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조성의 경제학과 창조성생태계 = The Economics of Creativity and the Ecology of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2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1c can be called as the era of creativity economy as well as knowldedge-based economy and information society. Creativity economy can be considered as soft economy. In soft creativity economy, every component of economy becomes of high quality and co...

      21c can be called as the era of creativity economy as well as knowldedge-based economy and information society. Creativity economy can be considered as soft economy. In soft creativity economy, every component of economy becomes of high quality and convenient. In this kind of circumstance, the resourses of scaricity are creativity and artistic qualit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is in the center of new scarcity, and analyzed creativity system as creativity ecology of complex sytetem. For the theorical construction of creativity ecology, we operated economic analysis of creativity and connected the microeconomic analysis of the creatity motivation with the analysis of creativity ecology. We analysed the creativity ecology system both in regional level and in national level and especally argued that SECI model which is an integral model about creativity and three system analysises of creativy should be understood in compliment with creavitiy complex ecology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c는 지식기반경제요 정보화사회이자 동시에 창조경제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경제는 소프트경제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한 창조경제는 창조성을 바탕으로 경제의 모든 부분이...

      21c는 지식기반경제요 정보화사회이자 동시에 창조경제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경제는 소프트경제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한 창조경제는 창조성을 바탕으로 경제의 모든 부분이 고급스러워지고 편리해지는 경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희소한 자원은 창조성과 예술성이다. 본고에서 이렇게 새로운 희소성의 중심에 있는 창조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창조성을 진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창조성이 작동되는 시스템을 복잡계의 창조성 생태계로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이론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창조성생태계에 대한 이론적 구축을 위해 창조성의 경제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창조성의 동기와 관련된 미시경제적 분석을 창조성의 생태계 분석과 연결시켰다. 창조성생태계는 지역수준과 국가수준으로 나누어 창조생태계시스템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창조성 발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창조성의 통합 모델인 SECI모델과 창조성의 세가지 시스템분석을 복잡계 생태계 분석과 상호보완하여 이해할 것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희,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37-51, 2010

      2 김영록, "한국판 창의적 산물 평가도구의 개발 및 구조확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7 (17): 305-327, 2004

      3 김덕현, "통섭, 융합, 컨버전스 제대로 알자"

      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창조적 지역발전 전략" 2011

      5 Amabile, T. M., "창조의 조건" 21세기북스 2010

      6 이홍, "창조성의 본질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 2013

      7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8 박찬욱, "지역문화자원 융합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9 Dawkins, R.,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0

      10 Jung, C. G.,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2006

      1 신민희,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37-51, 2010

      2 김영록, "한국판 창의적 산물 평가도구의 개발 및 구조확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7 (17): 305-327, 2004

      3 김덕현, "통섭, 융합, 컨버전스 제대로 알자"

      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창조적 지역발전 전략" 2011

      5 Amabile, T. M., "창조의 조건" 21세기북스 2010

      6 이홍, "창조성의 본질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안" 2013

      7 Csikszentmihalyi, M.,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8 박찬욱, "지역문화자원 융합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9 Dawkins, R.,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0

      10 Jung, C. G.,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2006

      11 노준석, "영국 창조산업의 사례분석 및 벤치마킹 방안" 2009

      12 신동희, "스마트융합과 통섭 3.0"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13 복득규, "산업클러스터 발전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2

      14 민경환, "부정적 정서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정서 종류와 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14 : 1-16, 2000

      15 David Throsby, "문화경제학" 한울아카데미 2004

      16 강소영, "대학병원 간호부서의 조직창의성 결정요인" 한국병원경영학회 9 (9): 71-100, 2004

      17 Sawyer, R. K., "그룹 지니어스" 북섬 2008

      18 Plucker, J. A., "Why isn’t creativity more important to educational psychologists? Ptential, pitfalls, and future directions in creativity research" 39 : 83-96, 2004

      19 Dacey, J. S., "Understanding Creativity: The Interplay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Jossey-Bass 1998

      20 Torrance, E. P.,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Scholastic Testing Service 1974

      21 Amabile, T. M.,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66 : 950-967, 1994

      22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7, 1983

      23 Pirola-Merlo, A.,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creativity : aggregating across people and time" 25 : 235-257, 2004

      24 Grant, A. M., "The necessity of others is themother of invention: Intrinsic and prosocial motivations, perspective taking, and creativity" 54 : 73-96, 2011

      25 Arrow, K. J., "The Rate and Direction of Inventive Activity: Economic and Social Facto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9-625, 1962

      26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67

      27 Csikszentmihalyi, M.,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5-339, 1988

      28 Yoshimi Shunya, "The Condition of Cultural Studies in Japan" 18 (18): 1988

      29 Plucker, J. A., "The Cambridge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0 Amabile, T. M.,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7, 1983

      31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1

      32 deCharms, R., "Personal Causation: The internal affective determinants of behavior" Academic Press 1968

      33 Simonton, D. K., "Origins of Genius: Darwinian Perspectives on Creativ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4 Amabile, T. M., "Motivational synergy: Toward new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3 : 185-201, 1993

      35 Arjun Appadurai, "Modernity at Lar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0-, 1966

      36 Demsetz, H., "Information and efficiency: Another viewpoint" 12 (12): 1-22, 1969

      37 Becker, G. S., "Human Capital: A Theorical and Emp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64

      38 De Dreu, C. K. W., "Hedonic tone and activation level in the mood-creativity link: Toward a dual pathway to creativity model" 94 : 739-756, 2008

      39 Bryant, W.D.A, "Handbook of the economics and art and culture" North-Holland 2006

      40 Damanpour, "Handbook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ic Press 2012

      41 Sternberg, R,J., "Handbook of Creativity"

      42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3 Simonton, D. K., "Genius 101" Springer 2009

      44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Basic Books 1997

      45 Deci, E. L., "Facilitating internalizati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62 : 119-142, 1994

      46 Sawyer, R. K.,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7 Zeng, L., "Creativity in Ergonomic Design: A Supplemental Value-Adding Source for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52 (52): 503-525, 2010

      48 Kaufman, J. C., "Creativity 101" Springer 2009

      49 DCMS, "Creative IndustriesMapping Document 2001" DCMS 2001

      50 DCMS, "Creative IndustriesMapping Document 1998" DCMS 1998

      51 Howkins, J., "Creative Ecologies: Where Thinking is a Proper Job" Univ. of Queensland Press 2010

      52 Gardner, H., "Creating Minds" Basic Books 1993

      53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inWork and Play" Jossey-Bass 1975

      54 Amabile, T. M.,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39 : 1154-1184, 1996

      55 Sternberg, R.J.,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34 (34): 1-31, 1991

      56 Sternberg, R. J., "A proulsion model of types of creative contributions" 3 : 38-100, 1999

      57 McCain, R. A., "A Framework for Cognitive Econimics" Praeger 1962

      5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지역문화산업 클러스터 실태조사"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3 1.366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