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회과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기 위해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 126개의 성별 정답률 차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8786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1-90(2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회과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기 위해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 126개의 성별 정답률 차이...
본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회과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기 위해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 126개의 성별 정답률 차이와 성별 차이 대표문항을 분석하였다. 성별 정답률 차이의 분석 결과, 초중고 모두 여학생의 성적이 우수한 편이었다. 내용영역 중에서는 일반사회 영역의 성별 차이가 가장 컸으며, 학교급 중에서는 중학교의 성차가 가장 컸다. 성취수준별로는 우수학력의 남녀 차이가 가장 적은 반면, 기초학력의 차이가 가장 컸다. 성별 차이 대표문항의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 학생에 비해 지리적 위치 정보의 기억에서 우수한 편이었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분석적 사고 및 자료 의미 파악 능력에서 우수한 편이었다. 묻고자 하는 지식 혹은 주제의 범위와 폭이 넓은 경우 남학생이 더 우수하고, 좁은 범위의 사실 및 지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구하는 경우 여학생이 더 우수했다. 대체로 정답률이 낮은 고 난도 문항에서는 성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상과 관련된 내용을 묻고 있는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밝힌 성별 차이에 대한 정보는 현장교사들이 성차를 고려한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과의 학력 향상을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analyzed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valuation Achievement(NAEA) 126 items to comprehend the gender difference i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cord of female students was excellent in all ...
In this study, I analyzed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valuation Achievement(NAEA) 126 items to comprehend the gender difference i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cord of female students was excellent in all school levels. Looking into content area, female students‘score of social studies was very excellent at all school level. The biggest achieveme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was found in the middle school. Looking into achievement level, the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advanced level’, ‘below-basic level’ and was the biggest in ‘basic le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representative items, when the items were to remember location information or to synthesize a broad knowledge, male students‘score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core. But female students were more excellent than male students when they were asked the analytical thinking 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aterial and were needed the precise recall of relatively narrow scope‘s fact and knowledge. Generally,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difficult items. But the correct answers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s’ in the items to ask real life‘s event or familiar contents.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when the social studies’teachers intend to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this result ultimately will be able to use by data for improving of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영, "학생특성와 학교특성이 초등학생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다층자료 분석모형 이용"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97-119, 2010
2 김상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 26 (26): 461-468, 2005
3 김기정,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15 (15): 315-325, 1996
4 노언경, "차별기능문항 추출과 잠재평균분석을 통한 공간능력에서의 성차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31-645, 2008
5 강창숙,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 대한지리학회 39 (39): 971-983, 2004
6 진경애, "위계적 로고선형 모형에 의한 중학교 영어 학습 성취도의 성별, 지역별 배경 변인 효과" 8 (8): 273-292, 2001
7 이해영,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성별 차 인식" 교육연구원 25 (25): 34-53, 2009
8 강창숙, "성별 차이와 gender 특성이 지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9 (9): 245-257, 2002
9 권오남, "공간능력에서 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35 (35): 125-141, 1996
10 박매옥, "공간능력에 따른 초 등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 관계" 22 (22): 95-108, 2009
1 김소영, "학생특성와 학교특성이 초등학생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다층자료 분석모형 이용"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97-119, 2010
2 김상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 26 (26): 461-468, 2005
3 김기정,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15 (15): 315-325, 1996
4 노언경, "차별기능문항 추출과 잠재평균분석을 통한 공간능력에서의 성차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31-645, 2008
5 강창숙, "지리 수업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와 젠더 특성" 대한지리학회 39 (39): 971-983, 2004
6 진경애, "위계적 로고선형 모형에 의한 중학교 영어 학습 성취도의 성별, 지역별 배경 변인 효과" 8 (8): 273-292, 2001
7 이해영,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성별 차 인식" 교육연구원 25 (25): 34-53, 2009
8 강창숙, "성별 차이와 gender 특성이 지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9 (9): 245-257, 2002
9 권오남, "공간능력에서 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35 (35): 125-141, 1996
10 박매옥, "공간능력에 따른 초 등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 관계" 22 (22): 95-108, 2009
11 이수진, "공간능력 학습이 천문단원 학업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02
12 신정엽, "공간 인지의 성별 차이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지리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7 (17): 125-143, 2009
13 조성욱, "공간 능력 측정 방법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1-15, 2008
14 김선미, "고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역사학습 동기" (34) : 310-327, 2001
15 구자홍,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 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2000
16 Weiss, A. R., "The Nation’s Report Card: Geography, 2001" National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2
17 Brown, S., "The GlobalEd project: gender difference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negotiations" 31 (31): 255-276, 2003
18 Kenski,K, "The Gender Gap in Political Knowledge: Do Women Know Less Than Men About Politics"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6
19 Chapin, June R, "The Achievement Gap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Starts Early: Evidence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97 (97): 231-238, 2006
20 Slotte, V., "Study-strategy use in learning from text. Does gender make any difference" 29 (29): 255-272, 2001
21 Battista,M.T, "Spatial visualiza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high school geometry" 21 : 47-60, 1990
22 Kali, Y., "Spatial ability of highschool student in the perception of geologic Structures" 33 : 369-391, 1996
23 Amoth,J.E, "Single Gender Classes and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 Study of the Computer Attitudes of Middle School Girls" Capella University 2006
24 Bramwell,J, "Pupils’ attitude toward geography in the lower school: An investigation into gender differences" 72 : 36-48, 1987
25 Heafner,T, "Powerful Methods: A Framework for Effectiv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Secondary Social Studi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002
26 김경희,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27 Li,Qing,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in secondary schools: do gender and region make a difference" 33 (33): 41-58, 2007
28 Wendt,J.S,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Its Effect on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07
29 Hardwick, "Gender vs. sex differences: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in geographic education" 99 (99): 238-244, 2000
30 Owen, D., "Gender differences in the politicization of American children" 8 (8): 23-43, 1988
31 Beatty, W., "Gender differences in geographical knowledge" 16 : 565-590, 1987
32 Hahn,C.L, "Gender and political learning" 24 (24): 8-35, 1996
33 SeungchanYang, "Gender Gap in Media Use and Informed Political Participation: A Test of the 'Communication Effects Gap Hypothesis' during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in Korea" 아시아여성연구소 17 : 2003
34 Corbin,S, "Gender Differenc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20 (20): 18-26, 1996
35 Edgemon,E.A,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s a Predictor of High-stakes Outcome Measures in Social Studies" University of Virginia 2006
36 Kitchin,R.M, "Are there sex differences in geograph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162 : 273-286, 1996
37 Al-Kamali,A, "An Investigation of Northwest Arkansas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Using GIS in Learning Social Studies" University of Arkansas 2007
38 이경훈,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267-275, 2010
39 김미경,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영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0 박은아,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사 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1 남민우,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2 최원호,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3 권점례, "2009년 국 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44 김혜숙, "2008년 국가수 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사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45 박은아, "2007년 국가수 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사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46 Crocco, "(Never) Mind the gap! Gender equity in social studies research on technology in the twenty-first century" 2 (2): 19-36,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