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9년 이후 한국 극사실회화의 이미지 분석: 현실로부터 실재로의 전환 = Analysis of Image in Korean Hyper-Realism after 1979: From Reality to The Re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5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 Baudrillard described as "the simulation of something which never really existed".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image as a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s presented two distinct meanings: one is reality and the other is the real with the theory of hyper-reality. In 1979 Hyper-realism painting was emerged in Korea art field by art critic, institution and group exhibition, since then the realism discourse expands its perspective like contemporary visual percep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rethink the changed implication of 'reality' in Hyper-realism painting beyond yesterday and today. On the one hand,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specialty of the image at this stage and the beginning of Korean Hyper-realism. And the other one hand, it is based on the systematization of inevitable issues about representation in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toda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image in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s analyzed in terms of reality and the real considering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late 1970s and today. Furthermore,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discourse of reality and real in Hyper-realism paint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 as representation system that differentiates from existing methodologies on this subject.
      번역하기

      J. Baudrillard described as "the simulation of something which never really existed".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image as a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s presented two distinct meanings: one is reality and the oth...

      J. Baudrillard described as "the simulation of something which never really existed".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e image as a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s presented two distinct meanings: one is reality and the other is the real with the theory of hyper-reality. In 1979 Hyper-realism painting was emerged in Korea art field by art critic, institution and group exhibition, since then the realism discourse expands its perspective like contemporary visual percep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rethink the changed implication of 'reality' in Hyper-realism painting beyond yesterday and today. On the one hand,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specialty of the image at this stage and the beginning of Korean Hyper-realism. And the other one hand, it is based on the systematization of inevitable issues about representation in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toda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image in Korean Hyper-realism painting is analyzed in terms of reality and the real considering the visual environment of the late 1970s and today. Furthermore, this paper attempts to expand the discourse of reality and real in Hyper-realism paint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 as representation system that differentiates from existing methodologies on this sub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미지와 실재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관점에서, 한국 극사실회화의 이미지는 ‘현실’ 그리고 ‘실재’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동시에 함의한다고 볼 수 있다.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한 한국 극사실회화는 비평, 제도, 그리고 그룹전 중심의 작가활동을 통해 두각을 드러냈으며, 이후 사실성 담론과 함께 현재와 같은 시지각 개념을 획득하는 등 그 지평을 넓히게 되었다. 이러한 지점에 착안한 본 논문은 오늘날의 극사실회화가 함축하고 있는 ‘리얼리티’의 변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며, 1979년 이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 극사실회화에서 제기되는 현실과 실재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점은 한편으로는 극사실회화의 시작과 현재의 시점에서 구현되는 이미지의 특수성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극사실회화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재현의 문제들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정리하려는 취지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의 극사실회화의 대전제로서 ‘리얼리티’의 변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나아가 미술사적 계보와 회화성이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 극사실회화의 표상체계, 즉 이미지 분석을 통해 극사실회화의 현실과 실재에 관한 확장된 논의를 제시하고 한다.
      번역하기

      이미지와 실재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관점에서, 한국 극사실회화의 이미지는 ‘현실’ 그리고 ‘실재’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동시에 함의한다고 볼 수 있다. 1979년부터 본격...

      이미지와 실재에 관한 장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관점에서, 한국 극사실회화의 이미지는 ‘현실’ 그리고 ‘실재’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동시에 함의한다고 볼 수 있다.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한 한국 극사실회화는 비평, 제도, 그리고 그룹전 중심의 작가활동을 통해 두각을 드러냈으며, 이후 사실성 담론과 함께 현재와 같은 시지각 개념을 획득하는 등 그 지평을 넓히게 되었다. 이러한 지점에 착안한 본 논문은 오늘날의 극사실회화가 함축하고 있는 ‘리얼리티’의 변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며, 1979년 이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 극사실회화에서 제기되는 현실과 실재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점은 한편으로는 극사실회화의 시작과 현재의 시점에서 구현되는 이미지의 특수성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극사실회화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재현의 문제들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정리하려는 취지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의 극사실회화의 대전제로서 ‘리얼리티’의 변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나아가 미술사적 계보와 회화성이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 벗어나 한국 극사실회화의 표상체계, 즉 이미지 분석을 통해 극사실회화의 현실과 실재에 관한 확장된 논의를 제시하고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 열화당 1991

      2 서성록, "한국의 현대미술" 문예출판사 1994

      3 한국 현대미술사연구회, "한국 현대미술 197080" 학연문화사 2004

      4 김영호, "한국 극사실회화의 기원들" (93) : 2009

      5 윤난지, "한국 극사실화의 ‘사실성’ 담론" (93) : 2009

      6 박용숙, "하이퍼리얼리즘" 열화당 1979

      7 조선령, "미술사의 현대적 시각들"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7

      8 최광진, "뉴이미지론의 위상과 두 패러다임: J. Baudrillard와 J. Lacan을 중심으로" 2 : 2001

      9 서성록,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In 또 하나의 일상-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성남아트센터 2009

      10 서성록,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93) : 2009

      1 이일, "현대미술에서의 환원과 확산" 열화당 1991

      2 서성록, "한국의 현대미술" 문예출판사 1994

      3 한국 현대미술사연구회, "한국 현대미술 197080" 학연문화사 2004

      4 김영호, "한국 극사실회화의 기원들" (93) : 2009

      5 윤난지, "한국 극사실화의 ‘사실성’ 담론" (93) : 2009

      6 박용숙, "하이퍼리얼리즘" 열화당 1979

      7 조선령, "미술사의 현대적 시각들"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7

      8 최광진, "뉴이미지론의 위상과 두 패러다임: J. Baudrillard와 J. Lacan을 중심으로" 2 : 2001

      9 서성록,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In 또 하나의 일상-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성남아트센터 2009

      10 서성록, "극사실회화의 어제와 오늘" (93) : 2009

      11 정영한, "극사실회화에서 실재와 이미지 가상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작품의 이미지 형성과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2 고충환, "극사실주의 회화, 사실의 경계를 넘다, In 2011 서울미술대전, 극사실회화-눈을 속이다" 서울시립미술관 2011

      13 김영순, "實在(Reality)와 幻影(Illusion)의 만남-고영훈의 그림세계, In KO, YOUNG-HOON" 가나아트 1993

      14 김복영, "70-80년대 신형상 회화 : 극사실회화의 기원, In 사실과 환영: 극사실회화의 세계" 삼성미술관 2001

      15 고충환, "1990년대 이후의 한국 현대미술" (82)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