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표면 결함 개선을 통한 높은 안정성 및 발광 효율을 갖는 청색 발광 CsPbBr3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 Surface Passivation for Highly Luminescent Blue Light Emitting CsPbBr3 Perovskite Quantum Do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87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all-inorganic perovskite quantum dots (PQDs) has been actively pursued due to their unique and excellent optoelectronic properties. In particular,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based on PQDs have been thoroughly explored because their efficiency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ose of the red and green perovskite-based LEDs. However, blue-emitting PQDs still face numerous obstacles, such as phase separation, halide vacancies, and surface defects, eventually leading to poor emission stability and low external quantum efficiency. Here, we successfully synthesized highly efficient and stable blue-emitting CsPbBr3 QDs with a uniform size distribution of 4.6±0.9 nm by introducing trioctylphosphine (TOP) as a surface-capping ligand. The TOP-capped CsPbBr3 QDs showed a near-unity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of 97.9%. The phosphine in TOP effectively passivates the surface of the small-size CsPbBr₃ QDs, consequently improving their emission efficiency and long-term stability. Blue LEDs fabricated by the TOP-treated CsPbBr3 QDs exhibited an improved luminance of 328 cd/m2 and exceptional color stability, maintaining longer emission stability than the pristine QDs.
      번역하기

      Research on all-inorganic perovskite quantum dots (PQDs) has been actively pursued due to their unique and excellent optoelectronic properties. In particular,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based on PQDs have been thoroughly explored because their ...

      Research on all-inorganic perovskite quantum dots (PQDs) has been actively pursued due to their unique and excellent optoelectronic properties. In particular,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based on PQDs have been thoroughly explored because their efficiency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ose of the red and green perovskite-based LEDs. However, blue-emitting PQDs still face numerous obstacles, such as phase separation, halide vacancies, and surface defects, eventually leading to poor emission stability and low external quantum efficiency. Here, we successfully synthesized highly efficient and stable blue-emitting CsPbBr3 QDs with a uniform size distribution of 4.6±0.9 nm by introducing trioctylphosphine (TOP) as a surface-capping ligand. The TOP-capped CsPbBr3 QDs showed a near-unity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of 97.9%. The phosphine in TOP effectively passivates the surface of the small-size CsPbBr₃ QDs, consequently improving their emission efficiency and long-term stability. Blue LEDs fabricated by the TOP-treated CsPbBr3 QDs exhibited an improved luminance of 328 cd/m2 and exceptional color stability, maintaining longer emission stability than the pristine Q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Perovskite Quantum Dots, PQDs)은 최근 디스플레이 및 광전자 소자 기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소재로, 우수한 광학적 성질, 저비용 제조, 간단한 합성 방법으로 차세대 발광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초고해상도와 넓은 색역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로 활용 가능하여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PeLE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청색 발광 양자점은 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정 품질의 불안정성 문제로 인해 적색 및 녹색 양자점에 비해 발광 효율이 낮으며, 이는 곧 다이오드의 양자 효율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색 발광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안정성 및 발광 효율 개선 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4 nm 크기의 세슘 납 할로겐화물(CsPbBr3) 양자점을 합성하기 위해 저온 합성 방법을 개발한 뒤, 양자점 표면에 Trioctylphosphine(TOP) 리간드를 추가로 처리하여 결함을 줄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패시베이션 방법을 개발하였다. 리간드 처리된 양자점을 이용하여 제작된 청색 QLED는 328 cd/m2의 높은 휘도와 뛰어난 색 안정성을 보였고, 기존의 청색 QLED에 비해 작동 스트레스 하에서도 더 오랜 발광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번역하기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Perovskite Quantum Dots, PQDs)은 최근 디스플레이 및 광전자 소자 기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소재로, 우수한 광학적 성질, 저비용 제조, 간단한 합성 방법으로 차세대 ...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Perovskite Quantum Dots, PQDs)은 최근 디스플레이 및 광전자 소자 기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소재로, 우수한 광학적 성질, 저비용 제조, 간단한 합성 방법으로 차세대 발광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초고해상도와 넓은 색역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로 활용 가능하여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PeLE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청색 발광 양자점은 합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정 품질의 불안정성 문제로 인해 적색 및 녹색 양자점에 비해 발광 효율이 낮으며, 이는 곧 다이오드의 양자 효율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색 발광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안정성 및 발광 효율 개선 방법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4 nm 크기의 세슘 납 할로겐화물(CsPbBr3) 양자점을 합성하기 위해 저온 합성 방법을 개발한 뒤, 양자점 표면에 Trioctylphosphine(TOP) 리간드를 추가로 처리하여 결함을 줄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표면 패시베이션 방법을 개발하였다. 리간드 처리된 양자점을 이용하여 제작된 청색 QLED는 328 cd/m2의 높은 휘도와 뛰어난 색 안정성을 보였고, 기존의 청색 QLED에 비해 작동 스트레스 하에서도 더 오랜 발광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ⅰ
      • 표목차 ⅳ
      • 그림목차 ⅴ
      • I.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요약ⅰ
      • 표목차 ⅳ
      • 그림목차 ⅴ
      • I.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II. 이론적 고찰 4
      • 2.1 CsPbBr3 QD의 특징 5
      • 2.1.1 CsPbBr3 QD의 구조적 특성5
      • 2.1.2 CsPbBr3 QD의 광학적 특성 8
      • 2.1.3 CsPbBr3 QD 합성 방법 9
      • 2.2 청색 발광 페로브스카이트 QD 구현 방법 11
      • 2.2.1 할라이드 혼합(Mixed-Halide) 11
      • 2.2.2 크기 제한 (Size Confinement) 12
      • III. 실험 장치 및 실험 방법13
      • 3.1 CsPbBr3 QD의 합성과 리간드 처리·14
      • 3.1.1 Hot-Injection 방법을 통한 QD 합성14
      • 3.1.2 트리옥틸포스핀 리간드를 이용한 QD 표면 처리 15
      • 3.2 발광 다이오드 소자 제작 16
      • 3.3 QD 및 소자 특성 평가 17
      • IV. 실험 결과 및 고찰 18
      • 4.1 합성 조건에 따른 CsPbBr3 QD의 특성 분석 19
      • 4.1.1 합성 온도에 따른 QD의 파장 변화 연구 19
      • 4.1.2 Bromine 비율에 따른 QD의 특성 변화 연구23
      • 4.2 리간드 첨가에 따른 QD의 발광특성 변화 분석 26
      • 4.3 CsPbBr3 QD 기반 LED 제작 및 분석37
      • 4.3.1 CsPbBr3 QD 기반 LED 설계 및 증착 공정37
      • 4.3.2 CsPbBr3 QD 기반 LED 특성 분석 38
      • V. 결론42
      • 참고문헌 44
      • 영문초록
      • 감사의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