인관계만족를 측정하기 위해 은혁기(2000)의 일반적인 만족도 및 친구관계 만족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대인관계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나리, 이동귀(2010)가 번안 및 타당화한 한국형 대인관계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에 따른 대인관계만족도에서는 접속 빈도, 팔로워 수, 실제 아는 친구의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접속 빈도가 높은 청소년이 접속 빈도가 낮은 청소년보다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았으며, 팔로워 수 및 실제 아는 친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수준에 따른 대인관계유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접속 빈도, 팔로워 수, 실제로 아는 친구의 비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요인들이 높을 경우, 대인관계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SNS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만족도 및 대인관계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만족도의 하위 요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게시물 올리기, ‘좋아요’ 누르기, 게시물/댓글 신고로 나타났고, 대인관계유능감의 하위 요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요인은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대인관계만족도는 SNS 상에서 자신의 일상 및 감정을 잘 표현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여자 청소년에게서 더 잘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대인관계유능감은 SNS를 통해 다른 사람과 일상 및 콘텐츠를 공유하는 청소년일수록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SNS에서 공유하는 등 적극적인 이용수준이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청소년 지도 현장에서, 청소년의 건강한 대인관계 및 효과적인 SNS 이용방법에 대한 관심을 갖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써, 청소년의 대인관계만족도와 대인관계유능감을 제고하는데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