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양육태도 관련변수를 애정적인 태도와 통제적인 태도로 나누어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부모교육의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51052
천안 :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학위논문(석사) --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유아교육전공 , 2001. 8
2001
한국어
375.1 판사항(4)
충청남도
47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41-4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머니의 양육태도 관련변수를 애정적인 태도와 통제적인 태도로 나누어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부모교육의 활...
어머니의 양육태도 관련변수를 애정적인 태도와 통제적인 태도로 나누어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부모교육의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kill Situations Measure」에서 분류한 것을 참고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능력을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으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안성시에 위치한 병설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5, 6, 7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로 156명의 설문지가 수집되었다. 설문지 내용은 유아의 연령,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 직업유무 어머니의 학력등을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정적 양육태도를 보인 어머니의 유아가 통제적 태도를 보인 어머니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그 밖에 유아의 출생순위와 어머니의 학력, 취업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난다. 구체적으로 6세 유아들이 가장 높은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7세, 5세의 순이었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영역의 하위 영역인 개인정서 조절능력, 대인관계 형성능력, 유치원 적응능력에서도 6세 유아들이 가장 높은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7세, 5세의 순이었다.
애정적이고 다정한 어머니는 유아에게 책임을 맡김으로 유아자신이 중요한 사람임을 느끼도록 하여 유아의 자기 조절능력을 증진시키는 반면, 강한 수준의 통제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유아와의 의사소통을 무시하거나 맹목적인 복종에 의해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여 유아가 독립적으로 행동할 기회를 주지 않음으로써 자기조절 능력을 저하시킨다(Kostelink, 1995)고 한다. 따라서 어머니의 애정적이고 유아 중심적인 양육태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여 줄 수 있는 태도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