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 청년의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the Young College Graduates’ Eye-Level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and the Moderate Effects of In-School Job Experi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97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졸 청년층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진로설계과정에서 눈높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개인특성별로 눈높이가 ...

      대졸 청년층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진로설계과정에서 눈높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개인특성별로 눈높이가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각종 취업준비활동 가운데 긍정적인 활동이 무엇인지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그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기대임금 충족률로 정의한 개인의 눈높이에 따라 일자리 이행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표적인 취업준비활동으로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이들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모두에서 눈높이 충족률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눈높이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임금소득 3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 눈높이 충족률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눈높이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만 재학 중 직무경험 동기가 생계형 또는 기타인 경우, 눈높이 충족률이 높은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전문대학의 중ㆍ하위임금계층 집단과 4년제 대학 모든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의 일부 동기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고 있다.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와 4년제 대학,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다르고,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는 직무경험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상담과 진로설계·지도가 필요하다. 진로지도 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눈높이와 직무수행능력을 진단하고 기업의 요구를 적절하게 고려한 맞춤형 정보제공과 진로설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4년제 대학 하위임금계층 등 일부에서는 재학 중의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취업에 반드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에 재학 중 인턴이나 직무체험활동은 개인의 의향과 참여 목적에 맞추어 선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재학 중 자기주도형 진로탐색을 충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 나아가서 대학생들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그에 기초하여 대학내외의 진로지원 프로그램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ilored information in the career design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factors tha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by the i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ilored information in the career design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factors tha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especially the positive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by using 2014GOMS raw data,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irst job transition period according to the personal eye-level, and whether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as a typical job preparation activ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ye-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n 2-3 year college graduates and 4 year college graduates. It means that other factors other than eye level had much bigger influ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ree wage quintile,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ye level of upper income group of 2-3 year college is, the shorter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s. That is to say, the effect of eye level is different according to wage income level. The moderating effect of in-school job experience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evel and transition periods to the first job only in the upper wage group of 2-3 year college. In addition, some motives of in-school job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Overall, the effects of the eye-level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ege and wage level.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tive of in-school job experi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needs to provide the tailored career guide by the target characteristics, such as college type, eye-level, job experience participation motive,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어수봉, "한국의 실업구조와 신인력정책" 한국노동연구원 1994

      2 강순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91-123, 2013

      3 Kruman, P., "크루그먼의 미시경제학" (주)시그마프레스 2009

      4 김혜진,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패널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9 (39): 1-32, 2016

      5 오호영,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41-64, 2016

      6 이병희,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7 이병희, "청년 비취업자의 눈높이 조정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8 김만술, "중소기업과 대학생 간의 취업역량에 대한 인식차이: 강원, 경기, 충청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77-98, 2015

      9 유재연, "전문대졸자의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81-104, 2017

      10 유재연, "전문대졸 청년층의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4-173, 2018

      1 어수봉, "한국의 실업구조와 신인력정책" 한국노동연구원 1994

      2 강순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91-123, 2013

      3 Kruman, P., "크루그먼의 미시경제학" (주)시그마프레스 2009

      4 김혜진,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패널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9 (39): 1-32, 2016

      5 오호영, "청년층 취업눈높이 결정요인과 노동시장 성과" 41-64, 2016

      6 이병희,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7 이병희, "청년 비취업자의 눈높이 조정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8 김만술, "중소기업과 대학생 간의 취업역량에 대한 인식차이: 강원, 경기, 충청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77-98, 2015

      9 유재연, "전문대졸자의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81-104, 2017

      10 유재연, "전문대졸 청년층의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4-173, 2018

      11 정기덕,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7 (27): 237-259, 2016

      12 양정승, "재학 중 일경험의 노동시장 효과성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7

      13 조우현, "새로운 노동경제학" 법문사 2016

      14 허명회, "사회조사에서 표본의 왜곡과 가중치 보정의 결과 : 18개 사례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5 (5): 27-49, 2004

      15 염동기,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7 (7): 45-68, 2017

      16 구정화, "대학생의 희망직업 및 기대임금에서 성 차이 -4년제 대학 인문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20, 2008

      17 이승계, "대학생의 노동경험과 직업선택의 관련성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4 (14): 123-141, 2007

      18 안준기, "대학 재학시절 근로활동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생계형 근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49-180, 2011

      19 송영숙, "대학 재학 중 근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87-293, 2017

      20 강순희, "대졸청년층의 눈높이가 조기이직에 미치는 영향과 재학 중 진로탐색활동의 조절효과" 279-298, 2018

      21 이혜영, "대졸자의 직업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서 기업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7 (7): 125-149, 2017

      22 심재훈, "대졸자의 눈높이와 노동시장 성과" 358-372, 2010

      23 이만기,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활동의 영향 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115-138, 2015

      24 최기성, "대졸자 취업 눈높이 분석 : 의중-시장 임금 갭을 중심으로" 진천 : 한국고용정보원 2016

      25 김동규, "대졸 청년층의 눈높이가 첫직장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5 (5): 24-50, 2011

      26 이규용,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3 (3): 69-93, 2003

      27 황여정,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23, 2008

      28 박성재,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한국인구학회 29 (29): 29-50, 2006

      29 유재연, "대졸 청년의 눈높이와 초기 노동시장 성과의 관계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 경기대학교 2018

      30 강순희, "대졸 청년 노동시장 이행의 코호트 간 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8 (18): 1-29, 2018

      31 정영근,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한국질서경제학회 14 (14): 19-39, 2011

      32 Ehrenberg, R. G., "노동경제학: 이론과 공공정책" 교보문고 2003

      33 이찬영, "근로유형에 따른 재학 중 근로의 노동시장 초기성과" 한국경제통상학회 31 (31): 85-106, 2013

      34 김동규, "근로경험이 취업효과에 미치는 영향" 535-556, 2008

      35 김용성, "고학력 청년층의 미취업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일자리 탐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34 (34): 67-95, 2012

      36 김원표, "고급회귀분석" 와이즈인컴퍼니 2017

      37 채창균, "大學生의 在學中 일자리 體驗과 就業準備"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169-184, 2003

      38 Rothstein, D. S., "Youth employment in the United States" 124 (124): 6-17, 2001

      39 Hakkinen, I., "Working While Enrolled in a University: Does It Pay?" 19 (19): 167-189, 2006

      40 Ahn, N., "Unemployment Duration and Workers' Wage Aspirations in Spain" 4 (4): 103-118, 2002

      41 Schmid, G., "Transitional Labour Markets : A New European Employment Strategy" FSI 98-206, 1998

      42 Ryan, P.,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 A Cross-National Perspectives" 39 (39): 34-92, 2001

      43 Lammers, M., "The Effects of Savings on Reservation Wages and Search Effort" 27 : 83-98, 2014

      44 Hwang, M., "The Circumscription Process of Career Aspirations in South Korean adolescents" 7 (7): 133-143, 2006

      45 Kasper, H., "The Asking Price of Labor and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49 (49): 165-172, 1967

      46 Lentz, R., "Optimal Unemployment Insurance in an Estimated Job Search Model with Savings" 12 : 35-57, 2009

      47 Spence, A. M., "Job Market Signaling" 87 (87): 355-374, 1973

      48 Schultz, T. W., "Investment in Human Capital" 51 (51): 1-17, 1961

      49 Stigler, G. J., "Information in The Labor Market" 70 (70): 94-105, 1962

      50 Light, A., "In-school Work Experience and the Returns to School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19): 65-93, 2001

      51 Becker, G. S.,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64

      52 Taylor, N. B., "Exploring the Process of Compromise in Career Decision Making" 27 (27): 171-190, 1985

      53 Holt, P. A., "Differential Effect of Status and Interest in the Process of Compromise" 36 (36): 42-47, 1989

      54 Gottfredson, L. S.,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Monograph" 28 : 545-579, 1981

      55 Hesketh, B., "Career Compromise : An Alternative Account to Gottfredson's Theory" 37 (37): 49-56, 1990

      56 Hesketh, B., "Career Compromise : A Test of Gottfredson's Theory" 36 (36): 97-108, 1990

      57 Gottfredson, L. 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85-148, 2002

      58 Hotz, V. J., "Are There Returns to the Wages of Young Men from Working While in School?" 84 (84): 221-236,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8 2.4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