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58791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소비자아동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649.122 판사항(21)
인천
vi, 72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완정
참고문헌 : p.47-5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조...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어머니의 우울감이 두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개소의 만 0세~만 2세 영아의 어머니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우울감을 측정하기 위해 Beck(1978)의 척도를 번안한 이영호와 송종호(199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일반적 양육행동은 안지영(2001)의 척도로 조사하였으며, 발달지원 양육행동은 Lawton, Schuler, Fowell과 Madson(1984)의 'Parenting Behavior Q-sort' 의 도구 중 신체, 인지, 사회, 정서의 4개 영역별 발달지원을 위한 양육행동을 번안한 안지영(2001)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ɑ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과 기술통계를 살펴보았다. 영아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 어머니의 우울감이 영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이 우울감과 일반적 양육행동,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의 취업은 우울감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는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감이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 어머니가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사회․심리적 배경과 양육에 대한 연구는 주로 유아기 및 학령기에 한정되어 이루어진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를 통해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특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양육행동과 발달지원 양육행동의 두 가지 측면의 양육행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어머니의 취업과 우울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